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Ϲ�� ���ڰ� �߻����� �ʽ��ϴ�.- ���ϱ������� ���PIT�� ���ʿ��մϴ�.- �������ı� �� ����ó�������� �����Ͽ� ����Ⱓ�� �����
   ���� �� �־� �������Դϴ�.- ������ �������̰� ������ ��ΰ� ������ �ʽ��ϴ�.- ���ó���� U-BLOCK���� ���� �����մϴ�.- ���߿� ����� �ߵ�� ����ü�� ����Ǿ����ϴ�.- �ٴ��� �ܿ�, ���¿� ȿ���� �پ�ϴ�.- ģȯ���ǰ ������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پ��� ���� �ܸ� : THK 30, 45, 70, 120, 200mm- ������ : �ռ����� ����ǰ���� �ݿ�����.- �����߼� : ��ũ��Ʈ ���� ������ �پ �����߼�- �ð��� : �淮���� ��� �� ������ �����ϰ�, �����ð� ����- Ÿ�������輺 : ������ ���Ա����� ��ź�۾�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 ����, �����, �ͳ�, ����ö
  ������, �����, ����������, ��Ŀ, ź�����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ǰ��������������m�� ��뷮

��ǰ��ü ��������
(����:N/�Ŵ�)

������ ���� ��ũ��Ʈ
�ҿ䷮ (m����)B30500500304��50,000 N�̻�0.0127m��B40500500404��(�ѱ��Ǽ���������� ����ǰ)B45500500454��50,000 N�̻�0.0123m��B70500500704��50,000 N�̻�0.0160m��B1205005001204��30,000 N�̻�0.0288m��B2005005002004��30,000 N�̻�0.0509m��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1. ����DZ��2. ���ܺ� ������ ���̱�3. ��ũ��Ʈ Ÿ�� ��4. �ð��Ϸ�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MzAwcHgnIGhlaWdodD0nMzAwcHgnIHZpZXdCb3g9JzAgMCAzMDAgMzAwJz4KPCEtLSBFTkQgT0YgSEVBREVSIC0tPgo8cmVjdCBzdHlsZT0nb3BhY2l0eToxLjA7ZmlsbDojRkZGRkZGO3N0cm9rZTpub25lJyB3aWR0aD0nMzAwLjAnIGhlaWdodD0nMzAw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DAuNS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IPC90ZXh0Pgo8dGV4dCB4PScxMjYuMScgeT0nMTg2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Z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4yPC90ZXh0Pgo8dGV4dCB4PScxMzguMC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ODVweCcgaGVpZ2h0PSc4NXB4JyB2aWV3Qm94PScwIDAgODUgODUnPgo8IS0tIEVORCBPRiBIRUFERVIgLS0+CjxyZWN0IHN0eWxlPSdvcGFjaXR5OjEuMDtmaWxsOiNGRkZGRkY7c3Ryb2tlOm5vbmUnIHdpZHRoPSc4NS4wJyBoZWlnaHQ9Jzg1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y4zJyB5PSc1My42JyBjbGFzcz0nYXRvbS0wJyBzdHlsZT0nZm9udC1zaXplOjIz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RTg0MjM1JyA+SDwvdGV4dD4KPHRleHQgeD0nMjguMicgeT0nNjIuOScgY2xhc3M9J2F0b20tMCcgc3R5bGU9J2ZvbnQtc2l6ZToxNX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0U4NDIzNScgPjI8L3RleHQ+Cjx0ZXh0IHg9JzM1LjAnIHk9JzUzLjY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N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356 