사선 옷 효과 - saseon os hyogwa

스트라이프 날씬하게  입는 법

지난주까지만 해도 기온이 서늘해서 꽃들은 피었지만 봄 같은 생각이 들지 않았는데 주말을 지나면서 초여름 같은 느낌마저 들었습니다. 화창해지고 기온이 점점 올라가면서 보다 화사하고 여성스러운 옷을 찾게 됩니다. 오늘은 동대문에서 “단가라”라고 불러지는 스트라이프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스트라이프는 쉽게 말해 직선의 줄무늬가 연속적으로 있는 옷을 말합니다. 셔츠, 티, 탑, 드레스, 바지, 슈트, 스커트, 레깅스와 스타킹 등 거의 전 영역에서 사용되는 무늬입니다.

스트라이프의 기본은 직선이므로 우선 직선이 갖는 이미지를 이야기 하겠습니다. 직선은 당당하고

단호하며 때로는 경직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남성적인 효과를 표현하거나 단정하게 보이므로

제복에 많이 응용됩니다.

직선은 방향에 따라 수평선, 수직선, 사선, 지그재그선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수평선은 안정적이고 정적이며 평온한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넓은 가로선은 그 부위를 넓게 보이게 하므로 인체를 뚱뚱하게 보이게 합니다.

반면 수직선은 강하고 딱딱하면 날카로운 인상을 주기 때문에 위엄과 존위를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며 인체를 길어보이게 하여 보다 슬림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럼 스트라이프는 수평선이 좋을까요? 아니면 수직선이 좋을까요? 아래 그림을 보시지요.

사선 옷 효과 - saseon os hyogwa


1번은 수평 스트라이프이고 2번 수직 스트라이프입니다. 이론상 2번이 더 날씬하게 보여야 하는데 별 차이를 느낄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히 수평선과 수직선 만을 생각해서 입니다. 선이 하나 일 때는 수평선은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선의 수가 많아지면 리듬감이 생깁니다.  1번의 경우 수평선이 연속적으로 있어 수직적인 리듬감이 생겼습니다. 결국 전체적인 이미지에서 수평선 보다 수직적인 실루엣이 나오기 때문에 2번에 비해 뚱뚱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스트라이프의 넓이를 비교 하였습니다. 1번은 가늘고 좁게 2번의 넓고 굷게 3번은 상의만 스트라이프를 입은 경우입니다. 스트라이프의 넓이가 커지면 수평선이 강조되기 때문에 더 뚱뚱해 보여야 합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1번과 2번의 차이를 느낄 수 없고 오히려 2번이 날씬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넓이 때문에 생기는 효과가 아니라 색상 때문에 생기는 차이 입니다. 1번에 비해 2번이 검은색 영역이 더 넓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너 날씬하게 보이게 합니다. 만일 무늬색상이 검은색이 아니라 붉은색이였다면 당연히 2번이 더욱 뚱뚱하게 보일 것입니다. 2번과 3번을 보면 3번이 더 키가 커 보이는 효과를 내는데 이는 허리선이 위에 있기 때문에 짧은 상체와 긴 하체의 효과로 신장이 커보이고 날씬하게 보입니다.

이번에는 수직 스트라이프를 선의 간격으로 비교 하였습니다. 1번에 비해 2번이 간격이 조밀해서 검은색이 많이 보입니다. 결국 색상 때문에 2번이 날씬해 보입니다. 1번과 3번을 비교하면 3번이 더 날씬하고 키가 커보이는 효과를 얻는데 이건 수직선이 많은 것 보다 하나 둘 있으면서 간결하게 있는 것이 더욱 수직 효과를 얻기 때문입니다.

이번 그림은 스프라이프 길이를 비교하는 그림입니다. 1번은 높은 허리선을 2번 낮은 허리선을 보여줍니다. 스프라이프가 끝나는 곳이 허리선이 되는데 1번 처럼 허리선이 높으면 하체가 길어보여 키가 커보이고 상대적으로 날씬하게 보입니다. 2번 처럼 허리선이 엉덩이 아래까지 내려오는 경우 하체가 짧아 보여 키가 작아보이고 뚱뚱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것은 스트라이프가 뿐만아니라 모든 수평선을 만드는 옷들에게서 보여지는 현상인데 2번과 같이 엉덩이 하단까지 가리는 상의를 입는 경우, 뒤에서 보면 정말 다리가 짧아 보입니다.

