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 정재 디시 - sang-gwan jeongjae disi

백민닷컴 공개강의자료 요약
一,상관의 역할과 특성

상관의 역할
1.정관을 극상한다.
2.비겁을 설기한다.
- 주변, 친구, 조직을 잘 활용한다.
- 식신은 순수하게 빠져나가 는 것(쾌변)
- 상관은 내 의지와 관계없이 빠져나가는 것(설사, 탈진, 도기)
(참고 - 바라미님의 골때리는 명리학에 보면 식신이 장사를 하면 필요한 만큼 만들어서 시장에 팔지만, 상관은 욕심대로 만들어 팔려고 하므로 일간의 힘이 소진된다라는 내용도 있더군요.)
3.재성을 생한다.
- 재성이 없으면 남좋은 일.

凶神
①制化가 필요하다.
②일간의 강약을 살펴라.
상관은 표현, 말 . . . . .
일간이 弱하면 허풍, 말에 책임을 못진다. 비판을 위한 비판
일간이 强하면 정곡을 찌른다. 핵심을 찔러 상대를 꼼짝 못하게 말로 제압한다.
③상대의 유무를 관찰하라.

예를 들어 흉신인 상관은
①制 - 인성, 化 - 재성
②일간의 강약
③상대 - 정관

변수(상관운이 왔을 때)
①극
- 인성과 재성의 유무에 따라서 극관인지, 적극적으로 관을 이용하는지 구분된다.
②설
- 비겁의 有(설할 것이 많다. 남의 것도 활용한다)
- 일간약(인성이 없으면 탈진)
③생
- 상관은 돈을 만드는 재주
- 財가 없으면 남좋은 일, 헛 공상.

癸 - 庚일주
未 - 丙일주

壬일주
癸 - ①丁화, 丙화 ②인성 ③식상

二,상관의 특성

1.관살을 극한다.
(1)정관을 극상한다.
①印
②財
- 상관생재 재생관
- 매사 적극적, 능동적(관인 - 소극적, 피동적)

(2)칠살을 극제한다.
상관가살, 상관합살 - 의외의 吉事,
양간은 식신을 잘 활용하고, 음간은 상관을 잘 활용한다.
식산제살할 때는 財가 있으면 문제가 생긴다.(여자나 돈 때문에)

2.비겁을 설기한다.
상관은 응용력, 남의 것을 자기 것처럼 써먹는다.
術(의술, 역술, 기술)을 하려면 흉신이 하나 정도는 있어야 한다.
단, 제화가 안되면 못된 곳으로 빠진다.
제화가 잘되면 응용을 잘하고 길신보다 융통성, 추진력이 탁월하다.
역술을 하려면 편인이나 상관이 있어야 한다. 없으면 겁재(배짱, 밀어붙이기)라도 있어야 한다.

(겁재 상관) = 욕심, 탐심, 꿍꿍이, 외골수, 이기주의, 자기중심, 내욕심대로, 내생각대로, = 불법자행, 교만, 무시하면서 비판.
(비견 상관) = 정당성, 주체성, 주관, 공동의식
子午卯酉의 특성은 다른 오행으로 변하지도 않고 잘 생해주지도 않는다.

시 일 월 년
甲 庚
申 辰 酉
癸未년 - 酉금 양인은 癸수를 잘 생하지 않는다. 申금 비견에서 생을 받는 癸수는 정당성을 띤다.

일주강에 상관의 설기 - 적극적, 추진력, 설득력
일주약에 상관의 설기 - 도기(공수표)

(3)재성을 생한다.
돈만드는 것
財테크
활동력 증대

식신 - 좋아서 일을 한다.
상관 - 계산적, 싫어도 돈이 되면 한다.

