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부트 시간의 돌 수급 - libuteu sigan-ui dol sugeub

리부트 가이드

제작: 리부트 피자

내용이 다소 많고 약간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검색을 이용해서 필요한 내용을 찾아보시길 권장합니다.

필요한 항목 찾는 법: ctrl+F를 누르신 후 찾고자 하는 키워드[예)메소 파밍]나 항목의 고유 번호를 치시면 됩니다.
항목 고유번호: 목차 앞에 표시된 번호

예)1.1.3.아이템수급 : 1.1.3.이 고유번호입니다.

메이플 복귀/신규 유저분들은 먼저 실버님의 글을 읽고 오시길 권장합니다.

링크 : http://www.insoya.com/bbs/zboard.php?id=maple_info&page=1&page_num=25&select_arrange=headnum&desc=&sn=off&ss=on&sc=on&keyword=&no=33899&category=0#21768057

#목차

1. 개요-리부트에 관하여
1.1. 리부트 서버의 특징
1.1.1.거래
1.1.2.장비
1.1.3.아이템 수급
1.1.4.사냥 관련
1.1.5.서버 자체 스킬
1.2. 리부트 서버의 장단점.
1.2.1.장점
1.2.2.단점
2. 직업 추천
2.1.직업 선택시 고려할 점
2.1.1.사냥 능력
2.1.2.보스전 능력
2.1.3.낮은 총데미지
2.2.리부트와 상성이 안좋은 직업
2.2.1.총 데미지가 높은 직업
2.2.2.사냥 능력이 떨어지는 직업
3. 기반 작업
3.1.리부트 상자에 관하여
3.2.링크 작업
3.2.1.가장 먼저 키워야 할 캐릭터
3.2.2.링크 캐릭터를 육성하는 순서
3.3.리부트의 전문기술
3.3.1.리부트의 전문기술의 특징
3.3.2.리부트에서 전문기술의 이용법
3.3.2.1.연금술
3.3.2.2.장신구 제작
3.3.2.3.장비 제작
4. 메소 수급 방법
4.1.보스 몬스터 사냥을 통한 메소 파밍
4.1.1.주캐릭터 보스 사냥
4.1.2.링크 캐릭터 보스 사냥
4.2.사냥을 통한 메소 파밍
4.2.1.기타 아이템 판매방식
4.2.1.1.시간 조각 파밍
4.2.1.2.현자의 돌 파밍
4.2.2.순수 사냥 방식
5. 아이템 파밍
5.1.잠재능력 관련 아이템
5.1.1.에픽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를 얻는 방법
5.1.2.수상한 큐브를 수급하는 방법
5.2.전문기술 관련 아이템
5.2.1.사냥을 통해서 수급하는 아이템
5.2.2.전문기술을 통해서 수급하는 아이템
6. 장비 셋팅
6.1.레벨 120 이전의 템셋팅
6.2.레벨 120 이후의 템셋팅
6.2.1.무스펠→펜살리르→카루타 방식
6.2.2.네크로→무스펠(토드용)→여제+카루타 방식

리부트서버는 다른 서버와 구분되는 몇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서 문어체로 서술하겠습니다.

-아이템을 바닥에 드랍하거나, 택배를 이용하는 등의 우회적인 방법도 모두 막혀있다.

아이템을 바닥에 드랍할 시 상대에게 보이지 않으며 줍는 것도 불가능하다.

-장비의 업그레이드 가능 횟수가 존재하지 않는다.(0회이다)

-몬스터와 보스 몬스터 사냥시에도 위 거래관련 특징으로 인해 자신의 직업의 장비만 드랍된다.

-강력한 환생의 불꽃, 장인의 큐브, 각인의 인장, 마스터리북 등을 헤네시스, 리프레, 에델슈타인,판테온 잡화상점에서 메소로 구매할 수 있다.

-캐시샵 판매 품목이 일반서버와 차이가 있으며 호신 부적, 텔레포트 월드맵, 레드 큐브, 블랙 큐브 등 게임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아이템들을 메소로 구매할 수 있다.

-창고를 통해서 옮길 수 있는 아이템은 교환 불가가 아닌 소비, 기타, 설치 아이템과 메소로 제한되며 같은 직업군끼리도 캐시 보관함을 통해 캐시 아이템을 옮기는 것이 불가능하다.

-필드 몬스터의 HP가 일반 서버의 5배이며 처치 경험치는 2.5배이다.

-몬스터와 레벨 차이가 1이상 날 경우 레벨 차이에 따라 몬스터를 공격 할 때의 데미지가 감소 또는 증가한다. 몬스터 레벨보다 낮을 경우 데미지가 감소되며 몬스터와 동레벨의 경우 데미지 감소는 사라진다. 몬스터보다 레벨이 높을 경우 몬스터 공격시 데미지가 증가되며 5레벨에 그 데미지 증가치가 최대가 된다. 

-보스 몬스터가 일반 서버와 다르게 일정 확률로 장인의 큐브, 강력한 환생의 불꽃을 드랍하며 매우 낮은 확률로 명장의 큐브, 영원한 환생의 불꽃 등을 드랍한다.

-리부트의 독자적인 0차 패시브 스킬인 "리부트"스킬이 존재한다.

-"리부트" 스킬의 효과는  몬스터의 메소 드롭량 5배로 증가, 보스 장비 드롭률 증가(얼마나 증가하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2레벨당 데미지 1% 증가이다.

