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건축 - namu geonchug

3'00" 읽기
- 주거와 상업용 건물 모두에서 목재 사용 최대화하면 연간 약 2,100만 톤의 CO2 제거
- 목재를 약 36㎡ 사용한 목조주택 1동에서 무려 9톤(t)의 탄소를 저장
- 사무실 환경에서 나무와 식물이 주는 스트레스 감소 효과

“친환경 목조 건축”은 지구의 명령

옛말에 ‘집은 다른 사람이 지은 집에서 살고 나룻배는 자기가 만든 것을 타라’는 경구가 있다. 손수 집짓기가 어렵고 고생스럽다는 의미다. 100층이 넘는 마천루 같은 건축물도 서울의 랜드마크가 됐고, 30-40층을 올리는 철골콘크리트 주거 건물은 뚝딱! 하면 만들어진다고 할 정도로 쉽게 완성된다.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 나무가 주는 안락함에 기후위기 시대에 더욱 필요성이 절대적이다.

건축 시장의 한편에서는 목조·목골 주택의 건축 붐이 꾸준히 일고 있다. 나무가 주는 안락함에 기후위기 시대에 더욱 필요성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과 관련해 재료 선택이 중요하다. 목재는 자연적이고 재생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건축 자재다.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 모두에서 목재 사용을 최대화하면 연간 약 2,100만 톤의 CO2를 대기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는 도로에서 440만 대의 자동차를 없애는 것과 같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나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뿜는 과정에서 몸 안에 탄소를 저장해 '탄소 통조림'으로 불리기도 한다. 실제로 목재를 약 36㎡ 사용한 목조주택 1동에서 무려 9톤(t)의 탄소를 저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조건축 1000㎡를 조성하면 탄소 130t을 저장할 수 있으며, 탄소 대체효과도 270t에 달한다.

나무가 주는 이로운 점


나무는 생산되지 않는다. 성장한다. 나무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은 태양, 흙, 비다. 자연적으로 자라며 활기찬 생태계를 형성하고 생명에 필요한 산소와 나무라는 귀중한 자원을 제공한다. 나무는 CO2를 흡수해 일시적으로 온실 효과의 대기를 완화한다. 

목재는 탄소 발자국이 적기 때문에 매력적인 소재이며, 에너지와 물을 덜 사용하고 지속가능하게 관리되는 산림에서 100% 재생 가능하다. 건축에서 목재는 매우 유연하고 가벼우며 동시에 튼튼하다. 또한 조립식에 적합하며 건설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잘 설계된 목조 건축물은 완벽하게 화재에 안전하며 법적으로 요구되는 것보다 훨씬 더 지진에 안정적이다.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목재는 효율적이고 빠르며 예측이 가능하다. 엔지니어링 목재는 강도 대 중량 비율이 높은 고도로 개발된 건축 자재로 여러 중요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시장 건물 요소의 사전 제작으로 이러한 부품의 현장 조립이 신속하게 완료되어 건설 시간, 날씨 의존성 및 거주자의 불편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목재는 "분해 설계"에 적합하며 쉽게 재활용할 수 있다. 나무는 유기 물질로서 숨을 쉬고 편안하고 건강한 실내 기후를 유지할 수 있다. 목조 구조의 환경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주어 혈압과 맥박을 낮추고 진정 효과를 발휘한다. 과거에 뿌리를 둔 우리는 나무 건축물을 대함으로써 안락함과 아늑한 느낌을 갖는다.

작업환경에서 나무 재질과 인간 스트레스 상관 테스트


수년 전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서 수행한 연구에서는 인간의 스트레스 반응을 담당하는 자율 신경계의 두 가지 분지를 측정해 사무실 환경에서 나무와 식물이 주는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테스트했다. 

