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목선착장 한림해운 - sammogseonchagjang hanlimhaeun

삼목 선착장(三木船着場)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영종도(운서동) 북부, 과거 삼목도였던 곳에 위치한 부두이다.

인천국제공항 건설을 위해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에 방조제(1992년 11월 21일 - 1994년 10월 30일)가 건설되자 인천항 연안부두에서 옹진군 북도면의 섬들(신도, 시도, 장봉도 등) 사이를 연결하는 배편의 운항이 어렵게 되었다. 이에 따라 북도면 주민들의 교통 편의와 물자 운송을 위하여 삼목 선착장이 만들어졌다. 선착장의 이름은 삼목도에서 따왔다.

운항 노선[편집]

여객선은 삼목선착장과 신도·장봉도 사이를 운항하는 (주)세종해운의 선박 노선과 (주)한림해운의 선박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세종해운은 하루 13회 운항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13항차(오후 7시 30분 삼목 출발) 배편은 운항하지 않는데,[1] 명절과 여름 휴가철에는 운항한다.

요금[편집]

운임은 삼목-장봉 구간(편도)을 기준으로 대인 3천원(도서민 2천200원)이고, 해당 구간 차량 운임은 승용차를 기준으로 1만5천원(도서민 1만원)이다.[2]

운행 선박[편집]

  • 세종3호
  • 세종5호
  • 세종7호

교통 불편[편집]

북도면 주민들은 삼목-신도 간 여객선의 야간 운항(오후 9시 삼목 출발)과 영종도-신도 연도교의 조속한 착공을 요구하고 있다.[3]

현재 삼목-신도 간 여객선은 오후 7시 30분(주말·공휴일 오후 6시 10분)까지만 운항해 신ㆍ시ㆍ모도에서 영종도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학원 수강을 하지 못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고 주말 관광객이 섬에 들어오는데 차질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2015년 6월 1일부터 여객선 1대가 추가로 투입될 예정이다.[4]

각주[편집]

  1. 운항시간표
  2. 삼목선착장 운항요금
  3. 인천 북도면 주민 "신도~영종도 연륙교 건설" 촉구 연합뉴스, 2011.9.19.
  4. 인천 영종도∼장봉도 6월1일부터 여객선 추가 운항 연합뉴스, 2015.5.27.

같이 보기[편집]

  • 영종도
  • 북도면
  • 삼목항

외부 링크[편집]

  • 세종해운

  • v
  • t
  • e

인천광역시의 교통

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

철도
노선

  • 경인선
  • 수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 1호선
  • 7호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수인·분당선
  • 공항철도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모노레일

월미바다열차

도로
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50)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100)
  • 제2경인고속도로 (110)
  • 경인고속도로 (120)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130)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400)

나들목·분기점

  • 검단양촌
  • 계양
  • 금산
  • 김포공항
  • 남동
  • 능해
  • 문학
  • 부평
  • 서인처
  • 북인천
  • 북청라
  • 송내
  • 송도
  • 영종
  • 옥련
  • 장수
  • 청라
  • 검단
  • 가좌
  • 도화
  • 인천
  • 공항입구 분기점
  • 공항신도시 분기점
  • 남청라 분기점
  • 노오지 분기점
  • 서운 분기점
  • 서창 분기점
  • 연수 분기점
  • 학익 분기점

국도·국지도

  • 6호
  • 39호
  • 42호
  • 46호
  • 48호
  • 77호
  • 국지도84호
  • 국지도98호

주요 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제2터미널대로
  • 강화대로
  • 경명대로
  • 경원대로
  • 계양대로
  • 남동대로
  • 미추홀대로
  • 봉수대로
  • 봉오대로
  • 부평대로
  • 비류대로
  • 서해대로
  • 송도국제대로
  • 송도바이오대로
  • 아암대로
  • 이음대로
  • 인주대로
  • 인천대로
  • 중봉대로
  • 첨단대로
  • 영종해안북로
  • 경인로
  • 구산로
  • 구월로
  • 길주로
  • 동수천로
  • 드림로
  • 로봇랜드로
  • 마장로
  • 만수로
  • 매소홀로
  • 무네미로
  • 백범로
  • 벌말로
  • 부일로
  • 부평문화로
  • 부흥로
  • 서곶로
  • 서달로
  • 석정로
  • 소성로
  • 송림로
  • 수변로
  • 수인로
  • 아나지로
  • 안남로
  • 열우물로
  • 원적로
  • 장고개로
  • 장수로
  • 장제로
  • 주부토로
  • 주안로
  • 중앙로
  • 평천로
  • 한나루로
  • 호구포로

