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예방접종 횟수 - pyelyeom-yebangjeobjong hoes-su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이번달부터 국가예방접종으로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 받은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13가 폐렴구균 백신인 프리베나®13의 접종 중요성을 알리는 ‘1년 후 1번 더’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2020년 의료기관을 통해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과거 접종력 및 일자를 확인하고 1년이 지났다면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캠페인 내용을 담은 리플렛과 포스터를 제작, 병의원 대상으로 배포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65세 이상 성인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은 23가 다당질백신과 13가 단백접합백신 두 종류이며, 이 중 23가 다당질백신이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지원되고 있다.  대한감염학회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1회 접종하거나, 13가 폐렴구균 백신과 23가 폐렴구균 백신을 순차적으로 접종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처음인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자*가 두 가지 백신을 모두 접종하는 경우, 1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먼저 접종할 것을 함께 권고하고 있다.

 이 뿐 아니라, 폐렴구균으로 발생할 수 있는 폐렴은 노인에서 이환과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어 65세 이상 고령자에게는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

프리베나®13은 6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연구 (CAPiTA study) 결과, 백신혈청형 지역사회획득 폐렴 예방에 유의한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연구 결과, 백신에 포함된 백신혈청형으로 인한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첫 발병 예방 효과가 45.6%(1차 결과 변수, P<0.001), 백신혈청형 비균혈증성·비침습성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첫 발병 예방 효과가 45%(2차 결과 변수, P<0.001)로 나타났다. 5 또한, 백신혈청형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의 첫 발병 예방 효과가 75%(2차 결과 변수, P<0.001)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기도 했다.

폐렴구균 백신 접종과 관련해 본인이 대상자인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 먼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nip.kdca.go.kr/irgd/index.html)에 접속하여 23가 폐렴구균 백신 과거 접종력 확인이 필요하다.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접종 여부가 상이할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 하에 접종을 실시해야 한다.

폐렴은 국내 사망원인 3위이자 호흡기질환 사망원인 1위 질환이다. 23가 폐렴구균 백신 투여 전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투여함으로써 면역 증강 효과(Boosting effect)를 통해 더 증강된 면역 반응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화이자제약 백신사업부 임소명 부사장은 “작년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감소하는 예방접종률 제고를 위해 질병관리청에서 폐렴구균 백신 예방접종을 민간의료기관으로 확대한 바 있다 ”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백신 접종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대중들과 민간 의료기관 의료진에게 13가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알리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폐렴 구균 백신

Margot L. Savoy

, MD, MPH, Lewis Katz School of Medicine at Temple University

  • 투여
  • 부작용
  • 추가 정보

폐렴구균 백신은 폐렴 연쇄구균(폐렴구균)에 의해 유발되는 세균 감염으로부터의 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폐렴구균 감염 폐렴구균 감염 폐렴구균 감염은 그램 양성 구형(구균) 박테리아(그림 참조)인 폐렴 연쇄구균(폐렴구균)으로 인해 발생합니다.이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폐렴, 수막염, 부비동염, 중이염을 야기합니다. 폐렴구균 박테리아는 감염자들이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공기 중으로 퍼집니다. 폐렴구균 감염은 보통 열과 몸살을 유발하고, 감염 부위에 따라 그... 더 읽기 에는 귀 감염 중이염(급성) 급성 중이염은 중이의 박테리아성 또는 바이러스성 감염을 말합니다. 급성 중이염은 종종 감기 또는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서 발생합니다. 감염된 귀는 아픕니다. 의사들은 진단을 내리기 위해 고막을 검사합니다. 일부 일상적인 아동기 예방접종이 급성 중이염의 위험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더 읽기