이 데미지는 최종 데미지가 아닌 총 데미지 수치이다.(이 특징으로 인해 리부트는 일반 서버에 비해 총 데미지%와 보스 몬스터 공격시 데미지%의 효율이 더 낮으며 직업을 고를때도 총 데미지%가 높은 직업이 기피되는 성향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직업 추천에서 서술하겠다.)

상기한 특징으로 인해 리부트는 타 서버와 큰 차이를 보이고 그에 따른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무과금으로도 충분히 게임을 즐기고 강해질 수 있다] 

리부트에서는 모든 게임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아이템들을 메소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죠.

거래가 불가능하므로 현금으로 아이템을 산 사람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될 일 또한 없습니다.

[과금과 무과금 유저의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자이언트 펫 버프나 패키지 펫 버프 효과로 인해 최대 14가량의 공격력/마력 차이가 날 수 있고 스페셜라벨,마스터라벨 세트 효과가 올스탯5 공격력/마력3정도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게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정도는 아닙니다.

[고스펙이 되었을 시 레벨업 속도가 다른 서버에 비해 빠르다]

위에서 서술했다시피 몬스터 체력이 5배고 처치 경험치가 2.5배이므로 몬스터 체력이 5배라도 원킬이 날 정도가 되면 경험치2.5배의 효과를 온전히 누릴 수 있기 때문이죠.

[라이트 유저 입장에서는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

리부트 서버는 과금이 없는 대신 유저의 노력만으로 모든 것을 해결해야 되는데 그 노력도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은 시간을 가볍게 즐기는 라이트 유저로써는 리부트는 힘든 서버입니다. 사냥을 하는데 필요한 스펙도 타 서버에 비해 높구요.

말그대로 메소로 모든 것을 구매할 수 있는데, 메소 수급량 자체가 캐릭터의 갯수와 본 캐릭터의 레벨과 스펙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메소의 중요성이 어마어마하게 큽니다.

[본인의 행운에 따라 게임 진행속도가 크게 달라진다]

리부트 서버는 위 항목에서 서술했다시피 유저간 거래가 안됩니다.

즉 모든 아이템을 본인이 직접 작을 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로 인해 어떤 사람은 잠재능력이나 스타포스가 잘되서 하루만에 레전드리를 띄우고 17성을 올릴 수 있지만 어떤사람은 1년에 가까운 시간을 노력하고도 레전드리가 하나도 없다던지 17성을 30억에 간다던지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노력 외에도 행운이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죠.

리부트 서버는 다른 서버와 다른 몇가지 점이 있으므로 추천되는 직업 또한 달라집니다.

리부트는 보스사냥을 제외하면 메소를 수급할 방법이 사냥뿐입니다.

시조 광부, 도깨비집 펜살광부, 스올길 죽돌이, 혹은 그냥 자신의 레벨에 맞는 사냥터에서 사냥하는 등 사냥=돈벌이 라는 공식이 거의 항상 성립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사냥이 좋은 직업이 가장 먼저 고려해야 될 점입니다.

대표적으로 아란, 블래스터, 키네시스, 섀도어, 캐논슈터 등이 있습니다.

리부트에서는 교환이 안됩니다. 즉 상위 보스 아이템을 얻기 위해서는 보스몬스터 레이드가 필수적이죠.

메이플스토리의 보스전에서 포지션은 총 3가지가 있습니다.

격수(순수 딜러), 바격(바인드스킬을 가진 딜러), 서포터(팀원에게 도움이 되는 유틸리티를 가진 직업군).이렇게 3가지입니다.

유틸 직업군은 세부적으로 따지면 3가지가 있는데요. 팀원에게 이로운 버프를 가진 버퍼, 보스에 대한 디버프를 가진 디버퍼, 즉사기를 대신 맞아주고 막아줄 탱커.

대표적인 격수 직업군 - 아란, 에반, 카이저, 다크나이트

대표적인 바인드 격수 - 와일드헌터, 키네시스, (카오스 핑크빈 한정 준 필수직업)썬콜

버퍼 - 비숍, 와일드헌터, 플레임위자드(버닝 리전)

팬텀은 스킬 세팅에 따라 디버퍼와 버퍼, 바인드격수와 순수격수 네가지 포지션이 모두 가능하므로 특정 항목에는 서술하지 않겠습니다.

리부트는 자체 스킬로 인해 기본적인 총 데미지가 다른 서버에 비해 200레벨 기준으로 100%가 높기 때문에 총 데미지 수치가 낮은 직업이 유리합니다.

총 데미지 수치가 낮은 직업(상시적용 총 데미지 30% 이하 직업)

괄호 앞의 수치는 상시적용 수치(패시브 스킬)고 괄호 안의 수치는 액티브 스킬이나 버프에 달려있는 총데미지 수치입니다.

