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오 fx570ms 분수 - kasio fx570ms bunsu

신한카드

2,3개월 (5만원↑)
7,8,9,10,11,12개월 (20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KB국민카드

2,3,4,5,6,7개월 (5만원↑)
8,9,10,11,12개월 (20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비씨카드

2,3,4,5,6,7개월 (5만원↑)

우리카드

2,3,4,5,6,7개월 (5만원↑)

현대카드

2,3,4,5,6,7개월 (1만원↑)
8,9,10,11,12개월 (20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삼성카드

2,3개월 (5만원↑)
7,8,9,10,11,12개월 (20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하나카드

2,3,4,5,6,7,8개월 (5만원↑)

롯데카드

2,3,4개월 (5만원↑)
6개월 (5만원↑, SK pay 결제 시)
7,8,9,10,11,12개월 (20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개월 (100만원↑, SK pay 결제 시)

농협[NH페이]카드

2,3,4,5,6,7,8개월 (5만원↑)
12개월 (20만원↑, SK pay 결제 시)

SC은행리워드카드

2,3,4,5,6,7개월 (5만원↑)

tag : 공학용계산기 (工学计算机/scientific calculator),

Casio scientific calculator/卡西欧 工学计算机 说明书/ 카시오 공학용 계산기

1. 결과가 분수로 나옵니다. 소수형식으로 바꾸는 방법은?

: MATH 형식을 LINEAR 형식으로 바꾸거나,

버튼을 누르세요.

※ 관련 글 링크

[fx-570 ES] Math / Linear 설정 - 분수, 루트의 표시 및 소수점 표현으로의 전환

2. 결과가 루트꼴로 나옵니다. 루트를 없애는 방법은?

: 위와 같습니다. 

3. 결과가 1.2345E-4 혹은 1.2345 × 10^(-4) 처럼 나옵니다. 

그냥 0.00012345 로 나오게 못하나요?

: SETUP에서 DISPLAY DIGIT (자릿수 표기)설정을 변경합니다.

※ 관련 글 링크 

[fx-350 ES], [fx-570 ES] [fx-5800p] [fx-9860G] 설정 - 자릿수 표기

--------------------

메뉴얼

2. 한글 설명서 - 행남통상 : http://www.cview.co.kr/ 자료실 

* fx-570 ES 사용 예제 : 


* 잘 모르시는 분을 위한 간단한 사용소개 *

공학용계산기는 +, -, ÷, × 만 하는 일반용 계산기와 달리
함수, 루트 등 실생활에 불필요한 계산까지 가능하죠.

또한, 복잡한 계산식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답니다.
예) 100+[{45-(30×85)}-(46÷2)]×3 라는 식이 있다면,

일반용계산기는 +, -, ÷, × 에서 곱하기와 나누기, 또는 괄호안 계산을 먼저하는식으로 계산을 해야하지만
공학용계산기는 저대로 그대로 입력후 "="를 누르면 답이 나옵니다.

참 간편하죠? ^^

나도 모르거나 자주 까먹는 기능들이 있어서 정리하는 김에..

기초 계산(COMP)는 [MODE] 1(COMP) 상태에서 할 수 있는 기초적인 계산들이다.

1. 입력 중 정정

삭제 : 방향키를 누르면 해당 숫자 밑에 밑줄이 쳐진다. [DEL] 누르면 삭제

추가 : 방향키를 누르고 [INS]([SHIFT]+[DEL])를 누르면 해당 숫자에 괄호가 쳐진다. 이 상태에서 추가하고자 하는 숫자를 누르면 괄호가 쳐진 숫자 왼쪽에 숫자가 추가된다. 다시 [INS]([SHIFT]+[DEL])을 누르거나 [=]을 누르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2. 복수 스테이트먼트

여러 식을 순차적으로 계산 가능

ex) 2+3의 값을 4로 곱한다

2 [+] 3 [:]([ALPHA]+[∫dx]) [Ans] [×] 4 [=]

>> 2+3 // 5

[=]

>> Ans×4 // 20

3. 지수 표시 포맷

어느 크기의 값부터 과학적 표기법으로 표기할지 선택

[MODE]를 5번 누르고 3(Norm)을 선택한다.

Norm 1 : 11자리, 0.001부터 과학적 표기법으로 표기

Norm 2 : 11자리, 0.0000000001부터 과학적 표기법으로 표기

4. 초기화

모드, 셋업, 메모리, 변수 설정 초기화

[CLR]([SHIFT]+[MODE]) 1(Mcl) [=] : 변수 설정 초기화

[CLR]([SHIFT]+[MODE]) 2(Mode) [=] : 모드 초기화

[CLR]([SHIFT]+[MODE]) 3(All) [=] : 모두 초기화

5. 분수계산

a. 분수 합을 분수로 표현할 때

ex) 2/3 + 1/5 = 13/15

2 [a b/c] 3 [+] 1 [a b/c] 5 [=]

>> 13˩15

ex) 1/2 + 6/5 = 1+7/10

1 [a b/c] 2 [+] 6 [a b/c] 5 [=]

>> 1˩7˩10

b. 약분

ex) 75/50 = 1+1/2

75 [a b/c] 50 [=]

>> 1˩1˩2

c. 분수와 소수의 합

계산값은 항상 소수이다.

ex) 1/2 + 1.6 = 2.1

1 [a b/c] 2 [+] 1.6 [=]

>> 2.1

d. 소수/분수 전환

결과값에서 [a b/c]를 한번 더 누르면 된다.

