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우리 모두 알다시피, 모든 기계는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며 작은 부품 중 하나에 문제가 있으면 전체 제품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를 사용할 때 종종 작은 문제가 발생하지만 해결 방법을 모릅니다. 이 기사를 읽은 후, 플로트 형 수위 센서의 일반적인 결함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게됩니다.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질문 1 : 신호 출력이 비정상적이고 자기장 간섭이 있습니다

해결책 : 자기장을 제거하십시오.

질문 2 : 작동 중에 수위 센서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해결책 : 플로트의 비중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그런 다음 플로트에 물체가 끼어 있는지 확인한 후 청소하십시오.

질문 3 : 플로팅 볼 움직임, 신호 출력 없음

솔루션 : 플로트 위치가 오프셋되었는지 확인하고 플로트 위치를 조정하십시오. 또는 리드 스위치가 손상된 경우 리드 스위치를 교체하십시오.

질문 4 : 신호가 남아 플로트를 복구 할 수 없습니다

솔루션 : 플로팅 볼은' 돌아올 수 없으며, 플로팅 볼이 물체에 걸리는지 확인하고 제거하십시오. 또는 플로트가 누출 된 경우 플로트를 교체하십시오.

위는 플로트 타입 수위 센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까? 플로트 타입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단순한 레벨 스위치 일 뿐이지 만 멈춤과 같은 일부 문제는 피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모두 혁신 없이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플로팅 볼 타입의 경우, 점성 또는 불순물이 포함 된 액체에 사용할 수 없으며 플로트가 쉽게 붙어 움직이지 않으며 광전 액체 레벨 센서에 이러한 문제가 없으며 외관 디자인 광전 액체 레벨 센서는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Q>플로트레벨스위치 쓸 때 급수는 무슨 접점을 쓰고 배수는 무슨 접점을 쓰는지

 

동작특성상 급수는 b접점.. 배수는 a접점을 사용하게 됩니다.

플로트레벨스위치도 그 종류가 많죠

보통 기기옆면을 보시면 회로도가 첨부되어 있죠.

그 회로도를 기본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Q>그리고 플로트스위치에서 보면 E1,E2,E3가 있는데 그것이 어떻게 작용해서 펌프가 돌도 펌프가 꺼지는지요.

 

E1,E2,E3는 전극봉을 구별하기 위한 하나의 번호[기호]입니다.

순서는 회로를 구성하는 사람 맘이죠.

그러나 보통 플로트릴레이에 있는 순서로 설치를 해주어야 보수 및 관리할 때 혼동을 피할 수 있습니다.

전극봉에서의 동작특성은 아래 회로도를 참고로 보세요.

아래와 같은 원리로 배수펌프를 동작시키는 것입니다.

물이 스위치역활을 하면서 펌프를 기동시키게 되는거죠.

 

참고로  배수펌프 전극봉에 사용하는 전압은 AC36V 이하로 사용해야 합니다.

전압이 높을경우 감전의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DC의 경우는 AC와 달리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동작을 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자료출처: "전기시설관리_정보공유" 카페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HOOK'S TEC

'전기기능사 >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수변전 약호  (0)2014.04.07각종 계전기 내부 접속도  (0)2014.04.07기능사 필기문제 단원별 출제비율  (0)2014.02.27전기기능사 시험에 합격시켜 준 요점정리 - 전기설비  (1)2014.02.27전기기능사 시험에 합격시켜 준 요점정리 - 전기기기  (0)2014.02.27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정화조 판넬입니다.  얼마전부터 정화조 펌프가 작동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오뚜기센서가 고장인가 싶어 오뚜기를  교체하였고, 그래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

중간 좌측 에 보이는 BS-FS2 라고 적혀있는 플루트리스콘트롤 도 교체하였습니다.

그래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정화조가 어느정도 차면 오뚜기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펌프가 작동을 해야하는데,

물이 차도 작동을 하지 않고 경보음만 삐삐삐 하고 울립니다.

그러면 좌측 상단에 보이는 파란색 차단기를 내렸다 올리면 다시 정상작동합니다.

남은건 이제 마그네트스위치만 남았는데, 마그네트스위치는 고장나면 아예 접점이 붙지 말던가

딸깍딸깍 거리며 붙었다 떼여졌다 반복하는 경우는 봤어도, 

이렇게 작동을 아예 안하다가 전원을 껐다 켜면 다시 작동하는 고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을까요?

반응형

급․배수펌프 플로트레스(FloatLess) 스위치 결선도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급․배수펌프 플로트레스(FloatLess) 스위치 시퀀스도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플로트레스 시퀀스도>

 

 

 

급수 결선도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급수결선도>

 

 

수면이 E1까지 올라가면 펌프가 자동 정지되며, E2이하로 내려가면 모터가 자동 운전됩니다.

 

배수 결선도

플로트레스 스위치 고장 - peulloteuleseu seuwichi gojang
<배수결선도>

 

수면이 E1까지 올라가면 펌프는 자동 기동되며, E2이하로 내려가면 펌프가 자동 정 지 됩니다.

※E2위 길이는 펌프 흡입구보다 약간 높아야 공회전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전기공사 이야기

저작자표시

'공사교육자료 > 전기 - 공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상 전자식 전력량계(저압) 계측원리  (0)2020.11.25전동기 출력 계산식 / 공식  (0)2020.11.23동심중성선케이블(CNCV)의 종류/특징  (0)2020.11.18용량별 배선용차단기 산정방법  (0)2020.11.17전기회로기초(옴의법칙/와트의법칙)  (0)2020.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