사냥시: 웨폰 마스터리 도끼 착용 시 +5%(+30%=레이징 블로우-리인포스 +20%, 에픽 어드벤쳐 +10%)

보스 데미지: +0%(+20%=어드밴스드 콤보-보스 킬러 +20%)

사냥시: 창 사용 시 +5% (+30%=궁그닐 디센트-리인포스 +20%, 에픽 어드벤쳐 +10%)

보스 데미지: 새크리파이스 +10% (궁그닐 디센트-보스 킬러 +10%)

사냥시: +0%(+30%=쿼드러플 스로우-리인포스 +20%, 에픽 어드벤쳐 +10%)

보스 데미지: 퍼지 에어리어+10%(+20%=쿼드러플 스로우-보스 킬러 +20%)

사냥시: 플립 더 코인 +25% (+330%=다크 사이트 중 암살 시전 +150%, 킬링 포인트 3에서 암살 시전 +150%, 암살-리인포스 +20%, 에픽 어드벤쳐 +10%)

보스 데미지: +0%(+20%=암살-보스 킬러 +20%)

사냥시: 0%(+40%=팬텀 블로우-리인포스 +20%, 히든 블레이드 +10%, 에픽 어드벤쳐 +10%)

사냥시: 풀메탈 자켓 +20%(+95%=래피드 파이어-리인포스 +20%, 카운터 어택 +15%, 퀵 드로우 +50%, 에픽 어드벤쳐 +10%)

보스 데미지: +0%(+20%=래피드 파이어-보스 킬러 +20%)

사냥시: +0%(+75%=카운터 어택 +25%, 스티뮬레이트 +20%, 피스트 인레이지-리인포스 +20%, 에픽 어드벤쳐 +10%)

보스 데미지: 스티뮬레이트 +20%(+20%=피스트 인레이지-보스 킬러 +20%)

사냥시: 스로잉 마스터리 +20% ( 퀸터플 스로우 +20%, 도미니언 +20%, 글로리 오브 가디언즈 +10%)

보스 데미지: +0%(+10%=퀸터플 스로우-보스 킬러 +10%)

프레이 오브 아리아 +30% (얼티밋 드라이브-리인포스 +20%, 템페스트 오브 카드-리인포스 +20%, 히어로즈 오쓰 +10%)

사냥시: 다크 크레센도 +30%(+50%=라이프 타이달 +20%, 앱솔루트 킬-리인포스 +20%, 히어로즈 오쓰 +10%)

사냥시: 차지 마스터리+20%(+70%=펀치-리인포스+10%,릴리즈 파일 벙커-리인포스+20%,릴리즈 파일 벙커-쇼크 웨이브 리인포스+30%, 윌 오브 리버티+10%)

사냥시: 배틀 마스터리+20%,스펠 부스트+10%(+30%=다크 오라+20%, 윌 오브 리버티+10%) 

보스 데미지: 0%(50%=배틀 레이지 +40%,  다크 오라-보스 킬러 +10%)

이 항목에서 서술하는 직업들은 총 데미지가 매우 높거나 사냥능력이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리부트와 상성이 안 좋은 축에 속하는 직업들입니다. 물론 이 항목의 직업이라고 해도 직업 성능이 나쁜 것은 아닙니다.

리스크를 안고 가긴 하지만 이 항목에 속한 직업들 중에도 상당히 좋은 직업들이 많습니다.

윈드브레이커, 아크메이지(불,독), 아크메이지(썬,콜), 메르세데스, 데몬슬레이어, 메카닉, 제논, 엔젤릭버스터.

히어로, 다크나이트, 나이트워커, 비숍, 신궁, 듀얼블레이드, 플레임위자드(광역에 낮은 대미지를 주는 방식이므로 체력이 높은 리부트 몬스터들을 사냥하기에 적합하지 않음), 미하일, 카이저.

리부트에서 플레이를 하기에 앞서 해야 하는 기본적인 안내와 기반 작업에 대해 서술되어 있습니다.

리부트에서는 캐릭터 생성시 리부트 포션200개, 달팽이 펫이 들어있는 상자를 지급합니다.

그리고 최초에 생성한 캐릭터 1개 한정으로 리부트 상자를 지급합니다.

이 리부트 상자는 30,60,90,120레벨 달성시 개봉할 수 있습니다. 개봉시 기간제 장인의 큐브, 명장의 큐브, 영원한 환생의 불꽃, 에픽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 100%, 총 1억 5천만 메소등을 지급합니다.

물론 처음 시작하는 입장에서 메소 부족과 아이템들의 유혹으로 인해 레벨이 될때마다 열게 될 수도 있습니다. 명장의 큐브 까지는 후에 다른 아이템으로 대체할 수 있으니 열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상자는 절대 바로 개봉하시면 안 됩니다. 영원한 환생의 불꽃이 기간제이기 때문입니다. 영원한 환생의 불꽃은 굉장히 희귀한 아이템입니다. 아무 아이템에나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아까운 일이죠. 나중에 여제 장비, 핑크빛 성배, 카오스 루타비스 장비등 보스에게서 드랍되는 장비 중 굉장히 좋은 편에 속하는 장비를 얻게 되었을 때 그 아이템들에 사용하기 위해 상자 상태로 놔두는 것이 좋습니다.

타 서버에서도 캐릭터의 고유 스킬인 링크 스킬의 중요성은 어느정도 있지만 링크가 없어도 사냥하는데에는 큰 지장이 없습니다.

하지만 리부트에서는 거듭 서술하지만 몬스터의 체력이 5배이기 때문에 링크 스킬이 없는 상태의 캐릭터는 사냥 자체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만큼 링크 스킬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죠.

그리고 링크 캐릭터는 120레벨을 달성한 후에 이너 어빌리티에 에픽 이상의 메소 획득량 증가를 띄운 후 리부트의 주 수익원중 하나인 쿰돌이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하루 수익이 포션과 장비아이템의 매각 비용을 모두 합쳐서 550만메소가량 됩니다).

