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 실온 보관 - samgyeobsal sil-on bogwan

삼겹살 실온 보관 - samgyeobsal sil-on bogwan
‘돼지고기 보관법’. [사진 중앙포토]

최근 무더운 날씨와 높은 습도로 인해 식품의 보관 방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가운데 돼지고기 보관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세균은 상온에서 2~3시간, 곰팡이는 24~48시간이면 증식을 한다. 특히 돼지고기의 보관온도는 1~5℃고, 보관일은 3일이다.

밖에서 먹을 경우에는 얼음 상자에 보관을 하고, 가능한 한 한번에 먹을 양을 빨리 조리해서 섭취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좀 오래 보관해야 한다면 냉동실에 얼려 보관하는 것이 좋다. 먹다 남은 삼겹살은 하나하나 랩으로 싸서 냉동고에 보관한다.

돼지고기 부위는 총 9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로 등심은 육질이 부드러운 부위다. 등심은 맛이 좋아 돈가스나 스테이크 등에 이용된다.

두 번째는 안심으로 지방이 가장 적은 부위다. 안심은 담백하며 부드러워 구이나 볶음, 전골 등에 이용된다. 세 번째 갈비는 배 근처에 있는 부위. 굵은 근섬유가 있으며, 지방과 단백질이 적절히 섞여 있어 구이, 찜 등에 이용된다.

네 번째 삼겹살은 살코기와 지방이 번갈아가며 층을 이루는 형태로 다른 부위와 다른 특유의 맛이 있다. 주로 구이로 이용된다.

다섯 번째는 다리다. 다리는 물에 넣고 오랫동안 끓이게 되면 단백질 성분을 함유한 결합 조직이 젤라틴화 되어 물렁물렁해진다. 식힌 고기는 편육이나 족발로 이용된다.

여섯 번째는 갈매기살이다. 돼지의 뱃속을 가로막는 횡경막과 간 사이에 붙어 있는 갈매기살은 힘살이 커 쫄깃쫄깃하다. 주로 구이용으로 쓰인다.

일곱 번째는 사태다. 운동량이 많은 부위라서 겉이 거칠다. 장조림, 찌개, 수육 등에 쓰인다. 여덟 번째는 목살이다. 여러 근육과 지방층으로 구성된 목살은 풍미가 좋고 육질이 부드럽다. 소금구이나 보쌈, 주물럭 등 요리에 쓰인다.

아홉 번째는 앞다리다. 다소 거칠고 색도 진한 편이지만 지방이 적어 불고기, 찌개, 수육, 보쌈에 안성맞춤이다.

온라인 중앙일보
‘돼지고기 보관법’. [사진 중앙포토]

냉동실에 얼려놓은 삼겹살 언제까지 안전할까?

삼겹살 실온 보관 - samgyeobsal sil-on bogwan

무엇을 먹을까 냉장고를 뒤져 봅니다. 먹을 것이 없네요. 굶어야 하나 배달을 시켜야 하나 고민하던 중 저 구석에 쳐박혀 있는 얼려져 있는 삼겹살 고깃덩어리를 찾게 됩니다. 밥상에 고기 올라오면 다른 반찬 없어도 든든하잖아요. 해동을 시켰고 맛나게 구워서 먹었습니다. 다 먹고 문뜩 이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언제 넣어두었던 삼겹살 고기지???

냉장실 육류 보관은 3~5일!

곧 구워먹을 예정이면 냉장실에 고기를 넣어두곤 합니다. 그러다 까먹거나 다른 먹거리가 생기면 고기 굽기는 다음날로 넘기게 되는데요. 냉장실에서 고기는 3~5일정도는 괜찮다고 합니다. 이 날짜를 넘기게 되면 고기에도 문제가 생기지만 무엇보다 냄새가 나서 먹기에 매우 힘들어지죠! 그렇다면 냉동실 보관은 어떻게 될까요? 아무래도 냉장실 보관보다는 길겠지만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요?