Skeleto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mages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판 - jiha juchajang badag baesupan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3Epox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Abstract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을 비롯한 건물의 최저층 바닥면에 마치 보도블럭과 같이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 면적 및 두께를 갖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사방 모서리 저면 및 중앙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되는 사이드 지지체 및 센터 지지체와;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닿지 않는 두께를 가지면서 각 사이드 지지체 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몸체판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사이드 보강체와; 상기 사이드 보강체와 동일 두께를 가지면서 각 사이드 지지체와 센터 지지체 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몸체판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센터 보강체와; 상기 사이드 지지체 및 센터 지지체의 저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용 홈내에 삽입되는 수평 맞춤용 금속핀과; 으로 구성하여, 상기 수평 맞춤용 금속핀의 하단을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 지지체 및 센터 지지체의 저면과 기초 콘크리트 표면 간을 접착제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Drain board for base floor of construction}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을 비롯한 건물의 최저층 바닥면에 마치 보도블럭과 같이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최저층(예를 들어, 건물의 지하 주차장)의 바닥 및 외벽에 대한 방수공사가 완벽하게 시공되었더라도, 지하외벽이나 최하층바닥과 같이 지반과 접하는 부위는 지하수의 수압으로 인하여 시일이 경과하면 지표수나 지하수가 스며들어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누수 이외에도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최저층의 바닥을 청소할 때 사용된 오수와, 우기시 건물 내로 유입된 우수 등이 배수경로로 적절하게 배출되지 않고 일부가 지하층으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건물의 터파기 후에 타설된 버팀 콘크리트 및 기초 콘크리트를 통하여 지반 내지 지하 토사층으로부터 지하수 등과 같은 물이 스며들어 건물의 최저층 바닥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건물의 최저하층으로 유입되거나 누수되는 물은 벽체 등에 흡수되어 벽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특히 물의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최저층의 지하주차장 표면이 흥건히 젖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실내 습도를 높이고 곰팡이가 피는 등 전반적인 지하 실내환경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누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및 기초 콘크리트 타설후, 그 위에 시공면적 크기에 상당하는 일체형 배수판을 배치하는 단계와, 일체형 배수판 위에 금속 메쉬를 덧댄 다음,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무근 콘크리트 표면에 실질적인 지하 바닥층 표면이 되는 방수도장층(예를 들어, 에폭시 페인트)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수판 시공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배수판은 연속적인 요철 구조로서, 그 저부의 홈 부분이 배수로가 된다.

