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다자녀 전형 - jung-angdae dajanyeo jeonhyeong

* 공연영상창작학부 수시모집 연극-연기/뮤지컬연기 전형의 1단계 선발 배수와 전형 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

: 1단계 8배수 선발, 1단계 실기는 비대면 영상 업로드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5월 26일(목) 수정)

------------------------------------

2022년에 진행되는 2023학년도 중앙대의 입학 전형 계획입니다. 입학처의 공지사항에 있으며 세부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전년도 대비 변경 사항

ㅇ 수시모집

- 지역균형 전형 : 지원자격 확대(2022년 2월 졸업자 포함), 일부 모집단위를 제외하고 단과대학별 모집, 추천 인원 확대(20명),

                    전형 요소 반영 비율 변경(-> 교과 90 + 출결 10), 교과 반영방법 변경(-> 계열 구분 폐지, 이수단위 반영),

                    안성 캠퍼스 모집단위 수능 최저학력기준 폐지

- 논술 전형 : 전형 요소 반영 비율 변경(-> 논술 70 + 교과 20 + 출결 10), 교과 성적 반영 변경(-> 계열 구분 폐지 및 상위 5과목 반영)

- 학생부 성적 반영에서 봉사 성적 반영 폐지

- 지역균형/논술/실기형 전형 : 부분적으로 수능 최저학력기준 완화

- SW인재 전형 폐지 -> 다빈치형인재/탐구형인재 전형으로 선발

- 고른기회 전형 : 지원자격별로 분할하여 선발 (농어촌 학생/기초·차상위 학생)

- 사회통합 전형 : 다자녀 가정의 지원자격 변경(3자녀 -> 4자녀)

- 미술학부/글로벌예술학부(실용음악/게임콘텐츠·애니메이션) : 전형 방법 변경 ->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 글로벌예술학부(TV방송연예) : 1단계 선발 배수 축소, 전형 방법 변경

- 특기형(체육특기자) 전형 : 출결 성적 반영을 가산점 방식으로 변경

ㅇ 정시모집

- 일부 모집단위 : <군> 변경

- 정시모집 인원 증가 및 학과모집으로 선발

- 음악학부/전통예술학부(음악예술) : 수능 반영 영역 및 반영 비율 변경 -> 국어 100 + 영어 가산점 + 한국사 가산점

2) 2023학년도 모집 인원

* 모집 인원 합계 : 4,966 명 (수시 : 2,788 명, 정시 : 2,178 명 / 정원 내 : 4,477 명, 정원 외 : 489 명(재외국민 전형 인원 87명 제외))

- 수시모집의 전형별 인원

   : 지역균형(505), 다빈치형인재(526), 탐구형인재(408명), 사회통합(20), 농어촌(132), 기초·차상위(66),

     특성화고졸재직자(232), 장애인대상자(8), 실기형(356), 특기형(48), 논술(487)

- 정시모집의 전형별 인원

   : 일반(1,727), 실기형(287), 농어촌(98), 기초·차상위(26), 특성화고교졸업자(30), 특성화고졸재직자(10)

- 정원 외 전형

   · 수시모집 : 농어촌/장애인대상자/기초·차상위/특성화고졸재직자(1명은 정원 내)

   · 정시모집 : 특성화고졸재직자/특성화고교졸업자/농어촌/기초·차상위

* 장애인대상자 전형 : 수시모집에서 8명 선발 (서울캠퍼스 6명, 안성캠퍼스 2명)

  (선발 모집단위 : 인문대학/사회과학대학/경영경제대학/자연과학대학/공과대학/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학부/생명공학대학/예술공학부/디자인학부의 실내환경디자인·패션)

*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242명) : 지식경영학부 (수시모집 : 232명 / 정시모집 : <나군> 10명 -> 수시/정시모집 모두 학생부종합 전형)

ㅇ 인문계열

 모집단위 / 전형

 수시모집

 정시모집

지역

균형

다빈치형

인재

탐구형

인재

사회

통합

농어촌

기초·

차상위

논술

수시

일반

특성화고

졸업자

농어촌

기초·

차상위

 인문대학

 36

 36

 국문학

 6

 6

 6

 18

 나

 17

 3

 영문학

 10

 18

 2

 2

 3

 10

 45

 가

 44

 4

 유럽문화학-독일어문학

 10

 2

 4

 16

 10

 유럽문화학-프랑스어문학

 11

 2

 2

 4

 19

 12

 유럽문화학-러시아어문학

 9

 2

 4

 15

 10

 아시아문화학-일본어문학

 11

 2

 4

 17

 11

 아시아문화학-중국어문학

 14

 3

 2

 4

 23

 15

 철학

 10

 2

 2

 5

 19

 13

 역사학

 10

 2

 5

 17

 13

 3

 사회과학대학

 26

 26

 정치국제학

 10

 2

 3

 6

 21

 나

 22

 2

 심리학

 6

 7

 4

 2

 8

 27

 20

 문헌정보학

 6

 6

 2

 4

 18

 가

 13

 2

 사회복지학

 7

 7

 3

 3

 6

 26

 나

 20

 사회학

 6

 6

 2

 2

 7

 23

 19

 2

 2

 도시계획·부동산학

 8

 7

 3

 2

 5

 25

 가

 18

 공공인재학

 15

 8

 10

 4

 15

 52

 48

 4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7

 6

 6

 3

 9

 31

 27

 3

 교육학

 5

 8

 2

 4

 19

 나

 11

 유아교육

 5

 12

 2

 19

 가

 11

 영어교육

 8

 11

 2

 2

 7

 30

 나

 22

 경영경제대학

 55

 55

 경제학

 12

 12

 2

 6

 2

 11

 45

 나

 54

 5

 6

 응용통계학

 5

 6

 4

 15

 15

 3

 광고홍보학

 6

 6

 2

 2

 6

 22

 20

 2

 국제물류학

 5

 6

 2

 2

 5

 20

 19

 2

 산업보안학(인문)

