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스위치 조이콘 오류 - nintendo seuwichi joikon olyu

몇일전에 스위치를 구매 했습니다 ;ㅅ;

젤다 꿈섬을 하려고 말이죠. 그런데 이상하게 잘~ 달리다가 갑자기 굼벵이처럼 걸어다니는겁니다. ㅡㅡ

스위치 조이콘 달리기/걷기 오류로 검색해보니, 이거 제법 여러사람이 흔하게 겪는 문제 더군요.

처음엔 이게 뭔가 내가 잘못 조작 한것으로 착각했었다죠...ㅋㅋㅋ

저의 경우엔 우측으로 이동할때에 힘을 주어서 누르지 않으면 달리기가 안되더라고요.

교환하러 가야하는가?라고 생각 하고 있엇는데, 이게 쉽게 해결 가능한 문제더군요.

일단 본체메인 화면에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메뉴를 살펴보면 아래쪽에 "컨트롤러와 센서"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그 메뉴에 세부 사항에 보면 "스틱 보정"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그걸 선택 한후 문제가 있는 아날로그 패트를 "콕" 눌러 주면 감도 측정 화면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거기서 방향조작을 해보면 어느쪽이 감도 불량인지 알 수 있습니다.

X버튼을 누르면 보정이 시작 됩니다.

삼각형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조작을 한번씩 해준 후 화면에서 시키는대로 한바퀴 돌려주면 간단하게 정이 완료됩니다.

보정 후 실제 게임에서 확인 해보면 캐릭터가 기어다니는 현상이 사라져 있을 겁니다!!

진짜 이게 검색으로도 해결 방법이 잘 나오지 않는것 같아서 혹시나 모를 곤란한 분들을 위해 간만에 글 작성 해보네요.

스위치 라이트 살려다가 그냥 구버전 스위치 삿는데 라이트 안사길 잘한것 같네요.

조이콘 불량때문에 말이 많아서...a

여튼 게임상에서 달리기가 잘 안되는 문제는 위 방법으로 대부분 해결 될거라 생각합니다. 

닌텐도 스위치 조이콘 쏠림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 모음

여러 게임 커뮤니티에서 조이콘 쏠림 문제에 대해 제시한 해결책을 정리한 글입니다. ‘가’ 항목부터 해보기 쉬운 순서대로 작성하였습니다. 귀찮으신 분들은 ‘마’ 항목 먼저 시도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조이콘 이상 현상은 주로 1. 통신 오류 2. 이물질 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가~다 와 바는 통신 오류에 대한 해결책, 라, 마 는 이물질에 대한 해결책입니다.

이 방법들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한국 닌텐도에서 구매하셨다면 AS를 맡기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가. 캘리브래이션

홈 – 하단 System Settings – 좌측 Controllers and Sensors – Calibrate Control Sticks 를 선택합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쪽의 조이콘을 위에서 꾹 눌러줍니다. 조이콘을 모든 방향으로 돌려보며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약 손을 대지 않았는데도 방향이 입력되면, X 버튼을 눌러서 안내 문구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조이콘을 움직여서 조이콘 방향 입력을 재설정합니다.

게임을 하면서 조이콘 쏠림 현상을 자주 겪으신 분들이라면, 아예 캘리브래이션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의 경우에는 위쪽으로의 쏠림이 너무 심해서 아래 방향 설정에 실패했습니다.) 혹은 캘리브래이션을 한 번 설정한 후에도 쏠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실패

나. 컨트롤러 업데이트

홈 – 하단 System Settings – 좌측 Controllers and Sensors – Update Controllers 를 선택합니다. 쏠림이 나타나는 조이콘을 본체에 연결해주면, 연결된 조이콘을 업데이트 합니다.

이미 업데이트를 한 분이라면, ‘All connected controllers are already up to date’ 문구가 출력됩니다. -> 실패

다. 조이콘 다시 연결하기 / 출처: https://youtu.be/3B6IU-1okEo

홈 – 하단 System Settings – 좌측 Controllers and Sensors – Disconnect Controllers 를 선택합니다. X 버튼을 눌러서 조이콘 연결을 해제하고 조이콘을 분리합니다. 스위치 전원을 꾹 눌러서 Power option – Turn off 를 선택합니다. 스위치를 켠 다음 조이콘을 다시 연결합니다.

이물질에 의한 쏠림 현상이라면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 실패

라. 호호 불어주기

조이콘의 대략적인 구조입니다. 고무막 안 쪽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조이콘 쏠림 현상이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핀셋이나 손톱으로 고무막을 살짝 들어낸 다음, 안쪽 부분을 세게 불어주시면 됩니다. 입으로 직접 불어주셔도 되고, 자전거 펌프나 에어 펌프 등으로 바람을 넣어주셔도 됩니다.

이 방법으로 문제가 일시적으로 해결될 수는 있으나, 경우에 따라 쏠림 현상이 지속적으로 다시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실패

고무막을 들어내다가 고무막이 찢어지거나, 입으로 바람을 불어주다가 다른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접점 부활제

BW-100 (접점 부활제) 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녹여서 접촉 불량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조이스틱의 고무막을 들어내고 안 쪽에 BW-100을 몇 번 분사해줍니다. 휘발성이기 때문에 분사 후 조금만 기다리시면 됩니다.

비슷한 방법으로 WD-40(방청윤활제) 을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WD-40은 완전한 휘발성이 아니기 때문에 극소량만 분사한 다음에 조이콘을 몇 번 돌려서 윤활제가 퍼지도록 해줘야 합니다.

많은 해외/국내 유저들이 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아직까지는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둘 다 화학 약품이고 조이콘 자체의 내구도가 매우 낮으므로, BW-100이나 WD-40에 대해서 알아보신 다음에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특히 WD-40의 경우는 사용 목적이 조금 다르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스펀지 넣기 / 출처: http://blog.naver.com/ideungam/221186668935

조이콘 쏠림 현상보다는 통신이 끊기거나, 접속이 안되는 등의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조이콘 뒷판을 열고 전지 부분을 완전히 들어내면 조이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앙에 아날로그 스틱 모듈이 있으며, 보드의 소켓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아날로그 스틱 모듈과 조이콘 바깥쪽 벽면에 스펀지 조각(매직블럭 또는 conductive foam)을 잘라서 넣어줍니다.

해외판 스위치를 초기에 사신 분한테만 적용되는 해결 방법입니다. 그 외의 분들은 이미 스폰지가 넣어져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자세한 사항은 출처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사. 아날로그 스틱 모듈 직접 교체 / 출처: https://youtu.be/euHqZBTVahw

조이콘의 아날로그 스틱을 직접 교체하는 방법으로, 3DS의 아날로그 스틱을 교체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조이콘 쏠림 현상이 아니더라도, 아날로그 스틱이 부서지거나 오랜 사용으로 부식되었을 때도 이 방법으로 수리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조이콘 내부를 열어서 스틱 모듈을 확인합니다. 소켓과 연결선을 분리하고, 나사를 제거한 뒤 새 아날로그 모듈을 연결하고, 역순으로 조립해주면 됩니다.

출처의 동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영상에서 사용한 부품은: https://amzn.to/2R5bYrL 입니다.

조이콘 내부 부품이 정교하고, 연결선이 많으니 해부/조립하실 때 주의하길 바랍니다.

잘못된 정보, 새로운 정보가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