링크 작업을 하기 위해 캐릭터를 육성할 때에도 기본적인 여축이나 용사의 성장(S급 카드 3개)등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그런 이유로 인해 리부트 서버를 제대로 시작하기도 전에 질려서 접게 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그런 어려움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이 기반 작업을 서술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링크스킬을 가진 캐릭터들이 있겠지만 가장 먼저 키워야 하는 캐릭터가 있습니다.

보통 링크 작업은 아란, 에반, 메르세데스와 같이 경험치 획득량에 영향을 주는 링크를 가장 먼저 키워야 한다는게 주론입니다.

하지만, 경험치 획득량이 몇% 늘어난다고 해도 사냥 속도 자체가 느리면 소용이 없습니다.

저레벨대에서는 무기의 공격력이 그리 높지 않습니다.

즉, 무기 외에서 얻는 공격력과 마력에 따라 사냥에 1차적 영향을 미치는 스탯 공격력에 큰 차이가 생깁니다.

그런 측면에서, 120레벨 기준으로 공격력/마력 24, 150레벨 기준으로 공격력/마력 30이 상승하는 여제의 축복은 가장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시그너스 기사단에서 처음 하는 사람이 가장 키우기 쉬운 직업은 1차부터 4차까지 모두 성능이 무난한 스트라이커입니다.(연계를 싫어하는 경우 플레임위자드를 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포션 소모량이 굉장히 많습니다.)

시그너스 직업군에 속하는 다른 직업들의 경우, 윈드브레이커의 경우 서리바람의 군무의 낮은 퍼댐으로 인해서 몬스터 체력이 높은 리부트에서는 3차 시기의 사냥 능력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소울마스터는 2차 주 공격스킬이 돌아선 상태로 사용하는 스킬이라서 적응하기 힘들고 2차 시기에 화력 자체도 상당히 떨어집니다.

나이트워커와 윈드브레이커는 위에서 서술했다시피 리부트에서 사냥 능력이 안 좋은 직업입니다.

리부트에서는 기본 캐릭터 슬롯이 7개이므로 링크 캐릭터를 키울 때 캐릭터 슬롯에 비교적 구애를 받지 않습니다. 그리고 2천만 메소로 캐릭터 슬롯 증가 쿠폰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링크 캐릭터를 육성하는 순서에 대해 자세히 적겠습니다.

가장 먼저 스트라이커를 키웁니다. 150까지 캐릭터 레벨 5마다 여제의 축복이 1레벨씩 추가되며, 추후에 링크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 100레벨 이상까지는 육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후 아란(콤보킬 어드밴티지-콤보킬 구슬 경험치 550% 증가), 데몬어벤져(와일드 레이지-총 데미지 10% 증가), 제논(하이브리드 로직 디자인-올스탯 10%증가) 순서로 키웁니다. 이 3가지 직업들은 가장 키우기 쉬우면서도 직접적인 화력 증가 효과를 가진 링크 스킬을 직업입니다.

그리고 캐릭터 카드 슬롯에 모든 직업을 장착합니다. 그러면 S급 카드 3개 효과인 용사의 성장(Max HP 700, Max MP 700, 공격력/마력 3증가 ,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3% 증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 후 메르세데스를 120레벨까지 육성한 후 메르세데스 링크 스킬(엘프의 축복-사냥시 획득 경험치 15% 증가)효과를 받는 상태로, 팬텀(데들리 인스팅트-크리티컬 확률 15% 증가)과 키네시스(판단-크리티컬 최소 데미지 8% 증가), 데몬슬레이어(데몬스 퓨리-보스 몬스터 공격시 데미지 15% 증가), 루미너스(퍼미에이트-몬스터 방어율 무시 15%)를 육성합니다.

팬텀과 키네시스를 가장 먼저 육성해야 하지만 그 다음 2캐릭터는 순서는 상관이 없습니다. 그 후 은월(구사 일생-사망시 10%확률로 사망하지 않는다)을 키웁니다. 은월은 링크스킬보다는 캐릭터 카드가 중요한데, S급 기준 크리티컬 최소데미지 3%와 크리티컬 최대데미지 3%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키웠을 시 S급 카드 10개를 얻게 되고 모두 장착할 시 Max HP 2100, Max MP 2100, 공격력/마력 9증가 ,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9% 증가 라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이후 필요에 따라 다른 링크 캐릭터를 육성하시면 됩니다.

스트라이커100레벨 이상→아란120레벨→데몬어벤져120레벨→제논120레벨→메르세데스120레벨→팬텀120레벨→키네시스120레벨→데몬슬레이어&루미너스120레벨(순서는 상관없음)→은월120레벨

리부트의 전문기술은 다른 서버와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채광, 약초채집, 연금술, 장비 제작, 장신구 제작 총 다섯 가지의 전문기술을 한 캐릭터로 모두 배울 수 있다는 것이죠.

또한 다른 서버와는 전문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이 다소 다릅니다.

각 전문기술의 리부트에서의 이용 방법에 대해서 적겠습니다.

전문기술의 레벨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문서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므로 따로 서술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리부트에서 모든 재료는 직접 수급해야 하므로 필드에 보이는 광맥, 약초더미, 두근대는 심장, 황금빛 꽃더미는 무조건 캐 놓는 것이 좋습니다. 캘 때는 사냥터에서 사냥하는 사람에게 반드시 허락을 받고 캐야 합니다.