상관생재
정재
- 내 것, 소유욕, 합리적, 안정적인 것을 取, 고정적인 것을 取, 현실적, 타산적
- 기술을 가지고 직장생활을 하는 것이 좋다.
- 기술을 가지고 직장생활과 같은 사업을 할 수 있다.
- 상관은 인성(證)이 필요하다.
- 정재가 있는 사람은 증을 이용한 사업 - 약사, 의사, 변호사, 회계사 . .
- 증이 없으면 허가나지 못한 사업 - 역술인 무속인

편재
- 적극적, 투기성, 넓은 공간(이동공간, 역마성) - 무역, 유통, 중간소개
- (상관 편재) = 돈이 다니는 길을 안다.
- (상관 정재) = 돈이 다니는 길을 안다. 단, 쫀쫀해서 계산하다가 일을 벌리지 못한다.

財를 감당할 일간의 뿌리가 있어야 상관생재를 할 수가 있다.
일간이 약하면 아이디어(인성)를 팔아먹을 수는 있으나 자신이 직접하면(상관) 망한다.
상관생재 →재생살 →일간이 약해서 살을 감당하지 못한다 = 뻥, 남좋은 일

상관생재 = 공간을 생한다. 공간을 넓힌다. 공간을 이동한다.
- 財는 돈, 여자, 공간
- 상관운이 오면 남녀 모두 외도할 확률이 많다.
상관은 찔러본다. 그리고 반응을 살펴보고 대응한다.(식신은 좋아서 한다)
- 여자의 財는 남자에게 잘해주는 것. 財를 생하는 것은 다른 영역을 넓혀서 다른 남자를 생하고 싶다. 기존의 틀을 벗어나고 싶다.

三,상관의 역할과 사흉신의 활용법

상관의 역할(사흉신은 먼저 극한다)
1.정관을 극한다.
2.비겁을 설기한다.
(1)주변의 친구, 동료, 조직을 잘 활용한다.
(2)식신 - 순수하게 일간이 내보내는 것 - 쾌변
(3)상관 - 일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빠져나가는 것 - 설사(심하면 탈진)
3.재성을 생한다.

사흉신의 활용법

1.制化(制 - 克, 化 - 洩)가 되어 있는가?
상관은 인성의 극(制) 또는 재성의 설(化)이 필요하다.
즉 함부로 날뛰지 못하도록 인성(법, 계획, 정석, 순차적)으로 제하던지,
아니면 마음대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재성-상관의 식상)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2.일간의 강약(뿌리)
흉신은 일간이 약하면 일간을 무시한다. 일간의 말을 안듣고 제멋대로 행동한다.
일간이 약하면 상관은 쓸데없는 말, 책임지지 못하는 말을 한다.
일간이 강하면 상관은 강력한 비판적인 말로 상대를 제압한다.

3.상대가 있느냐? 없느냐?
癸未년

- 경일주의 상관,
- 癸수는 丁화와 丙화를 먼저 찾는다.
- 상관의 임무는 관성을 극하는 것

- 병일주의 상관

겁재는 먼저 정재가 있는가? 없으면 편재를 찾는다.
壬일주 癸년 - 丁화를 먼저 찾는다. 그 다음 丙화를 찾는다.

상관의 행동 순서(극 →설 →생)
①정관을 극한다.
②정관이 없으면 일간을 설기한다.
③설기할 것이 없으면 생을 한다. 즉 재가 있어야 상관이 역할을 한다.

(변수)
①인성과 재성의 유무
②비겁의 유무와 일간의 강약 (비겁이 많은 사람은 상관운이 오면 남도 활용, 해결사 역할, 일간이 약하고 상관을 말리는 인성이 없으면 상관운에 기진맥진)
③재성의 강약(財가 弱하면 남좋은 일, 헛공사)
→상관은 돈을 만드는 능력. 재성은 돈을 담을 공간

四,각육신과 상관운

1.편재와 상관운 → 욕심(규모)을 조금 줄여라!
①로비, 청탁, 중개 - 실질적 이권을 쟁취한다.
②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
③새로운 공간을 확보한다.
직장인 - 사업
사업가 - 새로운 변화
(상관 편재)는 이사나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할 때 줄여서는 못간다.