글이 또 길어졌습니다.
간단하게 다시 정리 하겠습니다.

1. 수직선의 굵고 간결할 수록 좋다.
2. 수평선은 가늘고 많은 수록 좋다.
3. 수평선은 높은허리(하이웨스트)에서 끝나는 것이 좋다.마지막으로 수직선을 강조한 원피스를 소개 하겠습니다.



중앙에 길고 넓은 흰색의 수직선이 있고 그 주변으로 갈 수록 어두운 색으로 변하므로 전체적으로 길고 날씬한 실루엣 효과를 얻는 좋은 사례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구요.

아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코디네이션 자신의 개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옷차림을 하기 위해서는 의복을 디자인할 때
옷, 화장, 액세서리, 구두 등을 전체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이해해야 한다. 의복 디자인 요소에는 선, 색채, 무늬와
적으로 조화롭게 갖추어 꾸미는 일.
재질 등이 있다. 이러한 의복 디자인 요소를 코디네이션할 때 응용하면 원하는 이미
지를 연출할 수 있다.


•옷의 형태나 이미지를 결정함.
• 선의 방향과 굵기, 간격, 개수 등
에 따라 옷의 느낌이 달라짐.

가로선 세로선 사선 곡선
안정감을 주고 옆으로 퍼 딱딱한 느낌을 주며 위아 움직임을 나타내어 활동 귀엽고 부드러운 느낌을 줌.
져 보임. 래로 길어 보임. 적인 느낌을 줌.

색채
• 옷을 입는 사람의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침.
•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색채의
3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를
조합할 수 있음.
• 자신의 피부색과 체형에
맞게 선택함.

난색 한색 유사 조화 대비 조화
따뜻하고 확대되어 보임. 차갑고 축소되어 보임. 비슷한 요소들로 이루어 요소들이 다르게 배치되
져 안정된 느낌을 줌. 어 독특한 개성을 나타냄.

무늬와 재질
• 무늬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시각적 효과를 강화하거나 약
화시킬 수 있음.
• 크고 화려한 무늬는 몸집이 • 털이 달리거나 광택이 있는 옷감은
•재질은 옷감의 표면에서
큰 사람에게 어울림. 부피가 커 보임.
느껴 지는 질감으로, 시각적·
• 작고 귀여운 무늬는 몸집이 • 얇고 비쳐 보이는 옷감은 부드럽고
촉각적 효과를 줌.
작은 사람에게 어울림. 우아한 느낌을 줌.

그림 2-8 의복 디자인 요소
2. 창의적인 가정생활 02. 자기표현과 타인을 배려하는 의생활
54 55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54 2017-07-28 오전 11:55:23

Stylist & Coordinator

코디법

─────────────────────────────────────────────


① 착시현상(optical illusion)을 이용한다.
의복의 선(line)은 면을 나누는 역할뿐 아니라 시선을 유도하는 힘을 가지고 있어 형체를 실제보다 더 크거나 작게, 혹은 뚱뚱하거나 마르게 보이게 한다. 즉, 실제와는 다르게 인식하는 착각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수직선]
수직선은 위엄과 힘을 나타내며, 시선을 끌어내려 길이를 강조함으로써 더 크고 더 마르게 보이는 착시현상을 일으킨다. 그러나 지나치게 선의 수가 많으면 오히려 시선을 좌우로 이동시켜 폭을 넓어 보이게 하므로 역효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A

B

C

D

A보다 B가, B보다 C가 더 날씬해 보인다. D는 NO!


[수평선]
시선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수평선은 면이 넓어 보이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길이는 짧아 보이게 한다.
그러므로 수평선의 착시효과는 좁은 어깨를 넓어 보이게 하며, 상반신에 수평선이 있을 때는 도리어 엉덩이선은 작아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 상체가 빈약한 경우에 좋다.
역으로 가로선이 많아지면 시선을 수직으로 끄는 힘이 생겨 길이를 길어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A

B

C

수직선과 사선이 어우러진 수평선들 A와 C는 세로선이 수평선을 잘라 시선을 늘여주지만
B는 사선이 수평선 위에 존재해 시선이 곧바로 가로질러가므로 넓이가 강조된다.