리부트에서는 현자의 돌, 시간의 돌, 시간 조각, 뒤틀린 시간의 정수, 황혼의 정수, 영롱한 황혼의 정수, 혼돈의 파편, 태초의 정수등 특별한 기타 아이템들을 상점에 비싼 가격으로 매각할 수 있습니다.

앞의 3개를 제외하고는 전문기술에 사용되는 중요한 아이템이기 때문에 매각하지 않는 것을 추천하지만, 앞의 3개의 아이템은 중요한 메소 수급 수단 중 하나입니다.

이 중 현자의 돌을 수급하는 방법은 연금술의 분해입니다.

필드에서 드랍되는 140제 펜살리르,우트가르드 아이템과 130제 무스펠,쟈이힌 아이템을 연금술의 분해를 이용해서 분해하면 최상급 아이템 결정과 1~4개의 현자의 돌이 나옵니다. 이 현자의 돌은 상점에 개당 30만 메소에 매각이 가능합니다. 

또한 후반부에 마이스터 세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급 주문의 정수가 반드시 필요한데 이 상급 주문의 정수의 주 수급 방법은 레시피 분해이며, 레시피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장인 이상의 연금술 레벨이 필요하므로 10레벨은 달성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게임 진행의 초중반부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10레벨은 만들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마이스터 세트 때문입니다. 마이스터 세트는 3세트 효과가 공격력,마력 40입니다.

즉 후반부에 스펙을 올리기 위해 필수적으로 만들어야 하는 세트이죠.

다른 서버에서는 거래를 통해 구매해서 사용하지만 리부트에서는 재료도 직접 모아야 하며 제작도 직접 해야 합니다.

마이스터 세트 제작에는 뒤틀린 시간의 정수, 혼돈의 파편, 태초의 정수, 꿈의 돌, 상급 주문의 정수가 들어가므로 절대 버리거나 상점에 매각하지 말고 모아두셔야 합니다.

장비 제작은 하트를 제작하는 데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험가 마법사나 모험가 도적의 경우에는 10레벨을 찍어두는 것이 좋은데, 데이모스 세이지 실드나 데이모스 다크니스 실드가 20성까지 강화가능하고 스탯도 많이 붙어있으므로 기본 보조무기보다는 방패를 착용하는 것이 훨씬 좋기 때문에, 후에 여제를 잡다가 레시피가 나왔을 경우 데이모스 실드류 아이템을 만들기 위해서 10레벨 이상이 필요합니다.

리부트 서버에서 메소를 수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된 장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자신이 주로 육성하는 본캐릭터로 보스를 도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서술하는 것은 보스 몬스터를 도전할 때 필요한 스공, 드랍 메소, 드랍 아이템, 도전 횟수입니다.

주는 메소량은 메소 획득량 증가 0%기준입니다.

일반 서버에서는 우르스는 우르스 격파왕 훈장을 얻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플레이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리부트에서는 우르스가 B랭기준 한판당 1천만메소를 주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메소 수급 수단 중 하나입니다.

1일 3회 도전 가능하며, 일반적을 B랭크 기준(팀 스코어 3만3천점 이상)이 됬을 때 ㅁㄷ(밑딜)이라는 신호를 하면 우르스가 엎드렸을 때 다들 바닥으로 내려가서 원정대 전체가 즉사 공격을 맞습니다. 한 판당 2~3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데에 반해 굉장히 많은 량의 메소를 주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보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쿰은 하루 2회 잡을 수 있으며, 혼테일은 이지,노말,카오스의 횟수가 공유되며 하루 2회 가능합니다. 자쿰은 1회 약 170만메소를 주며 이지 혼테일은 1회 약 250만메소를 줍니다.

자쿰은 보스 장신구 세트에 포함되는 응축된 힘의 결정석과 아쿠아틱 레터 눈장식을 드랍하며, 혼테일은 보스 장신구 세트에 포함되는 데아 시두스 이어링, 실버 블라썸 링을 드랍합니다.

각각 하루 1회 잡을 수 있습니다. 루타비스 보스는 총 4종류가 있으며 한 종류당 약 80만메소를 줍니다. 그리고 랜덤한 확률로 페트릭 드 블랑이라는 상인이 등장하는데, 이 상인은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 전문기술 레벨업 쿠폰, 마스터리북, 별 물약, 광물주머니와 약초주머니등을 싼 가격에 판매합니다.

힐라는 노말,하드를 합쳐서 하루 2회 잡을 수 있으며, 노말 힐라는 1회 약 330만 메소, 노말 혼테일은 1회 약 350만메소를 줍니다.

노말 힐라는 보스 장신구 세트에 포함되는 영생의 돌을 드랍하며, 노말 혼테일은 보스 장신구 세트에 포함되는 혼테일의 목걸이, 데아 시두스 이어링, 실버 블라썸 링을 드랍합니다.

메소는 드랍하지 않지만 포션은 드랍합니다. 그리고 낮은 확률로 보스장신구에 포함되는 로얄 블랙 메탈 숄더와 크리스탈 웬투스 뱃지를 드랍합니다.

1회 약 500만메소가량을 주며 보스 장신구 세트에 포함되는 카오스 혼테일의 목걸이와 데아 시두스 이어링, 실버 블라썸 링을 드랍합니다.