*(겁재 편재 상관운) = 제 세상을 만난 듯 설친다.
*서두르거나 너무 설치지 마라.
*말이 앞설 수가 있다.
*마음이 앞서서 계획성이 부족할 수가 있다.
*경험자의 조언을 구하라!
- 경험자는 인성(지식, 지혜, 경험)
- (상관 경험자의 조언) = 상관패인?

2.정재와 상관운
정재는 치밀, 계획, 안정성 추구
- 임대업, 아파트 추첨, 땅투기 등 불안한 투기는 안한다.
- 외도심리도 조금 생긴다.
(정재 상관) = 인간미가 없다.
(겁재 상관 정재) = 내 것은 안주면서 남의 것을 뺏어 올려고 한다.

직장인은 吉
- 아이디어의 채택 현실화, 상품화
- 정재가 있으면 상관운이라도 관을 치지 않는다.
-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결과를 얻는 운
- 승진하는 시기

3.정관과 상관운
명예손상, 좌천, 소외, 관재구설, 하극상, 질병, 부부문제

재성의 유무
- 재성이 있으면 활력, 상관은 바꿔!(새로운 변화)
- 재성이 있으면 상관생재 재생관으로 통관작용을 하게되어 의욕 활력이 생기고, 변동으로 좋은 결과가 나타난다. 단 잡음은 있다.
- 인성이 있으면 바꾸는 것은 아니고, 터진 일이 잘 해결되고 나면 자리가 견고해진다.
印은 공증 확인 인정해주는 것, 일은 벌어지나 그 일로 인해 인정을 받게된다. 전화위복.

4.칠살과 상관운
음간
- 상관합살, 상관가살(적극적, 교묘하게 관을 활용)
- 변화되는 타이밍, 환경을 교묘하게 활용한다. 편법, 이면계약, 물밑작업, 타협, 합의

단, 제화가 되어있는 칠살을 극하면 大凶
- 제살태과, 설상가상, 진퇴양난(원인은 서둘러서, 편법을 사용했기때문)
- 가정적인 면에서 남편과 마찰, 남녀 모두 부적절한 관계(임신, 손재, 구설)

5.정인과 상관운
<상관패인>
인성입장에서 상관은 財(결과물)
- 적극적, 자신의 지식 계획을 가지고 현실참여한다.
- 능력발휘, 활동력이 살아난다.
- 자신이 계획했던 것을 현실화시킨다.
- 제화된 상관을 얻었으니 말잘듣는 부하를 얻은 격이다.
*정인은 주는대로, 원칙대로, 짜여진대로
*상관은 바꾸는 것
*인성 - 證(실력, 노하우)
*상관 - 활용
→문화사업, 교육사업, 아이디어의 상품화

6.편인과 상관운
취사선택적 수용, 자의적 해석, 비현실적, 신비적 개혁 = 벤처, 모험 혹은 공상, 사기
편인도 편법, 상관도 편법, 신중하지 못하다. 너무 앞서간다. 남이 하지 않은 일을 한다. 선구자. 탐험가

五,상관운에 일어나는 일들

상관의 역할

1.관성을 극한다
- 궤도이탈(학생은 학교, 직장인은 직장 - 반항, 탈선)
- 거부(개혁의지? 학생은 학교거부 바꾼다, 직장인은 직장거부 바꾼다.
여자는 남편거부,남자를 바꾼다)
- 도덕성에 문제가 생긴다.
- 관재구설이 생긴다.
- 칠살을 제압하는 역할인 경우(NGO활동, 사회적인 병폐를 고친다. 위기극복, 위기모면)

*상관격, 상관용신자, 상관이 사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는 새집이나 새건물에 들어가면 안된다.
상관이란 바꾼다는 의미이므로 남들이 하다만 가게나 망한 가게 등으로 들어가서 고치고 개혁해야 성공한다.
짜임새있는 곳, 갖추어진 곳, 안정된 곳에서는 반항자 비판자 취급을 당한다.