미국농무부(USDA)는 4~60도 사이는 박테리아가 번식하기에 최적인 온도라고 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상하기 쉬운 음식은 적어도 4도 이하의 저온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그리고 먹을 때는 60도 이상의 열을 가한 뒤 먹어야 안전합니다. 막약 음식을 실온에 두어야 한다면 리미티드는 2시간입니다. 2시간을 넘긴다면 무조건 4도 이하의 냉장보관을 해야 합니다. 가급적 지체되는 시간없이 곧바로 냉장고에 들어가는 것이 최상입니다.

이론상 17~18도 이하에 음식은 무기한으로 안전하게 보관가능

삼겹살을 좀 많이 샀다던가 남았을 경우 냉동실에 넣어두게 되는데요. 냉동실에 보관한다면 얼마나 오래 보관이 가능할까요? 이론상으로는 영하17~18이하에 음식을 저장해두면 어떤 형태의 음식이든 무기한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됐을때 가능한데요. 우리가 사용하는 냉장고는 수시도 열었다가 닫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온도 유지가 매우 힘든 환경입니다. 그렇기에 보관 기간이 늘어날수록 삼겹살의 질은 떨어진다고 봐야 하는데요. 삼겹살뿐 아니라 식품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오랫동안 보관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육류별 냉동보관 가능한 기간 (미국농무부 찬 식품 저장 차트 참고)

1. 베이컨 1개월

2. 핫도그 1~2개월

3. 소시지 1~2개월

4. 런천미트 1~2개월

5. 치킨너겟 1~3개월

6. 연어, 참치 등 기름기 많은 생선 2~3개월

7. 저민고기 3~4개월

8. 조릳뢴 육류 2~6개월

9. 대구, 넙치 등 기름기 적은 생선 6~8개월

10. 치킨조각 9개월

11. 스테이크 4~12개월

12. 통닭 1년

냉동실에 넣어두었다면 박테리아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가정에서의 냉동고는 수시로 열었다 닫았다 하기 때문에 박테리아를 완전히 사멸시킬만큼 충분히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아무리 냉동고라 할지라도 박테리아로 인해서 보관에 제한이 생길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냉동실은 냉장실이나 실온에 있는 음식보다 박테리아의 성장 속도가 훨씬 느리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보관은 할 수 있습니다. 냉동실에 언제 넣어둔 것인지 알 수 없는 음식이라면 외관이나 형태, 냄새나 맛만으로 음식이 상했는지 판단하면 큰일납니다. 그렇기에 냉동실에 넣어둘때는 언제 넣어두었는지 날짜를 적어둔 메모를 붙여둔다면 보다 쉽게 식재료를 관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엄마한테 물어보니 제가 먹었던 그 냉동실에 있었던 삼겹살은 3개월 전의 삼겹살이라고 하네요. 맛있게 먹었으면 됐죠..뭐..하하하하하하하하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휴가철 캠핑에서 빠질 수 없는 바비큐 재료인 축산물이 부패하기 쉽지만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뮬레이션 시험을 한 결과 아이스박스 없이 여름철 외부나 차량 트렁크에 축산물을 4∼6시간 보관하면 부패하기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여름철 외부(33℃)와 여름철 차량 트렁크(43℃)에 냉장기구 없이 축산물을 보관하면 4시간 후부터 균이 증식하기 시작해 6시간이 경과하면 부패 초기 단계인 5×106CFU/g(CFU는 세균 개체 수)에 도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겹살 실온 보관 - samgyeobsal sil-on bogwan

반면 아이스박스(4∼10℃)에 보관하면 24시간이 지나도 세균 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삼겹살 실온 보관 - samgyeobsal sil-on bogwan

소시지와 같은 가공육의 경우 살균처리과정을 거쳐 생고기보다 부패까지 걸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8∼12시간이었다.

그러나 소비자원이 최근 1년 동안 캠핑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9.3%(193명)은 캠핑을 갈 때 축산물을 구입한 후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에 보관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가장 많은 63.2%가 '캠핑장까지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아서'라고 답했으며 '냉장제품이 많아 (함께 두면) 충분히 신선하다고 생각돼서'(13.0%)가 그 뒤를 이었다.

축산물은 대부분 집 근처 마트 등에서 구입(77.9%)해 캠핑장까지 평균 1~3시간 이동(64.8%)하고 대부분 당일 저녁에 먹는(83.0%) 것으로 나타났다.