만약 결과값이 대분수인데 가분수로 보고 싶을 경우 [d/c]([SHIFT]+[a b/c])를 누르면 된다.

만약 기본 표시값을 대분수가 아닌 가분수로 전환하고 싶으면 [MODE]를 6번 누른 후 1(Disp), 방향키 오른쪽, 2(d/c)를 선택하면 된다.

6. 백분율 계산

a. 어떤 값의 몇 %

ex) 1500의 12%는 180

1500 [×] 12 [%]([SHIFT]+[=])

>> 180

b. a는 b의 몇퍼센트?

ex) 660은 880의 몇 퍼센트인가?

660 [÷] 880 [%]([SHIFT]+[=])

>> 75

c. a에서 몇% 증가

ex) 2500에서 15% 증가한 값은?

2500 [×] 15 [%]([SHIFT]+[=]) [+]

>> 2875

d. a에서 몇% 감소

ex) 3500에서 25% 감소

3500 [×] 25 [%]([SHIFT]+[=]) [-]

>> 2625

e. a에 b를 더하면 몇% 증가한 것?

ex) 500에 300을 더하면 몇% 증가한 것인가?

300 [+] 500 [%]([SHIFT]+[=])

>> 160

f. a에서 b로 바뀌면 몇% 증가한 것?

ex) 40이 46이 되면 몇% 증가한 것인가?

46 [-] 40 [%]([SHIFT]+[=])

>> 15

7. 시간 변환

ex) 2.258 h는 몇시간 몇분 몇초인가? → 2시간 15분 28.8초

2.258 [=] [∘ ❜ ❜❜]

>> 2°15°28.8

[∘ ❜ ❜❜]를 다시 누르면 2.258로 바뀐다.

60진법인 상태에서 바로 배수를 구할 수 있다.

ex) 2시간 2분 2초의 35배는?

2 [∘ ❜ ❜❜] 2 [∘ ❜ ❜❜] 2 [∘ ❜ ❜❜] [×] 35 [=]

>> 71°11°10

8. 소숫점 관련 설정

[MODE]를 5번 누르면 소숫점 관련 설정이 가능하다.

1(Fix)는 소숫점 지정, 2(Sci)는 유효숫자수 설정이다.

ex) 200 [÷] 7 [×] 14 [=]

>> 400

[MODE]×5 1(Fix) 3 : 소숫점 3 지정

>> 400.000

(기존) 200 [÷] 7 [=] >> 28.57142857

(소숫점 지정 후) 200 [÷] 7 [=] >> 28.571

Fix 지정 초기화 : [MODE]×5 3(Norm) 1

ex) 1÷3을 2개의 유효숫자료 표시

[MODE]×5 2(Sci) 2 1 [÷] 3 [=]

>> 3.3-0.1

Sci 지정 초기화 : [MODE]×5 3(Norm) 1

9. 계산값 바로 이용

TYPE A 기능([x2], [x3]([SHIFT]+[x2], [x-1], [x!]([SHIFT]+[x-1]), [+], [-], [^], [x√]([SHIFT]+[^]), [÷], [nPr]([SHIFT]+[×]), [nCr]([SHIFT]+[÷]), [∘ ❜ ❜❜])은 계산값을 바로 사용가능하다.

ex) 2 [×] 8 [=]

>> 16

[^]

>> Ans^

2

>> Ans^2

[=]

>> 256

10. 독립 메모리

독립 메모리를 이용하면 한번에 여러 계산을 행할 수 있다.

ex) (23+9)+(53-6)-(45×2) = -11

23 [+] 9 [STO]([SHIFT]+[RCL]) [M+]

>> 23+9→M // 32

53 [-] 6 [M+]

>> 53-6M+ // 47

45 [×] 2 [M-]([SHIFT+[M+])

>> 45×2M- // 90

[RCL] [M+]

>> M= // -11

독립 메모리 초기화 : 0 [STO]([SHIFT]+[RCL]) [M+]

11. 변수 지정

변수는 A,B,C,D,E,F,M,X,Y 총 9개의 문자에 지정할 수 있다.

ex) A에 235를 지정

[A]([ALPHA]+[(-)]) [=]([ALPHA]+[CALC]) 235 [=]

>> 235

[A]([ALPHA]+[(-)]) [+] 5 [=]

>> 240

특정 변수값 초기화는 [A]([ALPHA]+[(-)]) [=]([ALPHA]+[CALC]) 0 [=]으로 해당 변수에 0을 지정

모든 변수값 초기화 : [CLR]([SHIFT]+[MODE]) 1(Mcl) [=]

또는 계산값을 바로 지정할 경우 [STO]([SHIFT]+[RCL])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D에 저장한다고 하자. [D]는 [ALPHA]+[sin]인데, [STO]([SHIFT]+[RCL])를 사용할 경우 [sin]만 누르면 된다.

ex) 25 [+] 52 [=]

>> 77

[STO]([SHIFT]+[RCL]) [sin]

>> 25+52→D // 77

[D]([ALPHA]+[sin]) [=]

>> 77

12. 복사

여러번의 계산을 수행한 후 위아래 화살표로 계산했던 과거기록을 볼 수 있다. 특정 기록에서 [COPY]([SHIFT]+▲)를 누르면 이 기록부터 가장 최근의 기록까지 복수 스테이터스로 스크린에 복사해준다.

단, 계산기록은 스크린 초기화를 [AC]로 했을 때만 남아있다. [ON]을 눌러 초기화한 경우 메모리가 초기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