2.일간이나 비겁을 설한다.
- 주변을 활용한다.
- 일간이 강한 경우는 일에 대한 욕구나 실천의지가 살아난다.
- 남녀 모두 이성에 대한 욕망이 커지므로 이성문제가 생긴다. 특히 여자는 이성욕구가 생겨서 남편을 거부하고 바꾸고 싶다.(식신은 그렇치 않다) 내 것은 거부하고 다른 새로운 것을 취하고 싶다.

3.재성을 생한다.
- 왕성한 재테크활동, 재에 대한 집착이 강해진다.
- 분주다사.

상관운에는

가족 - 애정문제

직장
- 상관과의 마찰
- 눈밖에 벗어나는 행동을 한다.
- 사업하고 싶어서 직장을 그만둔다.
- 직장내 분위기가 답답해서 그만둔다.

학생 - 학교 자체가 싫다.

대인관계
-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개입되어 욕얻어 먹는다.
- 자신을 남에게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된다.
- 남을 위해 봉사한다.
- 해결사, 중개역할을 할 수 있다.

사업
- 업종을 바꾼다. 사업적인 측면에서는 길하다. 축재가 되는 운이다.
- 관을 이용한 사업은 문제가 생긴다.

오락적인 부분에 빠져들기 쉽다.

※참고사항
여자가 상관운일 때 배우자가 30대중반 이나 40대이면 배우자는 폭력적으로 변한다.
특히 배우자의 운이 겁재이나 칠살이면 더욱 심하다.
식신은 식신생재 재생관으로 이어지나, 상관은 상관생재로 끝난다.

※쉽게 정리하면 상관운은
바꾼다 → 안바꾸면 거부한다 → 도덕성에 문제가 생긴다 → 관재구설이다.

식신은 식신생재 재생관으로 이어지나, 상관은 상관생재로 끝난다.
상관은 축재가 목적
식신은 축재해서 다른 목적(공익)을 위해서 사용하고 싶다.

財印不碍(재인불애)
상관패인에 상관생재가 잘 되는 사주
- 자기관리 철저.
- 자신의 일에 무섭도록 매진한다.

六,상관격의 특성과 성패

1.통변실례

時 日 月 年 坤命
辛 乙 丁 癸
巳 卯 巳 卯

甲 癸 壬 辛 庚 己 戊
子 亥 戌 酉 申 未 午
68 58 48 38 28 18 8.4

(1).土水가 없다. 無財사주
상관의 활동과 재능을 받아줄 수 있는 것이 재성이고,
상관과 관성의 싸움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이 재성인데, 이 경우 관성의 동태를 살펴야 한다.
관성은 재성(부하)이 있어야 힘을 발휘한다.

(2)목화상관격
丁火 식신을 쓸려고해도 편인 계수에 의해서 파극되서 쓸 수가 없다.
인성으로 제화해야 하지만 계수는 상관을 제화하는 역할은 미미하다.
천간은 천간, 지지는 지지로 제화한다.
상기 사주는 제화된 상관처럼 행동하나 속으로는 그렇치 않다.

(3)인성미약, 무재성, 관성투출 - 파격사주

(4)상관의 역할은?
①관살파극,
②일간설기
③생재
이 사주는 제살태과다.
생재역할을 못하므로 상관은 일간을 설기하는 용도로 쓴다.(배설욕구 때문에 혼자는 못산다)

(5)목화통명
언론, 교육, 문학, 예술, 연예, 구류술업

(6)직업은 잡지사 기자
결혼후 1년도 못되서 이혼, 2번씩이나, 각각의 남자에게서 딸을 하나씩 낳아서 기르고 있다.
운에서 관운이 오기 때문에 남자는 들어온다. 남자를 키우고싶으나 마음뿐, 새로운 남자를 만나서 궁합을 보러왔다.

時 日 月 年 乾命
丙 己 戊 壬
寅 亥 申 辰

56 46 36 26 16 06
甲 癸 壬 辛 庚 己
寅 丑 子 亥 戌 酉

(1)오행구비

(2)壬수투간으로 정재격이나 戊토겁재로 인해 파격.
깨진 그릇을 대표로 내세울 수가 없으므로 土金상관격으로 취한다.