    따라서, 버팀 콘크리트 및 기초 콘크리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배수판의 배수로를 따라 건물의 배수구쪽으로 흐르면서 집수정으로 집수되도록 함으로써, 지하 바닥층 표면까지 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판을 이용한 방법은 건물의 지하층 전체 면적에 걸쳐 일체형 배수판을 배치하고, 그 위에 금속 메쉬를 덧댄 다음,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상 타설 및 시공법이므로, 양생을 위한 수일 동안 다른 작업을 진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 등의 출입이 불가하여,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특정 부위에 누수가 발생하여 보수 공사를 실시하는 경우, 배수판 자체가 일체형이기 때문에 배수판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제거된 부분에 새로운 배수판을 이어주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결국 보수 공사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보수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물의 최저층(지하주차장 및 보행로 등) 바닥면을 이루는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마치 보도블럭과 같이 하나씩 조립시키면서 배치하여 매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공기 단축을 비롯하여 보수 공사가 매우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면적 및 두께를 갖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사방 모서리 저면 및 중앙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되는 사이드 지지체 및 센터 지지체와;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닿지 않는 두께를 가지면서 각 사이드 지지체 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몸체판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사이드 보강체와; 상기 사이드 보강체와 동일 두께를 가지면서 각 사이드 지지체와 센터 지지체 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몸체판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센터 보강체와; 상기 사이드 지지체 및 센터 지지체의 저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용 홈내에 삽입되는 수평 맞춤용 금속핀으로 구성하여, 상기 수평 맞춤용 금속핀의 하단을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 지지체 및 센터 지지체의 저면과 기초 콘크리트 표면 간을 접착제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판의 저면에는 사이드 지지체 및 센터 지지체 이외에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 지지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판의 평면 형상은 서로 조립 가능한 직사각형, 사다리꼴, 물결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위에 와이어 메쉬가 덧대어져 일반 미장작업에 따른 무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판과 몸체판 사이틈새에 충진 백업재와, 각 몸체판과 수평을 이루는 코킹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을 미리 제작 구비하여, 건물의 최저층(지하주차장 및 보행로 등) 바닥면을 이루는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보도블럭과 같이 하나씩 조립시키면서 부착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즉, 기존의 배수판은 건물의 최저층 전체 면적에 걸쳐 한 번에 현장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됨에 따라, 공사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 중 및 시공완료 후 양생을 위한 수일 동안 출입이 불가하여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의 배수판은 건물의 최저층 전체 면적중 한쪽 영역부터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공사 시간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최저층에 대한 출입이 언제든지 가능하여 다른 작업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수 공사가 필요한 경우, 누수가 발생되는 영역의 해당 배수판 만을 제거하면 되므로 보수 공사가 매우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에 대한 시공 과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물결형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의 저면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의 이동 적재시 적층 가능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최저층(예를 들어, 지하주차장) 바닥은 지반에 타설되는 버팀 콘크리트와, 이 버팀 콘크리트 위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로 구성되지만, 지반으로부터의 지표수나 지하수가 버팀 및 기초 콘크리트를 통하여 스며들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배수판을 시공하여 기초 콘크리트 표면 위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판의 배수로를 따라 건물의 집수정으로 유도하고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최저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을 제공하되, 특히 보도블럭과 같이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판(10)은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목재, 강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일정 면적 및 두께를 갖는 평판형의 몸체판(11)을 골격체로 하고, 이 몸체판(11)의 사방 모서리 저면 및 중앙 저면에는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안착되며 부착되는 일종의 지지다리 역할을 하는 사이드 지지체(12) 및 센터 지지체(1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배수판(10)은 몸체판(11)을 비롯하여 사이드 지지체(12) 및 센터 지지체(13)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여,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시공될 수 있지만, 건물의 최저층을 이루는 지하주차장에 자동차가 빈번하게 왕래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주행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보강 구조물을 일체로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몸체판(11)의 저면 중 사방 변쪽에 각 사이드 지지체(12)를 일체로 연결하는 사이드 보강체(14)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 이 사이드 보강체(14)는 배수 흐름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사이드 지지체(12)의 상하방향 두께(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판(11)의 저면 중 대각선 방향쪽에 각 사이드 지지체(12)와 센터 지지체(13) 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센터 보강체(15)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센터 보강체(15)도 사이드 보강체(14)와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수판(10)의 골격을 이루는 몸체판(11)의 평면 형상은 첨부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직)사각형, 평행사변형 물결형 등 평면 방향을 따라 밀착 또는 조립 가능한 구조이면 어떠한 형상도 채택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배수판에 대한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첨부한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최저층(예를 들어, 지하주차장) 바닥면을 이루는 전체 기초 콘크리트(32) 면적중, 한쪽 영역에서부터 배수판(10)을 부착하고, 연속적으로 배수판(10)을 평면방향을 따라 부착하게 된다.