[사선]
사선은 시선이 모이는 쪽은 좁아 보이고 퍼져나가는 쪽은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대각선의 각도가 급하지 않은 옷을 입었을 때는 날씬해 보이며 수직선과 대각선이 합쳐진 옷은 시선이 위로 옮겨져 키가 커 보이고 날씬한 몸매로 보이게 한다.
대각선은 움직임을 나타내며 활동성, 침착하지 못한 느낌을 주므로 스포츠웨어나 캠핑복으로 적당하다.


A

B

A는 위로 움직이는 사선이므로 키를 커 보이게 한다.
B는 윗부분의 수평선이 시선을 멈추게 하므로 키가 작아 보인다.


A

B

C

A, B, C 중 어느것이 가장 뚱뚱해 보일까? 짧은 수직선은 날씬하게 보이는 데 크게 효과가 없다. 반면 그림 A의 사선은 짧은 수직선보다는 더 날씬해 보이도록 한다.

② 돋보이고 싶은 곳에 밝은 색상을 사용한다.
밝은 색상은 시선을 끌어 신체사이즈를 증가시키고 실루엣을 두드러지게 하는 반면, 어둔 색상은 크기를 감소시키며 실루엣을 감춰준다.
그러므로 강조하고 싶은 작은 부분엔 밝은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


③ 대조색 조합으로 자신있는 곳을 강조한다.
밝은 색상의 상의와 어둔 색상의 하의로 대비를 이뤄 시선을 밝은 색상쪽인 얼굴로 이동시키면 뚱뚱한 몸매가 감춰진다.
원통형 체형은 밝은 색 바지와 어두운 색 상의를 매치시켜 비만 체형 몸매를 균등하게 분배시키면 효과적이다.


④ 윤이 나는 직물(벨벳, 벨로아, 실크 등)은 피한다.
윤이 나면 많은 빛을 반사하여 몸매를 더 커보이게 하는 반면, 무광택의 탁한 색 직물은 빛을 흡수하여 몸의 크기를 최소화시켜준다.


⑤ 복잡한 문양, 방향성 문양은 시선을 끌어 몸매를 강조하므로 피한다.
둥근 문양은 더 뚱뚱하게 보이므로 키가 작거나 뚱뚱한 사람은 세로줄 무늬의 옷감이나 잔잔 한 무늬의 옷감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⑥ 비대칭구조의 부드러운 섬유의복이 뚱뚱한 외모를 좀더 나아보이게 한다.
비대칭구조의 디자인은 성숙미와 세련미를 주어 운동감, 유연성, 부드러움을 느끼게 하므로
비대칭으로 주름잡힌 의복이나 시폰(chiffon), 크레이프(crape) 같은 의복에 사용하면 율동적이고 유쾌한 느낌 때문에 뚱뚱한 체형을 실물보다 좀더 나아보이게 한다.


⑦ 황금분할(golden section)로 미적효과를 높인다.
황금분할은 미적효과를 가장 극대화 할 수 있는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선을 대소의 선으로 자를 때 작은 부분과 큰 부분 길이의 비가 큰 부분과 전체길이의 비와 같다는 것이다.
즉, 작은 부분 : 큰 부분 = 5 : 8, 큰 부분 : 전체 = 8 : 13, 따라서 5 : 8, 8 : 13을 유지할 때 가장
미적 효과가 크다.

⑧ 흥미를 끌 만한 중심점은 하나로 정한다.
사람의 시선은 무의식적으로 두드러진 부위에 시선이 가게 되어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자신의 신체 중 자신 있는 부위에 스카프를 한다든지 하여 포인트를 준다
하지만 여러 군데로 강조하게 되면 시선이 산만해져 도리어 뚱뚱함이 강조될 수 있다.

⑨ 목둘레선 부분을 강조하여 시선을 위로 보낸다.
뚱뚱한 사람은 되도록 시선을 위로 끄는 게 좋으므로 목걸이나 머플러, 넥타이 등으로 강조를 두는 게 좋다. 단, 기능상 불편을 주는 위치는 강조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⑩ 무늬없고 특징없는 의복은 뚱뚱함을 더욱 강조한다.
착시현상, 강조, 문양 등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센스있고 결점을 커버하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