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향성 마이크 종류 - jihyangseong maikeu jonglyu

지향성 마이크 종류 - jihyangseong maikeu jonglyu

마이크 지향성과 폴라 패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마이크의 지향성(directionality)은 마이크의 수음력이 큰 방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 한쪽 방향이 수음이 크게 되면 단일 지향성이고 전방향 모두 동일하게 수음된다면 무지향성입니다.

마이크 지향성은 크게 네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단일 지향성 (cardioid)
  • 무 지향성 (omnidirectional)
  • 초 지향성 (super cardioid)
  • 양 지향성 (bidirectional)
지향성 마이크 종류 - jihyangseong maikeu jonglyu
폴라 패턴 (polar pattern)

폴라 패턴 (polar pattern)은 마이크를 중심으로 360도 입력 감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단일 지향성 (cardioid)

지향성 마이크 종류 - jihyangseong maikeu jonglyu
단일 지향성 (cardioid)

단일 지향성은 마이크 진동판 기준으로 앞 부분의 수음력이 큽니다. 주변 소리가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라이브 공연에서는 대부분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합니다.

PC 팬소리 같은 것이 크거나 방음 처리가 제대로 안된 공간에서 하는 대부분의 개인 인터넷 방송시에도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추천합니다.

초 지향성 (super cardioid)

지향성 마이크 종류 - jihyangseong maikeu jonglyu
초 지향성 (super cardioid)

지향성 보다 수음되는 각도가 더 좁은 마이크입니다. 마이크마다 특성이 약간씩 틀리지만 그래프와 같이 뒤쪽 가까운 지점도 소리가 들어가는 패턴을 보입니다.

초 지향성 역시 pc를 앞에 두고하는 게임 방송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수음되는 각도가 좁아서 방향이 조금만 맞지 않으면 목소리가 잘 안들릴 수도 있습니다.

초 지향성 보다 수음 각도가 더 좁은 경우 하이퍼 카디오이드(Hypercardioid) 또는 슈퍼 카디오이드(Super Cardioid )이라고 하며 극도로 좁은 지점을 수음할 때 쓰는 샷건(Shotgun) 마이크의 패턴은 Lobar (유니디렉셔널 / Unidirectional) 이라고 합니다(이 단어들은 정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혼용되기도 해서 마이크를 구입할 때는 그래프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무 지향성 (omnidirectional)

지향성 마이크 종류 - jihyangseong maikeu jonglyu
무 지향성 (omnidirectional)

모든 방향에서 수음되는 무지향성 마이크의 패턴입니다. ASMR 방송등에 사용하거나 현장감을 위해 주변 소리를 모두 잡아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양 지향성 (bidirectional)

지향성 마이크 종류 - jihyangseong maikeu jonglyu
양 지향성 (bidirectional)

그래프와 같이 8자 모양의 픽업 패턴(앞과 뒤)을 가지는 마이크입니다.

참고

  • 프록시미티 이펙트(Proximity Effect)는 주로 (초) 지향성 다이나믹 마이크에서 크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마이크를 입 가까이 대고 말할 수록 저음이 강조되는 현상입니다. 프록시미티 이펙트를 적당히 사용하면 좋은 소리를 만들 수 있지만 너무 지나치면 저음에 다른 소리들이 묻혀버리게 됩니다.
  • 사용 용도에 따른 마이크의 지향성을 확인하고 구입하세요.
  • 하나의 마이크에 여러개의 수음 캡슐을 사용해서 픽업 패턴을 스위치로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도 있습니다(예: Samson C03U, 블루 예티).
  • 인터넷 방송 / 콘텐츠 제작용 추천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