연구팀은 119명의 학부생을 다음 네 가지로 배정했다. 방 4개 중 1개에는 1) 나무와 식물이 공존, 2) 나무는 있고 식물이 없는 것, 3) 나무는 있고 식물이 없는 것, 4) 나무와 식물이 모두 없는 것. 나무에 노출된 피험자들은 연구의 모든 기간에서 교감 신경계(투쟁 또는 도피라고도 함) 반응이 더 낮았다. 부교감신경 활성화나 스트레스 회복에 대한 치료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서 수행한 연구

연구에 따르면 이 효과의 실질적인 의미는 증거 기반 및 생물 친화성 설계의 일부로 목재를 실내에 적용하여 스트레스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까지 목재 인테리어와 생산성 사이의 연관성은 일화적이었다. 나무가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Forest and Wood Products Australia가 자연, 생체친화성 디자인 및 목재를 개선된 신체적, 정신적 웰빙과 연결하는 연구를 의뢰했다. 

이 연구는 1,000명의 호주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목재의 존재와 직장에서의 직원의 전반적인 만족도, 결근률 감소, 집중력 향상 및 생산성 향상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천연 목재 표면이 20% 미만인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최대 30% 덜 만족한다. 목재 비율이 높은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비해 생산성도 감소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계속)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 #생체친화성설계
  • #탄소통조림
  • #엔지니어링목재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 편집국 기자 이메일 다른기사보기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 ���� �������� ������ ���� '�񿬸�'

������ + ����Ʈ��Ű���ķ�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 ���� ��ȭ ü�踸���� ������ ������� ���繮ȭ���� �޸� ������ ���� ������ ���衯�� �������� �ؼ��� ������Ʈ�̴�. ���� ������ ���̷� �޻��� �������� �ٶ� ��� ����� �����ӿ� ���� �޻��� ũ�� �۰� ������ �����ɴ� �� �ǽð����� ��ȭ�ϴ� ���� �����⸦ ������ �߻����� �����Ͽ���. ������ �̷��� �� �ִ� �������� ü���� ���������� ��� ���翡 ���� �پ��� ������ ������ �̷������� �ϱ� �����̴�. �ں�𽺿��� ������ ��, �ܺθ� �����Ŵ���ν� �پ��� ��Ȳ�� ���� ������ ���� �������� ������ ���������� �ϱ����. �����������δ� �츮���� ��������� ������ ���������� �ؼ��Ͽ� ������ ÷�� ����� ������ ������� ��ȭ�� ��췯����. (�� ������ ����Ʈ��Ű���ķ� ��ǥ / ���� �ڼ��� ����)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나무 건축 - namu geonchug

����

������ + (��)����Ʈ��Ű���ķ�

������

������, ����ö, �常��

��ġ

��õ�� ������ ���׹̷� 286 �Ͽ� (��õ����� ��)

��������

524,358.86m2 (���� ��ü)

����

1�� +���� ������ ���

�����

�������� �� ģȯ�� ����������Ʈ, ��ȭ����, ���鳪�� ������

��������

SDM ���������繫��

����Ⱓ

2015. 5. ~ 2016. 2.

�ð��Ⱓ

2016. 2. ~ 2017. 1.


�����ִ� �������հ����繫�ҿ��� �ǹ� �� �����ո��������п����� ���� ���������� ��ġ ��� ���ͷ��ǵ����� ������ �ڻ������� �޾Ҵ�. �ñ׶��� 2009���� ����� �̵���Ʈ�� ���յ� ��ǰ�� ��ǥ������, 2011 ���ֵ����κ񿣳��� �ʴ��۰���. 2017 �ѱ����డ��ȸ Ư����, 25ȸ ��������(WA), �Ƹ޸�ī �����(AAP), 2018 �ѱ�������ȭ���, 2019 �ѱ�������ȸ����ȸ �ʴ��۰���, ����� ������ ����� ����, ���ѹα� ����Ʈ���ð������� �����ߴ�. ��SPACE(����)�� ������, �������հ����繫�� �̻縦 ��������, ���� (��)����Ʈ��Ű���ķ��� ��ǥ�� ���� �۾�, �۾���, ���� �����ΰ��� ���� �۾��� ���� ���ÿ� ������ ��õ�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