오전에 구입한 축산물을 저녁에 먹을 경우 최대 7∼8시간이 걸려 시험결과와 같이 구입한 축산물 등이 부패될 가능성이 있었다

아울러 축산물을 가장 마지막에 구입하지 않는 응답자는 60.5%, 다른 식재료와 구분없이 담는다는 응답자는 57.7%로 축산물 취급 안전 의식이 부족했다고 소비자원은 전했다.

소비자원은 "캠핑할 때 식중독 사고를 막기 위해 축·수산물을 분리 보관하고 운반할 때는 최대한 냉장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08/02 12:00 송고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9.3 7:42 AM (124.111.xxx.201)

    위험해 위험해.

  • 2. 고기

    '17.9.3 7:44 AM (183.104.xxx.144)

    실온에서 하루면 진짜 아깝지만 버리세요
    한여름이면 당연히 상했을 건 데
    지금 선선해 졌다해도 24시간이면 변했어요
    에공 아깝지만 버리세요
    끓이든 익히든 그래도 위험해요

  • 3. marco

    '17.9.3 7:51 AM (39.120.xxx.232)

    요즘 아주 덮지 않고 습도도 높지 않아서
    상하지 않았다에 한표...

  • 4. 원글

    '17.9.3 7:52 AM (125.176.xxx.76)

    팔팔 끓여먹으면 괜찮을까요??
    진짜 한우는 못 사 본거라 큰 맘 먹고 샀는데..
    울고 싶어요

  • 5. marco

    '17.9.3 7:59 AM (39.120.xxx.232)

    익혀 먹으면 문제 없습니다...

  • 6. ㅇㅇ

    '17.9.3 8:06 AM (58.224.xxx.11)

    고기값 생각하다가
    병원비가 더 듭니다

    버리세요

  • 7. 행복하다지금

    '17.9.3 8:13 AM (99.246.xxx.140)

    팔팔 끓여서 세균 다 죽는다해도 먹고 당장 탈나지 않겠지만
    그 안에 세균들 때문에 쌓인 독소는 어디 안갑니다.
    득보다 실이 커요. 그냥 버리세요.
    버리긴 아까우니 저라면 끓여서 길고양이 먹으라고 내놓을거 같네요.

  • 8. ..

    '17.9.3 8:23 AM (124.111.xxx.201)

    독소생각하면 고양이도...

  • 9. marco

    '17.9.3 8:42 AM (39.120.xxx.232)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034822&memberNo=1156606...

  • 10. 보관법

    '17.9.3 8:45 AM (58.224.xxx.11)

    웬 유통기한 지난 얘기하는 링크 퍼오시는지.이건 냉장보관 안 한건데;;;;;

  • 11. marco

    '17.9.3 8:45 AM (39.120.xxx.232)

    영양소가 왜 다 파괴된다고 생각하나요...
    오히려 소화가 잘되는 아미노산이 증가하여 맛도 좋아지는 것입니다.
    갓도축한 소고기는 질기고 맛도 없습니다.
    그래서 일부러 숙성실에서 숙성시켜서 먹습니다...
    잘 나가는 소고기구이집 가보세요
    다 숙성실이 있습니다.

  • 12. 고기

    '17.9.3 8:47 AM (183.104.xxx.144)

    아이고 그냥 버리세요
    유통기한은 말 그대로 먹을 수 있긴 한 데
    찝찝하죠
    먹으면서도 개운 하지도 않고
    더구나 애들 먹일 건 데...
    한 번을 먹어도 맛있게 먹어야지..
    아무리 괜찮다고 자기 최면 걸어도 저 라면 버려요

  • 13. marco

    '17.9.3 8:50 AM (39.120.xxx.232)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하루종일 상온에서 걸어놓고 판매합니다.
    그 가운데 가장 빨리 상하지 않는 고기가 소고기이기도 합니다.
    그렇게 쉽게 상하지 않습니다.

  • 14. 고기

    '17.9.3 8:50 AM (183.104.xxx.144)

    숙성하고 변질 된거 하고 같나요...
    님도 어지간히 고집불통 이네요
    주위사람 피곤 하겠어요
    다 아니라는 데 혼자 괜찮다고....