교량

  • 영종대교
  • 인천대교
  • 강화대교
  • 강화초지대교
  • 교동대교
  • 무의대교
  • 석모대교
  • 선재대교
  • 영흥대교

터널

  • 만월산
  • 문학
  • 원적산

버스
시외·고속

  • 인천
  • 인천공항
  • 송도
  • 강화
  • 부평역
  • 용현동

시내·군내

  • 시내버스
    • 노선 목록
  • 강화군내버스
  • 옹진공영버스
  • 광역급행버스
  • 인천시티투어

버스전용차로

  • 버스전용차로 목록
  • 청라-화곡 버스전용차로

기타
교통카드

  • 캐시비
    • 마이비카드·
    • 하나로카드
  • 티머니
  • 레일플러스
  • 한페이

항공·항만

  • 인천국제공항
  •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인천·김포터미널
  • 삼목 선착장
  • 거잠포 선착장
  • 광명항

요금제

  • 수도권 통합요금제

₩ 터널 및 교량 중, 통과에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도로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 v
  • t
  • e

대한민국의 여객선터미널

부산계

  • 부산국제
  • 부산크루즈
  • 부산연안
  • 부산중앙동
  • 부산해운대
  • 부산몰운대

인천계

  • 인천항
    • 인천제1국제
    • 인천제2국제
  • 인천소청도
  • 인천대청도
  • 인천백령도
  • 안산대부
  • 인천덕적
  • 인천진리
  • 인천백아도
  • 인천이작
  • 인천승봉도
  • 인천석모도
  • 인천서검도
  • 인천외포
  • 인천주문도
  • 인천무의도
  • 인천잠진도
  • 인천삼목
  • 인천장봉도
  • 인천자월도
  • 인천연평도

동해계

  • 동해국제
  • 속초
  • 동해묵호
  • 강릉
  • 울릉도동
  • 울릉저동
  • 울릉사동

대산계

  • 대천
  • 당진장고
  • 태안영목
  • 보령외연도
  • 보령오천
  • 보령원산도
  • 서산구도
  • 서산고파도
  • 태안안흥
  • 태안가의
  • 당진난지도

군산계

  • 군산
  • 격포
  • 군산비안도
  • 부안위도
  • 군산개야도
  • 군산어청도
  • 군산말도

목포계

  • 목포국제
  • 목포연안
  • 완도
  • 고흥녹동
  • 목포외달도
  • 신안암태도
  • 신안도초도
  • 신안안좌도
  • 신안상태서리
  • 신안상태동리
  • 신안임자도
  • 신안정암
  • 신안증도
  • 신안홍도
  • 진도서거차도
  • 영광계마
  • 영광안마도
  • 진도팽목
  • 완도청산도
  • 완도상정
  • 완도화흥포
  • 완도청별
  • 진도갈두
  • 강진마량
  • 장흥회진

여수계

  • 광양국제
  • 여수
  • 여수신기
  • 여수거문도
  • 여수연도
  • 여수함구미
  • 여수둔병
  • 여수돌산대교
  • 여수사도
  • 여수돌산

포항계

  • 포항
  • 울릉
  • 독도

마산계

  • 거제고현
  • 거제옥포
  • 거제장승포
  • 마산
  • 통영
  • 통영소매물도
  • 거제가조도

제주계

  • 제주국제
  • 제주연안
  • 서귀포성산포

삼목선착장 한림해운 - sammogseonchagjang hanlimhaeun
이 글은 교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