길뚫기라고 불리는 시간의 신전 퀘스트를 모두 완료해야 도전 가능합니다. 노말과 카오스의 횟수가 공유되며 하루 1회 도전할 수 있습니다. 1회 약 800만메소가량을 주며 보스 장신구 세트에 포함되는 골든 클로버 벨트와 핑크빛 성배, 그리고 매우 낮은 확률로 블랙빈 마크를 드랍합니다.

헬리시움 탈환 퀘스트를 모두 완료해야 도전 가능합니다. 1회 약 5백만메소를 주며 높은 확률로 보스장신구에 포함되는 로얄 블랙 메탈 숄더와 크리스탈 웬투스 뱃지를 드랍합니다.

크로스헌터 퀘스트 chapter.2와 "[아카이럼]최후의 흔적"퀘스트의 연계 퀘스트를 모두 완료해야 도전 가능합니다.

아카이럼은 사망시 경험치가 깎이는 즉사기를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연막탄, 홀리 매직쉘, 쉘터, 기타 무적기로 방어 가능) 높은 화력의 격수와 바인더나 비숍을 동반해서 바인드나 홀리 매직쉘의 지속시간이 끝나기 전에 잡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회 약 800만메소를 드랍하며 보스 장신구에 포함되는 매커네이터 펜던트, 그리고 매우 낮은 확률로 도미네이터 펜던트를 드랍합니다.

일반적으로 노말 자쿰 2회 사냥만 하지만, 링크캐의 스공과 레벨이 높은 경우 노말 힐라, 이지or노말 혼테일까지 사냥하기도 합니다.

 전자를 쿰돌캐, 후자를 쿰텔힐캐라고 하며 포션과 장비 아이템 판매 수익등을 모두 합쳐서 전자의 경우 1일 1캐릭터당 약 550만메소, 후자의 경우 1일 1캐릭터당 약 2천만메소가량을 벌 수 있습니다.

보통 풀링크를 육성할 경우 링크캐가 20개가량 되는데 이 경우 하루에 자쿰 사냥만으로 약 1억1천만메소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스카이라인에 입성할 스펙과 레벨이 되기 전까지 주 수입원입니다.

리부트는 메소 드롭량이 5배이므로 사냥이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주 수입원이 됩니다.

크게 나누자면 메소 자체를 파밍하는 방법과 상점에 팔았을 때에 메소를 주는 기타아이템을 파밍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타 아이템 파밍 방식은 비교적 낮은 스펙으로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벌 수 있는 돈이 정해져 있으므로 나중에는 썩 효율이 좋지 않은 방식이 됩니다.

리부트 서버에서는 시간 조각을 상점에 개당 50만메소에 매각할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시간의 신전에서 드랍되는 시간 조각을 주워서 파는 흔히 시조광부라고 불리는 메소 수급 방법이 존재합니다. 이 경우 지형이 좋고 몹 젠량과 젠률이 좋으며 히든 포탈로 왔다갔다하며 사냥할 수 있는 망각의 길 4에서 사냥합니다.

첫번째는 망각의 길 4에서 사냥을 시작한 레벨부터 구만렙(200)이 되기전까지 오로지 망각의길 4에서만 사냥하면서 레벨업과 시간 조각 파밍을 병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돈을 벌면서 레벨링도 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레벨링 속도도 자기 레벨 사냥터에 비해 느리며 아직 스공이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에 망각의 길 몬스터가 잘 잡히지 않아서 시간 조각을 파밍하는 속도 또한 느립니다. 그래서 이 방법은 개인적으로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두번째는 망각의 길이 원킬이 날 정도의 스펙까지 레벨링과 스펙업을 하고(스공 약 80만 전후) 레벨링을 포기하고 시간 조각 파밍만을 빠르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직업에 따라 편차가 있긴 하지만 1시간에 시간 조각을 약 50개 이상 얻을 수 있으며 메소까지 포함해서 시간당 3800만 메소가량 벌 수 있습니다. 스카이라인 올라가는 길에서 투킬이 나기 전까지 가장 많은 메소를 벌 수 있는 방법입니다.

리부트 서버에서는 위에서도 서술했지만 현자의 돌을 상점에 개당 30만메소에 매각할 수 있습니다.

현자의 돌은 120제 이상 아이템을 분해했을때 나오며, 레벨 제한이 높은 아이템일수록 더 잘 나옵니다. 이 현자의 돌을 파밍하는 방법으로써 도깨비집 사냥이 있습니다.

아랫마을에 도깨비집이라는 맵의 노란도깨비(Lv.140)는 펜살리르 아이템의 드랍률이 매우 높습니다. 도깨비집에서 그리드 펜던트를 착용하고 140제 장비 아이템을 파밍한 후 마이스터빌에서 분해를 통해 현자의 돌을 얻어서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도깨비집 원킬기준(스공 약 50만 전후) 시간당 약 3200만메소가량을 벌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직업에 따라 다소 편차가있을 수 있습니다.

말그대로 자신의 레벨에 맞는 사냥터에서 사냥하는 방식입니다.

200레벨의 경우 스공 50만정도 기준으로 시간당 2000만메소 가량 벌며, 기계무덤 4가 투킬이 나는 레벨과 스펙일 경우 시간당 2400만메소 가량 벌 수 있습니다.

순수 사냥 돈벌이의 정점은 스카이라인 올라가는 길(통칭 스라올or스올길)사냥입니다.