  • 15. marco

    '17.9.3 8:52 AM (39.120.xxx.232)

    냄새도 안나고 썩지도 않았는데
    무슨 변질입니까?

  • 16. 소고기 숙성

    '17.9.3 9:08 AM (59.14.xxx.103)

    소고기는 숙성시켜서도 먹는거라
    요즘 날씨면 하루정도는 괜찮을거에요.
    특별히 따뜻하고 습기찬 곳에 놓여져있던게 아니면요.

    단백질이 부패하면 지독한 냄새가 나는데,
    그런 냄새가 없고 잘익혀먹으면 괜찮을겁니다

    댓글분도 엥간히 고집스럽네요.
    숙성시킨다는 말은 효소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는 이야기인데,
    소고기는 숙성할때 기본 한달씩 놔둬도 끄떡없는 고기에요.
    숙성에 강하다는건 쉽게 상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래도 재수가 없어 부패할 가능성이 아주 없는건 아니니
    냄새를 맡아보고 단백질 썩을때 나는 지독한 냄새가 안나는지 확인하라는거죠.

  • 17. 원글

    '17.9.3 9:10 AM (125.176.xxx.76)

    거실 바닥에 놓아 놓고 같이 사온 두부만 냉장고에 넣었나 봐요.
    저는 감쪽같이 당연히 소고기도 냉장고에 넣었을거라 착각하고 있었어요. ㅜㅜ

  • 18. ㅇㅇ

    '17.9.3 9:10 AM (58.224.xxx.11)

    아니 원글자님가정 생각하면 버리라고 해야지
    아이들도 있는 집에

    님네 집고기 많이 숙성해?? 드세요

    타인들 몸 상하게 하는 조언하지 마시구요;;;

  • 19. marco

    '17.9.3 9:14 AM (39.120.xxx.232)

    어쩌면 버리라고 하는 것이 더 무책임하지 않나요...

    갑자기 의류택이 생각나네요.
    의류업체에서 굳이 드라이를 하지 않아도 될 옷에도
    드라이표시를 붙이는 거죠.
    혹시 세탁으로 인한 클래임을 방지할 목적으로...

    여러분들도 가장 쉬운 선택을 하는 것이지요.
    정말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으므로
    무조건 먹지말고 버리라는...

  • 20. ...

    '17.9.3 9:51 AM (223.62.xxx.245)

    냄새맡아서 쉬거나 맛이 변하지 않았다면 괜찬ㅎ을거에요.
    하지만 단백질 독소는 세균과 달리 익혀도 사라지지 않아요. 썩은 고기 끓인다고 달라지지 않음

  • 21. ㅁㅁ

    '17.9.3 10:17 AM (39.155.xxx.107)

    여기는 곰팡이난 쌀 씻어서 떡하라고 하고
    썩은고기 팔팔끓여 먹으라고 하는곳임

  • 22. ...

    '17.9.3 10:33 AM (203.87.xxx.191)

    당연히 버려야죠. 단백질 독소는 냄새가 날때쯤이면 이미 극히 위험한 상태고, 실온에서는 몇시간 지나면 부패가 시작되요.
    다 괜찮겠지하고 먹다가 식중독 걸리고 암 발생하는겁니다.

  • 23. 건강이 최우선이죠~~

    '17.9.3 10:36 AM (49.170.xxx.206)

    이미 사람 손 닿고 썰어놓은 고기라 숙성이랑은 달라요.
    변색 올정도면 사실 이미 상했을 가능성이 더 커요.
    냄새 한번 맡아보시고ㅡ
    상한 냄새나면 아까워도 절대 드시지 마세요.

  • 24. 체리세이지

    '17.9.3 10:46 AM (125.178.xxx.106)

    어제 좀 덥지 않았나요?ㅠㅠㅠㅠㅠ
    너무 아깝네요.
    한우 정말 욕나오게 비싸요...

  • 25. 그냥

    '17.9.3 11:21 AM (219.248.xxx.150)

    버리셨길 바래요.
    한우값보다 더 비싼 몸 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