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10 년차 연봉 - jung-gyeongieob 10 nyeoncha yeonbong

"대기업 연봉 순위, 중견기업 연봉 수준을 통해

직장인 평균연봉을 알아볼 수 있는 포스팅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대책으로 중위소득 150%, 소득 하위 70%에게 지원금을 준다고 합니다. 이 뉴스를 보고 나서 의문점이 생겼는데요,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 연봉수준은?

중위소득이라고 하면 대한민국 소득의 중간값이라는 것인데, 실제로 직장인들 월급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내 소득은 평균은 넘는 수준일까?

이 주제를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1. 긴급재난지원금 기준 - 소득하위 70%

>중위소득 100%

1인가구 - 1,757,194

2인가구 - 2,991,980

3인가구 - 3,870,577

4인가구 - 4,747,174

5인가구 - 5,627,771

6인가구 - 6,506,368

>중위소득 150%

1인가구 - 2,636,000

2인가구 - 4,488,000

3인가구 - 5,806,000

4인가구 - 7,124,000

5인가구 - 8,442,000

6인가구 - 9,760,000

이 소득하위 결정 기준은 세전 기준이라고 합니다....ㅜ 실제 통장에 찍히는 월급액이 아니라 세금과 각종 보험료 등을 떼기 전 금액이라는 것이죠.. 여기서 끝나지 않고 기타소득도 종합적으로 고려되는 것 같아요ㅠ

가구당 지원금액은 1인가구의 경우 40만원, 2인가구 60만원, 3인가구 80만원, 4인가구 이상은 100만원이라고 해요. 지급방식은 지역상품권이나 제로페이 같은 전자 화폐라고 하구요. 별도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신청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이제 직장인 평균연봉 수준을 알아봅시다.

2. 직장인 평균연봉 수준

직장생활 하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보수와 승진이라고 하지요.

승진은 뭐 실제로 직장생활을 해나가면서 본인의 노력과 운도 많이 작용하겠지만 보수, 즉 연봉은 아니죠.

미리 내가 들어가고자 하는 기업의 연봉 수준을 알고 있다면 아무런 정보 없이 입사하는 것보다야 훨씬 나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렇게 중요한 연봉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직장인들은 보통 평균적으로 얼마의 연봉을 받고 있을까?

직장인 직급별 평균연봉에 대한 이야기와, 각 기업들의 연봉 수준에 따른 중소기업, 대기업 연봉 순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직장인 평균연봉, 직장인인 내가 현재 받고 있는 연봉은 직장인 평균연봉으로부터 추산해봤을 때, 평균에 미달할까, 아니면 넘어갈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면 관련 자료를 한 번 봐봅시다.

직장인 평균연봉

1. 사원 평균연봉(1-4년차) : 4513만원

2. 대리 평균연봉(4-8년차) : 5159만원

3. 과장 평균연봉(8-12년차) : 5772만원

4. 차장 평균연봉(12-17년차) : 6641만원

5. 부장 평균연봉(17-22년차) : 9856만원

위의 자료는 제가 임의로 설정한 자료가 아니구요, 취업전문사이트 잡코리아에서 낸 연봉통계를 기반으로 한 자료(출처: 잡코리아 연봉통계)입니다.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affiliate.allcredit.co.kr/P260401A01/do.jams?SCRN_ID=s09018492753)

사원 평균연봉이 4513만원이니까, 대졸사원 연봉 평균은 4600만원 언저리쯤이 되겠네요.

보통 사원급이라고 하면 1~4년차 생활한 후에 대리로 진급하게 되고 이 1~4년차들의 평균이 4500만원대라는 말이니까 신입사원 초봉 평균은 4000만원 정도가 되지 않을까요?

적지 않은 수준이네요.

잡코리아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중소기업들에 대한 연봉통계는 수집이 어려울텐데 대기업은 수집이 많이 될테니 통계적으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 같기도 하네요.

그렇다면 승진해서 각 직급이 바뀌게 될 때, 연봉상승률은 어떻게 될까요?

직장인 평균연봉 변화(연봉상승률)

1. 사원→대리 : 646만원, 연봉상승률 14.3%

2. 대리→과장 : 613만원, 연봉상승률 11.9%

3. 과장→차장 : 869만원, 연봉상승률 15.1%

4. 차장→부장 : 3215만원, 연봉상승률 48.4%

와, 승진할 때 직장인 평균연봉 변화를 실제로 계산해서 정리해보니까, 차장에서 부장으로 승진할 때 상승액이 장난 아니네요.

무려 연봉상승률이 48.4%나 됩니다. 특진에 특진을 거듭하여 빨리 부장까지 승진하고 싶어지게 만드는 자료로군요. 

그렇다면 연령별로는 어떨까요?

연령별 평균연봉

1. 20대 초반 평균연봉 : 3132만원

2. 20대 후반 평균연봉 : 4283만원

3. 30대 초반 평균연봉 : 5118만원

4. 30대 후반 평균연봉 : 6022만원

5. 40대 초반 평균연봉 : 7071만원

6. 40대 후반 평균연봉 : 8691만원

7. 50대 초반 평균연봉 : 9286만원

와우... 20대 초반에도 이렇게 열심히 일해서 3000만원에 상당하는 급여를 받는 청년들도 있군요...ㅠ 나는 그 때 뭐했지ㅠㅠㅠ 아무튼 직장인 평균연봉은 대략 이렇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직장인 평균연봉 정보에 이어서 다음으로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연봉 순위를 검색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볼까요?

http://www.jobkorea.co.kr/Salary_Info/
http://affiliate.allcredit.co.kr/P260401A01/do.jams?SCRN_ID=s09018492753

이 포스팅의 출처입니다.
두번째 링크 직접 들어가셔도 되구요.
첫번째 링크로 가셔서 왼쪽 하단의 "직급별 통계" 보시면 됩니다.
저는 위 통계자료를 방문자분들이 보기 쉽게 단순히 정리한 것 뿐이구요.
물론 해당 통계자료를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악성댓글을 다시는 건 서로에 대한 예의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ȸ�� 18,453

중견기업 10 년차 연봉 - jung-gyeongieob 10 nyeoncha yeonbong

������������Կ������ο�
1 NHN�������θ�Ʈ �� 4,850���� 887��
2 ���ƻ� �� 4,500���� 965��
3 �ѱ����������� �� 4,331���� 1,113��
4 ŸŸ��������� �� 4,300���� 1,296��
5 �������ջ�� �� 4,200���� 280��
6 �ѱ������������ �� 4,015���� 647��
7 ��ī�� �� 4,000���� 821��
8 ���ﵵ�ð��� �� 4,000���� 512��
9 �ѿ½ý��� �� 3,950���� 2,295��
10 �ѱ����������� �� 3,860����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