메획 3%(팬텀카드)+스올길의 몬스터 투킬 기준으로 시간당 3200만메소가량 벌 수 있으며,

스올길의 몬스터 원킬이며 메획이 높아질 시 시간당 1억메소 이상도 벌어들일 수 있습니다.

이 챕터에서는 리부트에서 게임 진행에 필요한 아이템들을 파밍하는 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장인의 큐브나 블랙 큐브 등으로 큐브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에픽 잠재능력을 맞추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토드를 할 수 없는 부위에 에픽을 띄우기 위해서는 에픽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수상한 큐브 사용이 있는데요, 이 에픽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이하 에잠)을 얻는 방법과 수상한 큐브(이하 수큡)을 얻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습니다.

5.1.1.에픽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를 얻는 방법

세 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엘보 보상을 통해 얻는 방법입니다. 희귀한 보물 상자에서 기간 무한 에잠이 낮은 확률로 나오므로 놔뒀다가 필요한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무릉도장 포인트를 통해 구매하는 방법입니다. 무릉도장을 할 시 월요일에 정산을 할 때 등수에 따라 일정량의 포인트를 지급하는데, 이 포인트를 사용해서 2주일에 1장씩 포인트 상인 라오에게서 에픽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 50%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방법은 우르스 보상을 통해 구매하는 방법입니다. 우르스 입장맵에서 아이샤라는 상인이 우르스를 잡으면 나오는 다양한 재료 아이템으로 주문의 흔적 교환권과 기상효과, 명예의 훈장 등 다양한 아이템을 판매하고 있는데, 에픽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 50%또한 판매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방법을 통해 얻은 에잠은 기간제 교불이므로 필요할 때에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서버에서는 수큡을 주로 경매장에서 구매해서 사용하지만 리부트에서는 수상한 큐브 또한 직접 수급해야 합니다.

수상한 큐브를 수급하는 주 방법은 보스 사냥입니다. 즉, 마일리지 보스와 상위 보스를 통해서 수상한 큐브를 수급합니다. 사냥꾼의 주머니, 데일리 기프트, 돌발 퀘스트 보상,몬스터 컬렉션 상자를 통해서도 얻을 수 있습니다. 보스 사냥을 통해서는 마일리지 보스를 다 돌 경우 하루에 최소 20개 이상(링크 쿰돌까지 할 경우 하루에 수십 개)의 다량의 수큡을 수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얻은 수상한 큐브는 본 캐릭터의 스펙이 낮을 경우 본 캐릭터의 스펙업에, 본 캐릭터가 에픽 6%이상을 전 부위에 맞추었다면 링크 캐릭터에 사용됩니다. 즉, 게임 초반부부터 후반부까지 지속적으로 필요한 아이템이라는 것이죠. 메소 수급뿐만 아니라 수상한 큐브 수급을 위해서라도 링크 캐릭터를 통한 보스 사냥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나중에 마이스터 장신구 세트를 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혼돈의 파편, 태초의 정수, 꿈의 돌, 뒤틀린 시간의 정수, 상급 주문의 정수등을 수급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습니다.

상기했듯이, 마이스터 장신구 세트를 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아이템은 혼돈의 파편, 태초의 정수, 꿈의 돌, 뒤틀린 시간의 정수, 상급 주문의 정수 등이 있습니다.

이중 뒤틀린 시간의 정수는 필드 사냥과 보스 사냥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 2100개를 모으기가 다소 오래걸리므로 절대 상점에 매각하시지 말기 바랍니다.

혼돈의 파편과 태초의 정수 또한 비싼 상점행 가격때문에 잘 모르고 판매하는 분들이 많은데, 다시 구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 절대로 판매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꿈의 돌의 경우 여제에서 얻을 수 있는데, 각성한 기사단장(통칭 각단)이 1판당 12개 내외의 꿈의 돌을 드랍합니다. 

전문기술을 통해서 수급하는 아이템은 혼돈의 파편, 태초의 정수, 상급 주문의 정수가 있습니다.

혼돈의 파편과 태초의 정수는 아카이럼 사냥을 통해서도 매우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지만, 주 수급 경로는 혼돈의 파편의 경우 필드에 랜덤한 확률로 나타나는 신비한 광맥과 전설의 신비한 광맥에서, 태초의 정수의 경우 필드에 랜덤한 확률로 나타나는 신비한 광맥과 신비한 약초더미, 두근대는 심장, 황금빛 꽃더미, 전설의 신비한 광맥과 전설의 신비한 약초더미에서 매우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습니다.

상급 주문의 정수의 경우, 연금술 장인 이상을 찍은 후 분해를 통해 레시피를 분해해서 얻을 수 있습니다. 필드 사냥에서도 나오지만 드랍률이 매우 낮기에 레시피 분해를 통해 얻는것이 일반적입니다.

150이 되면 카루타 장비와 타일런트를 구매하고 템셋팅이 모두 종료되는 일반 서버와 달리 리부트에서는 200레벨 넘어서까지 스펙이 올라가고 레벨이 올라감에 따라 서서히 장비를 바꿔나가게 되므로 그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습니다.