(3)겁재가 문제(辰토 겁재는 뿌리역할), 관성으로 제극하지 못한다. 일간이 신약하다.

[신약한 경우]
겁재나 상관은 제멋대로,
*사회활동 중에
- 겁재가 협력관계가 될 수도 있지만 먼저 채간다.
- 라이벌이 생긴다.
- 손재수가 따른다.

(4)비뇨기과 전문의
병원을 이전 개업하려고 투자했으나 집주인과 소송문제가 발생.
잘되면 건물이 팔리던지, 옆에 큰병원이 생기던지 한다.

(5)겁재가 기신인 사주는 매사에 법적으로, 서류화로, 공증으로, 즉 관을
활용하라!
(기신 - 구설, 잡음, 관재)

(6)土金상관격은 재테크에 능하다.
중후하나 비판적, 겁이 없고, 의협심이 있으며, 자립심이 강하고, 자수성가한다.
관성이 사주에 있으면 재앙이 많이 따르며 안면에 흉터가 많다.
단, 순화되거나 상관과 관이 직접 충극되지 않으면 흉터는 없다.

2.상관격의 길흉

(1)신왕
- 洩化하여 재성으로 용신을 삼는다. 坤命은 일주건왕하나 재성이 없다.
상관의 좋은 점은 我損他益이다.
(설기하는 용도로 상관을 쓰는 사람. 재성이 있으면 돈이 안되는 일은 절대로 안한다.)

(2)신약 - 상관이 강하면 인성으로 克制
상관패인(공적인 자리에서 자신의 실력을 내세운다. 인간미가 없다)
정인 - 법규를 지키고, 정도를 걷는다.
편인 - 중화를 잃는다. 공정성이 없다. 사리사욕. 양일간의 상관이 더욱 그 렇다.
상관과 편인이 合 = 상관은 破格 편인의 직감 = 벤처사업, 종교교주(사이 비?)

(3)식상혼잡
식신을 쓸 경우 상관을 去하는 것이 좋고, 상관을 쓸 경우 식신을 거할 필요는 없다.

(4)상관격에 식상태과
*잘 나선다.
*신약한 경우는 입만 열면 구설이 따른다. 이 경우는 편인이 좋은 작용을 한다.
*즉 자기만의 기술 노하우 재능을 뜻하므로 배우기만 하면 잘 사용한다.
*단 편인이 약하면 용두사미격이므로 초지일관이 필요하다.

(5)신왕사주에 년월의 상관이 강하면 성급하다. 직선적이고, 할 소리는 다한다. 비판적, 반항적, 입에 칼이 들어 있다고 할 정도로 심한 말을 한다. 번복을 안한다.
년월은 관성(법, 원칙)과 인성(부모)의 자리인데 상관이 있으면 법 원칙 부모를 무시한다.
水木상관이 더 심하다. 수목은 물이 역으로 올라간다. 수목식신격은 그렇치 않다.

(6)상관의 양인이 있으면 허풍, 거짓말이 심하다.
강자에겐 아부, 약자에겐 강하다. 집안에서는 폭군 노릇을 한다.

辛 壬 庚 癸
@ 子 @ 酉
정인(지식, 법, 도덕)으로 제화하거나, 편인(기술)으로 제화하거나, 재성(일자리)으로 순화

깡패 - 검정고시, 기술 스포츠, 일자리(상관생재)

(7)상관생재 - 일자리
관성이 없어야(관청의 간섭)한다.
관성이 있으면 상관의 횡폭함이 나타난다. 건들지 말아야 한다.
난세 - 영웅, NGO, 운동권,
태평성대 - 재야인사, 비판가
상관이 인정을 받을려면 정인이 있어야 한다. 정인이 없으면 편인이라도 있어야 한다.
일자리(재성)이 있으면 중격.
편인이 있으면 격이 淸해야 중격이다.
관이 있고 재가 있어도 중격.
상관생정재 - 모든 것이 돈, 인색하다.
상관격이 양인, 겁재가 있으면 탐욕, 사기성, 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