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사 일 BR - legsa il BR

안녕하세요? 북팡삼촌입니다~^^

주말에 어떤 분께서 댓글로 렉사일 코드에 대해 질문을 남기셔서 답변드렸는데, 이 부분에 대한 정보를 다 같이 공유하는 것이 좋을 듯하여 포스팅을 작성해봅니다.

영어독서를 하면서 AR 지수와 렉사일(Lexile) 지수 두 가지를 활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렉사일 지수는 난이도에 대한 수치뿐만 아니라 도서 정보를 제공하는 코드(code)를 별도로 기입하여 독자들이 책을 선택할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D 780L으로 렉사일 지수가 표기되어 있는 경우 780L은 도서 난이도를 뜻하며, 앞의 알파벳 AD는 도서 타입을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죠.

렉사 일 BR - legsa il BR

북팡 AR퀴즈/바코드 통합라벨지에 표시되는 렉사일(Lexile) 지수 코드

오늘 제가 드릴 내용이 바로 이 도서 타입 표시인 렉사일(Lexile) 지수 코드인 것입니다.

렉사일 코드는 총 7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제가 AD부터 NP까지 하나하나씩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AD(Adult Directed)

- 어른 지도. 학생 혼자 읽기보단 어른이 아이에게 큰 소리로 읽어 주는 것이 좋은 도서를 지칭합니다.

렉사 일 BR - legsa il BR

렉사일 AD570L

2. NC(Non-Conforming)

- 부적합. 렉사일 지수가 도서의 의도된 독자 수준보다 대체로 높게 나오는 도서입니. 저학년을 독자층으로 겨냥한 SF 도서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렉사 일 BR - legsa il BR

렉사일 NC640L

3. HL(High-Low)

- 높낮이 편차. 렉사일 지수가 도서의 의도된 독자 수준보다 현격하게 낮게 측정되는 도서를 뜻합니다. 자신의 연령대 수준보다 덜 복잡하고 난도가 낮으면서도 콘텐츠 소재는 수준 높은 것들인데요. 예를 들어, 쉽게 쓰인 청소년 연애 소설 등이 이에 속합니다.

렉사 일 BR - legsa il BR

렉사일 HL170L

4. IG(Illustrated Guide)

- 도해 안내. 참고용으로 활용되는 논픽션 도서들 중 책 속의 장과 절의 구성이 스토리 구조를 지니지 않은 도서들입니다. 백과사전, 용어 해설집 등 사전류의 도서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렉사 일 BR - legsa il BR

렉사일 IG950L

5. GN(Graphic Novel)

- 소설 만화. 코믹북이나 카툰, 삽화 소설처럼 말풍선 대화체가 등장하고 그림이 이야기 전개 및 이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도서입니다.

렉사 일 BR - legsa il BR

렉사일 GN520L

6. BR(Beginning Reader)

- 입문자 도서. 말 그대로 영유아, 초등 저학년 등 독서 입문하는 아이들에게 부모가 읽어주는 책으로써 렉사일 지수가 0L 이하기 때문에 렉사일 지수 대신 BR로 표기해 놓고 있습니다.

렉사 일 BR - legsa il BR

렉사일 BR

7. NP(Non-Prose)

- 비산문. 문장 구성과 문체 자체가 산문이 아닌 시, 노랫말, 희곡 등으로 쓰인 도서를 뜻합니다. 이런류의 도서들은 렉사일 지수를 아예 매길 수 없기 때문에 NP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렉사 일 BR - legsa il BR

렉사일 NP

지금까지 렉사일(Lexile) 지수의 7가지 코드인 AD, NC, HL, IG, GN, BR, NP에 대해서 설명드렸는데요. 오늘 이후로 더 이상 질문하기 있기 없기??!!ㅋㅋ 빠염~!^^

렉사 일 BR - legsa il BR

1F, 507-7, Munbal-dong, Paju-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