    이때, 기초 콘크리트(32)의 표면은 콘크리트 타설 특성상 완전한 수평 상태를 이루지 못하므로, 각 배수판(10)에 대한 수평 맞춤 작업이 선행된다.

    즉, 상기 몸체판(11)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사이드 지지체(12) 및 센터 지지체(13)의 저면에 높이 조절용 홈(16)이 형성되는데, 이 높이 조절용 홈(16)내에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지지되는 수평 맞춤용 금속핀(17)을 삽입하여, 각 배수판(10)의 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사이드 지지체(12)에 형성된 높이 조절용 홈(16)내에 동일한 높이의 수평 맞춤용 금속핀(17)을 삽입하는 동시에 수평 맞춤용 금속핀(17)의 하단을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지지시킨 경우, 배수판(10)의 수평이 맞으면 연이어 배수판(10)의 부착 작업이 진행될 수 있지만, 반면에 3개의 사이드 지지체(12)의 수평은 맞고, 나머지 1개의 사이드 지지체(12)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수평이 맞지 않는 사이드 지지체(12)의 높이 조절용 홈(16)에 다른 높이를 갖는 수평 맞춤용 금속핀(17)을 삽입하면서 배수판(10)의 수평을 조절하면 된다.

    이렇게 기초 콘크리트(32)의 표면에 배치되는 각 배수판(10)에 대한 수평 맞춤 작업이 완료되면, 배수판(10)을 접착제(18)로 접착 고정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접착제(18)는 에폭시 수지 또는 PC용 몰탈로 채택된 것으로서, 수평 맞춤용 금속핀(17)을 감싸면서 몸체판(11)의 각 사이드 지지체(12) 및 센터 지지체(13)의 저면과 기초 콘크리트(32) 표면 간에 도포된다.

    이렇게 몸체판(11)의 각 사이드 지지체(12) 및 센터 지지체(13)의 저면과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이 접착제(18)에 의하여 상호 접착됨에 따라,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대한 배수판(10)의 접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대한 배수판(10)의 접착 고정이 진행된 후, 각 배수판(10)의 몸체판(11) 상면에 무근 콘크리트(22)를 타설하는 작업이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5에서 보듯이 각 배수판(10)의 몸체판(11) 상면에 와이어 메쉬(21)를 덧댄 다음, 일반 미장작업에 따른 무근 콘크리트(22)가 타설되고, 타설된 표면에 에폭시 페인트와 같은 방수 코팅층(34)이 코팅된다.

    기존에는 건물의 최저층 전체 면적에 걸쳐 일체형 배수판을 깔고, 그 위에 고가의 타설기계를 이용하여 한 번에 무근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는 고비용 방식을 적용하였지만, 이와 달리 본 발명은 하나의 배수판(10)에 대하여 일반 미장에 의한 무근 콘크리트(22)가 개별적으로 타설됨으로써,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비교적 저렴한 일반 미장작업에 의하여 무근 콘크리트 작업이 진행되므로 타설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때, 각 몸체판(11)의 상면에 무근 콘크리트(22)를 개별적으로 타설함에 따라, 각 몸체판(11)의 무근 콘크리트(2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지만, 도 5에서 보듯이 무근 콘크리트(22)의 사이틈새에 일종의 실링재와 같은 백업재(23)를 충진한 다음, 각 무근 콘크리트(22) 표면과 수평을 이루는 코킹재(24)를 압입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대한 배수판(10)의 접착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후, 각 배수판(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한꺼번에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대한 배수판(10)의 접착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후, 각 배수판(10)의 몸체판(11)과 몸체판(11)이 밀착 조립되는 상태가 되지만, 몸체판(11)과 몸체판(11)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몸체판(11)과 몸체판(11) 간의 사이틈새에 일종의 실링재와 같은 백업재(23)를 충진한 다음, 각 몸체판(11)과 수평을 이루는 코킹재(24)를 압입시킨다.

    이어서, 각 배수판(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와이어 메쉬(21)를 덧댄 다음, 한꺼번에 무근 콘크리트(22)가 타설되고, 양생후에 무근 콘크리트(22) 표면에 에폭시 페인트와 같은 방수 코팅층(34)을 코팅하게 된다.

    한편, 건물의 최저층을 이루는 지하주차장에는 차량이 빈번하게 왕래하는 바, 일반 승용차와 달리 상용차량(예를 들어, 2.5t 이상의 트럭)이 지나가는 경우, 배수판(10)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첨부한 도 10a 및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판(11)의 사이드 지지체(12) 및 센터 지지체(13) 이외에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 지지체(19)를 몸체판(11)의 저면에 더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판(11)의 저면에 형성된 사이드 보강체(14) 및 센터 보강체(15)의 소정 위치에 기초 콘크리트(32) 표면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보강 지지체(19)를 더 형성해줌으로써, 대형 차량의 하중까지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판(10)을 제작공장에서 시공현장까지 안전하게 적재하여 이송시키기 위하여, 첨부한 도 11a 및 도 11b에서 보듯이 몸체판(11)에 적층 가능한 구조를 부가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