, 부비동염 부비동염 부비동염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또는 알레르기에 의해 가장 흔하게 유발되는 부비동의 염증입니다. 부비동염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들 중 일부에는 통증, 압통, 코막힘, 그리고 두통이 있습니다. 진단은 증상들을 토대로 내려지지만 때때로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다른 영상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항생제는 기저 박테리아 감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부비동염은... 더 읽기 , 폐렴 폐렴의 개요 폐렴은 폐의 작은 기낭(폐포)과 그 주변 조직의 감염입니다. 폐렴은 전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사망 원인입니다. 종종 폐렴은 다른 심각한 만성 질병이 있는 환자들에서 사망을 야기하는 마지막 질병입니다. 어떤 유형의 폐렴은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더 읽기
, 혈류 감염 균혈증 균혈증은 혈류에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균혈증은 일반적인 활동(강한 칫솔질 등), 치과 또는 의료 시술, 또는 감염(폐렴이나 요로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공 관절이나 심장 판막이 있거나 심장 판막에 이상이 있으면 균혈증이 지속되거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커집니다. 균혈증은 일반적으로 증상을 일으키지 않지만... 더 읽기 , 뇌수막염 급성 세균성 뇌수막염 급성 세균성 뇌수막염은 세균으로 인해 뇌와 척수(뇌척수막)를 덮고 있는 조직의 층과 뇌척수막 사이의 체액이 채워진 공간(지주막하강)의 층에 급속히 발달하는 염증을 말합니다. 고학년 아동 및 성인은 일반적으로 발열 및 두통과 함께 턱을 가슴으로 내리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뻣뻣한 목 증상이 나타납니다. 영아는 뻣뻣한 목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더 읽기 등이 포함됩니다.

90종 이상의 다른 폐렴구균이 있습니다. 백신은 중대한 질병을 야기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다수의 유형들을 공격합니다. 폐렴구균 백신 종류는 두 가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접합 백신(PCV13)은 13종의 폐렴구균 박테리아(폐렴구균)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 다당류 백신(PPSV23)은 23종의 폐렴구균으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폐렴 구균 백신 투여

PCV13 백신은 근육으로 주사합니다. 접종 횟수는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정기적으로 권장됩니다.

  • 면역체계를 약화시키는 상태, 뇌척수액 누출 또는 달팽이관 이식을 받고 이전 PCV13을 투여받지 않은 65세 이상의 사람

  • 일체의 전술한 상태가 없는 65세 이상의 사람, 단 담당 의사와 백신의 상대적 위험과 이익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로 한함

PCV13 백신은 또한 폐렴 구균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6~64세의 사람들에게도 권장됩니다. 이 사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뇌척수액 누출이 있는 사람

PPSV23 백신은 피하 또는 근육으로 주사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정기적으로 권장됩니다.

  • 만 65세 이상의 모든 사람

만 65세 이상의 사람이 65세 미만일 때 PPSV23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 첫 접종 후 최소 5년 후에 2차 접종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64세에 1차 접종을 받았다면 69세 이후에 2차 접종을 받습니다.

PPSV23 백신은 또한 폐렴 구균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만 2~64세의 사람들에게도 권장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상기) PCV13 백신에 언급된 그룹

  • 알코올 사용 장애가 있는 사람

  • 흡연자

PPSV23 백신은 폐렴 구균 폐렴의 일부 심각한 합병증(혈류 감염 등)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나, 쇠약한 고령자에서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65세에 처음 폐렴 구균 백신 접종을 받는 경우, 1차로 PCV13 백신을 접종하고 1년 후에 PPSV23 백신을 접종합니다. 이미 PPSV23을 접종받은 경우, 가장 최근 PPSV23 접종 후 최소 1년이 지난 시점에 PCV13을 접종받아야 합니다.

폐렴 구균 백신의 부작용

때때로 주사 부위에 통증이 있으며 충혈됩니다. 다른 부작용으로 열, 짜증, 졸음, 식욕 부진, 구토 등이 포함됩니다.

추가 정보

다음과 같은 일부 영문 자료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본 매뉴얼은 이 참고 자료의 내용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2022 Merck & Co., Inc.(Rahway, NJ, USA) 및 소속 계열사. All rights reserved.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