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비안에서 python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아토플래닛의 가현쌤입니다.

오늘부터는 라즈베리파이의 기본 사용법과 파이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벌써부터 아두이노랑 어떤게 다를지, 너무 기대가 됩니다. 여러분들도 그렇죠?! 그러면 오늘도 힘차게 출발해볼까요?

!GO GO!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은 분들! 또는 프로그래밍을 하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파이썬(python)을 다들 아실텐데요! 가현쌤이 생각하기에는 파이썬(python)은 요즘 굉장히 인기 있는 언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나, 요새는 많은 개발 분야에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HOT한데요! 파이썬은 어떻게 만들어진 걸까요?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파이썬은 귀도 반 로섬이라는 네덜란드 프로그래머에 의해 1990년에 개발된 언어입니다. 파이썬이라는 이름은 귀도 반 로섬이 좋아하는 코미디 쇼에서 따왔다고 하는데요. 굉장히 귀여운 이름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 더 귀여운 점은 파이썬 로고의 모양인데요! 자세히 보면 '뱀'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바로 파이썬의 사전 의미가 '뱀'을 뜻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파이썬은 C언어나 Java에 비해 굉장히 최근에 개발되었는데요.

파이썬은 C언어나 Java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인터프리터 언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인덴트(빈 칸, 들여쓰기)에 민감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는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현쌤은 인덴트 때문에 실수를 많이 할 때가 있었답니다.)

근데! 갑자기 왜 가현쌤이 파이썬 언어에 대해서 소개해드린 걸까요?

바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파이썬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가현쌤과 함께 파이썬의 기본 문법에 대해 공부하면서 라즈베리파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일단 가현쌤처럼 라즈비안을 실행시키도록 합니다. 그리고 터미널을 열어주세요!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2개 중에서 선택

먼저 python의 버전을 확인해보도록 할까요?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1. python -V / python2 -V

2. python3 -V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위의 코드를 실행시키면, 라즈비안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썬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V'는 꼭 대문자로 넣어주셔야 한다는 점!

주의해주세요.^^

다음으로 라즈비안에서 파이썬을 사용하는 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python으로 접속해서 python 내에서 언어를 작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두 번째로는 메모 형식의 파일을 만들어서, 메모 안에 파이썬 언어를 작성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실행방법1. python 자체를 사용하기

실행방법2. 메모형식으로 python 사용하기

첫 번째 방식은 내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게 아니라, '언어를 치고 실행하고 또 언어를 치면 그에 대해 실행하고~' 바로 바로 실행하는 구조입니다.

1. python / python2

2. python3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2개 중에서 선택

위의 방식 중 한가지 방식을 선택해서 python에 접속하도록 하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접속하면 '>>>'이 나타나실 텐데요, 이 기호는 코드를 치라는 뜻입니다. 즉, 파이썬에 제대로 접속함을 뜻하기도 합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a 변수에 3 저장'을 실행해볼까요?'>>> a=3' 엔터치시면, 저장 완료!

다음으로 '>>> a' 엔터치시면 '3'이 나타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python에서 빠져 나오는 방법은 'exit()'를 사용하시면 된답니다. '>>>exit()' 엔터치시면, 빠져나오기 완료! 굉장히 간단하죠?

두 번째 방식은 '내가 원하는 프로그램', 즉 파일을 따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즉 '계산기'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으면, 메모장 안에 계산기를 만드는 언어를 작성하고 저장하면, 메모장 자체가 '계산기' 프로그램이 되는 것입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여기서 잠깐! 터미널을 처음 상태로 돌려보겠습니다. 터미널에 여러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터미널 화면에 이제 필요없는 내용도 보게 되는데요! 이때, 터미널을 처음 상태로 보고싶으실 땐 'clear'를 입력해주시면, 깔끔해진답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이제, 메모장을 만들건데요. 메모장을 만들때는 'nano 이름.py' 형식으로 파이썬 메모장을 생성하시면 됩니다. 가현쌤은 'test'라는 이름의 메모장을 만들기 위해서 'nano test.py'를 입력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엔터를 치시면 검은 화면이 나오실 텐데요. 상단에는 메모장 이름이 나와있네요! 이제 여기 안에, 'a에 3 저장 후, 출력' 프로그램을 넣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a = 3'과 'print(a)'를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이때 파이썬의 경우 아두이노와 다르게 세미콜론(;)을 넣지 않는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하나의 프로그램(메모장)을 만들었다면, 저장해야겠죠? 저장은 'ctrl+o'를 하신 후, 엔터해주시면 된답니다.

메모장에서 나가실 때는 'ctrl+x'로 빠져나와주세요.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

그리고 터미널에 파이썬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메모장)을 실행시킬 때는, 'python 이름.py' 형식으로 입력해주시면 된답니다.

'python test.py'를 입력하시면, 'a'의 값이 출력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라즈베리파이의 파이썬 기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재밌으셨나요? 다음 시간에도 알차고 재밌는 라즈베리파이 콘텐츠로 찾아오겠습니다. 그러면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라즈베리파이 파이썬 - lajeubelipai pais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