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산 폴리카보네이트 차이 - legsan pollikaboneiteu chai

[자재] 단파론? 렉산? 아키라이트? 폴리카보네이트?   - 용어 정의 -

단파론, 아키라이트, 렉산, 단층판, 복층판, 폴리글라스, 유판넬, 폴리카보네이트, PC 등등 . . . @.@

건축용 폴리카보네이트와 관련하여 이와같이 비슷하거나 특이한 용어들이 난무하고 있어서 이와 관련된

설계사무실이나 인테리어 회사, 시공업체 관계자 분들이 혼란스러워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이 용어들을 하나씩 정리해 볼까 합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웹에서 검색해보면 백과사전이나 지식인 등에 이미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그래도 , 간단히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입니다.

비슷한 다른 플라스틱보다 견고하고 유연성,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아크릴이나 유리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정밀 기계부품에

대해서도 적용되고 있으며

아기 젖병이나 가방, 자동차 라이트커버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주로 소개해 드리고 있는 것은 건축용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비가림막, 캐노피, 연결통로, 아케이드 등 지붕쪽에는 이미 상당히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채광창, 광천장, 내벽체, 외벽체, 파티션 등 건물 내외부의 인테리어와

가구, 캠핑카, 온실 등 그 용도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PC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의 약자 입니다.

<건축용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복층판 & 단층판>

단파론(DANPALON),     유판넬(U-PANNEL)

많은 분들이 U자 모양의 건축용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시트를 단파론으로 지칭하는데요,

사실 "단파론"은 "폴리카보네이트"같은 일반 명사가 아닌 특정회사의 제품명 입니다.

정확하게는 이스라엘의 "단팔(DANPAL)社"에서 생산되는 제품 입니다.

국내 A社에서 수입하여 판매중입니다.

유판넬은 단파론과 같은 형식의 제품으로, 판넬 모양이 U자 모양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당사에서도 한동안 제품명으로 사용하였으며, 다른 업체에서도 사용중인 이름입니다.

렉산 폴리카보네이트 차이 - legsan pollikaboneiteu chai

<단파론, 유판넬 판넬의 형태>

이해하기 쉽게 다른 제품의 특정회사의 특정상품명이 일반명사화 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예전 모자동차 회사에서 출시된 다인승 승합차중 이름이 "봉고"라는 차가 있었습니다.

이후 비슷한 형식의 "베스타" "그레이스" "프레지오" "이스타나" 등 다른 회사의 승합차들도 나왔지만,

한동안 "승합차" 하면 "봉고차"라는 단어로 통용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초기 선점한 제품명이 일반명사화 되는 대표적인 사례인 것 같습니다.

다른제품으로 하나만 더 사례를 들자면,

"미원"이라는 조미료도 있겠습니다.

대상이라는 회사의 제품명인 "미원"이 한동안 "조미료"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었지요.

그래서 다시한번 정리해 보자면,

"단파론" "유판넬" 이 용어들은 U자모양의 "건축용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시트"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은 특정회사의 제품명인 것 입니다.

<당사의 U자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시트들 . . .제품명 "탑갈" &"폴리유">

​"아키라이트"도 위에 설명드린 "단파론"의 경우와 같습니다.

국내D社에서 생산되는 건축용 폴리카보네이트 판넬의 제품명인데,

일반명사화 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폴리카보네이트 판넬을 단층판과 복층판으로 구분하였을때​

복층판을 지칭할때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입니다.

​<당사의 복층판 샘플사진>

"렉산"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특정회사(GE)의 제품명입니다.

렉산(랙산,넥산)이라는 용어를 웹에서 검색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전적 의미가 나옵니다.

Lexan : (화학,상표) 렉산 : polycarbonate resin의 상품명; 단단하고 잘 깨지지 않아 분쇄 방지 안전창 등에 사용

다만, "아키라이트가"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판넬에 주로 사용되는데 반하여

"렉산"은 폴리카보네이트 단층판에 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다양한 두께와 색상의 단판 샘플들>

이 외에도 한동안 폴리글래스라는 용어도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와 같은 의미로 사용이 되었었습니다.

아마도 유리와 비슷해 보이는 외관때문에 (투명 단층판의 경우) 글래스라는 단어가 사용되지 않았었나..

하는 추측을 해 봅니다.

용어들을 하나씩 정리해보니 특정회사의 제품명이 일반명사화 된 케이스가 대다수 였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라는 소재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많이 헷갈려 하십니다.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을 사용하시려는 설계사무실, 인테리어사무실의 분들께서

부디 이런 점들을 잘 헤아리신 후 다양한 제품을 비교한 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