장비 셋팅의 기본 골자는 토드의 망치를 이용해서 잠재와 스타포스를 전승하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리부트에는 주흔작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장비에 스타포스를 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잠재와 스타포스를 전승할 장비는 보물의 룬과 엘리트 보스 보너스 스테이지를 통해서 얻습니다. 보물의 룬과 엘리트 보스 보너스 스테이지의 경우 높은 확률로 에픽 이상의 잠재와 최대 엑설런트 클래스의 추가옵션을 가진 장비 아이템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저레벨때부터 보물의 룬과 보너스 스테이지를 통해 에픽 장비를 파밍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보물의 룬을 꾸준히 까고 보너스 스테이지를 꾸준히 했다면 120시점에서 모자,장갑,신발,전신갑옷,무기가 에픽 이상의 잠재능력이 부여 되어 있을겁니다.

그 후 마일리지 보스, 돌발 퀘스트 보상, 중급 이상의 사냥꾼의 주머니, 데일리 기프트를 통해서 수상한 큐브를 수급한 후 6% 이상의 주스탯%와 무기의 경우 공%를 띄워줍니다. 여기까지 120레벨 이전까지의 장비 셋팅입니다.

이때부터 장비 셋팅 방법이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전자의 경우 리부트를 처음 하는 등의 이유로 지원을 받을 수 없는 경우이고,

후자의 경우 리부트에 본캐가 있거나 길드,인맥 등으로 지원을 받고 키울 수 있는 경우입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이미 리부트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거나 인맥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에 이 문서에 자세히 서술할 필요는 없으므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첫번째 루트에서 무스펠=>펜살리르 대신 반 레온 셋 파밍을 한 후 강력한 환생의 불꽃을 통해 높은 추옵을 뽑아서 사용하다가 여제와 카루타를 맞추는 루트를 추천하기도 합니다. 추옵을 맘대로 맞출 수 있고 세트효과가 괜찮다는 점은 장점이지만 , 강환불을 통해 추옵을 띄우는 과정에서 강환불이 개당 1천만메소라서 순식간에 억대의 돈이 나가기 때문에 지원을 받을 수 없고 자금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해서, 저는 개인적으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기본적인 방법은 레벨120 이전까지의 장비셋팅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차이점은, 잠재옵션과 스타포스는 토드를 통해 넘길 수 있기 때문에, 추옵만 맞추면 된다는 접입니다. 60이상의 주스탯 추가옵션이 부여된 펜살리르 방어구와 기본 공격력의 33%이상의 추가 공격력(극추옵)이 부여된 우트가르드 무기를 파밍한 후 130제를 토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올스탯 1%는 주스탯 8.5로, 공1은 주스탯4로 계산하시면 되는데, 리부트는 주흔작이 없기 때문에 스탯%의 효율이 일반 서버에 비해 낮기 때문입니다.

펜살리르 세트를 여제와 카오스 루타비스 격파 전까지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추옵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무기의 경우 카오스 벨룸 격파를 통해 파프니르 무기를 얻기 전까지 사용합니다. 즉, 파밍한 우트가르드 무기를 통해서 카오스 벨룸 스펙까지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러므로 무기의 극추옵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할정도로 중요하고 필수적입니다.

그리고 방어구에는 11성 이상의 스타포스, 무기에는 16성 이상의 스타포스를 해줍니다. 그 후 엠블렘과 보조무기를 큐브 작업을 통해 최소 유니크 유효옵2줄 이상을 띄워줍니다.

일반적으로 무기의 경우 에픽 공6%만을 띄울 것을 추천하지만 카오스 루타비스 트라이 스펙을 빠르게 만들기 위해서는 손해를 감수하고 무기를 유니크까지 보내는 것도 방법입니다.

카루타 트라이 스펙인 무릉 28층 이상과 방무 80% 이상까지 올린 후 트라이팟을 짜서 연습을 통해 카오스 루타비스 보스를 격파하여 카오스 루타비스 3셋을 맞춘 후 여제를 파티격하면서 여제 장갑,신발,망토를 맞추면 1차적인 장비 세팅이 끝납니다. 카오스 루타비스 장비는 펜살리르와 달리 상하의가 구분되있으므로 140제 에픽 이상의 전신갑옷 을 미리 한벌 더 준비한 후 11성 달성 후 토드하는것이 좋습니다.

6.2.2.네크로→무스펠(토드용)→여제+카루타 방식

이지 혼테일 사냥을 통해 얻은 무스펠과 쟈이힌 아이템을 부위당 한개씩 팔지 않고 남겨둔 후, 쩔을 통해 네크로 아이템을 얻은 후 토드하여 네크로 아이템을 착용하고 170레벨까지 레벨링을 합니다. 그 후 여제 먹자를 통해 여제 장비 아이템을 얻습니다.

여제 아이템을 착용하고 180레벨까지 레벨링을 한 후, 카루타 먹자를 통해 카오스 루타비스 아이템을 얻은 후 강력한 환생의 불꽃으로 추옵을 맞춘 후 토드를 하면 여제 장갑+무기+신발+망토(4셋)+카오스 루타비스 모자+상의+하의(3셋)을 맞출 수 있습니다.

스우를 격파해서 앱솔랩스 아이템을 얻는 최상위권 유저들을 제외한 경우입니다. 리부트의 최종 템셋팅을 맞추기까지는 하드 매그너스와 카오스 벨룸 등의 상위 보스 트라이와 전문기술을 통한 재료 확보와 아이템 제작이 필요합니다. 그런 노력들을 기울인 후 최종적인 템셋팅에 대해 간단하게 서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