 5

 5

 가

 5

 경영학-경영학

 50

 22

 30

 2

 10

 6

 57

 177

 다

 197

 10

 17

 7

 경영학-글로벌금융

 8

 5

 5

 6

 24

 가

 24

 간호학(인문)

 13

 13

 13

 4

 5

 13

 61

 가

 55

 3

 계

 228

 237

 166

 10

 67

 39

 219

 966

 765

 15

 51

 14


ㅇ 자연계열

* 생명공학대학/예술공학대학/첨단소재공학과 : 안성 캠퍼스

 모집단위 / 전형

 수시모집

 정시모집

지역

균형

다빈치형

인재

탐구형

인재

사회

통합

농어촌

기초·

차상위

논술

수시

일반

특성화고

졸업자

농어촌

기초·

차상위

 산업보안학(자연)

 8

 4

 12

 나

 8

 자연과학대학

 30

 30

 물리학

 7

 8

 2

 2

 2

 5

 26

 나

 13

 화학

 5

 5

 5

 15

 가

 15

 2

 생명과학

 6

 6

 2

 6

 20

 나

 19

 2

 수학

 5

 6

 5

 16

 가

 18

 2

 공과대학

 33

 33

 사회기반시스템공학

 -건설환경플랜트공학

 8

 8

 2

 8

 26

 나

 23

 2

 사회기반시스템공학

 -도시시스템공학

 9

 2

 2

 5

 18

 11

 건축학

 13

 13

 2

 3

 2

 10

 43

 37

 4

 에너지시스템공학

 8

 8

 3

 10

 29

 35

 4

 4

 화학신소재공학

 10

 7

 8

 2

 12

 39

 가

 33

 3

 2

 기계공학

 18

 12

 15

 4

 2

 23

 74

 65

 4

 5

 2

 창의ICT공과대학

 57

 57

 전자전기공학

 15

 20

 2

 6

 2

 25

 70

 다

 90

 4

 9

 4

 융합공학

 9

 8

 3

 10

 30

 나

 38

 5

 소프트웨어학부

 15

 15

 22

 2

 3

 4

 20

 81

 다

 78

 3

 4

 AI학

 5

 12

 5

 22

 가

 18

 약학

 6

 12

 15

 5

 22

 60

 가

 65

 4

 의학

 11

 11

 14

 36

 나

 50

 간호학(자연)

 17

 17

 17

 2

 5

 4

 16

 78

 가

 60

 5

 생명공학대학

 66

 66

 생명자원공학-동물생명공학

 10

 9

 4

 7

 30

 가

 25

 생명자원공학-식물생명공학

 14

 4

 6

 24

 22

 식품공학-식품공학

 10

 9

 5

 10

 34

 37

 식품공학-식품영양

 14

 4

 7

 25

 15

 시스템생명공학

 7

 7

 4

 2

 8

 28

 22

 첨단소재공학과

 5

 5

 6

 2

 7

 25

 가

 15

 예술공학부

 15

 23

 21

 5

 2

 18

 84

 나

 51

 계

 277

 242

 242

 10

 65

 27

 268

1,131

 863

 15

 47

 12

ㅇ 예체능계열

- 서울 캠퍼스 : 체육교육/연극(연출·기획)/연극(연기)/연극(뮤지컬연기)/영화/공간연출 (다른 학과는 안성 캠퍼스)

 모집단위 / 전형

 수시모집

 정시모집

 다빈치형

 인재

 실기-

 실기형

 실기-

 특기형

 수시 계

 군

 일반

 수능-

 실기형

 실기-

 실기형

 사범대

 체육교육

 15

 15

 나

 15

 공연영상

 창작학부

 연극-연출/기획

 나

 12

 연극-연기

 24

 2

 26

 연극-뮤지컬연기

 8

 8

 영화

 15

 15

 15

 공간연출

 3

 7

 10

 10

 문예창작

 10

 19

 4

 33

 4

 사진

 32

 32

 15

 무용

 34

 34

 가

 미술학부

 한국화

 13

 13

 가

 12

 서양화

 10

 10

 15

 조소

 13

 13

 12

 디자인학부

 공예

 4

 4

 가

 6

 20

 산업디자인

 5

 5

 8

 20

 시각디자인

 6

 6

 7

 20

 실내환경디자인

 7

 7

 10

 10

 패션

 12

 12

 23

 10

 음악학부

 작곡

 4

 4

 나

 20

 성악

 6

 6

 26

 피아노

 12

 12

 20

 관현악

 20

 20

 16

 전통예술학부

 음악예술

 33

 33

 가

 12

 연희예술

 40

 40

 글로벌예술학부

 21

 21

 나

 스포츠과학부

 생활·레저스포츠,

 스포츠산업

 42

 42

 나

 48

 골프

 30

 30

 계

 47

 356

 48

 451

 99

 142

 145

3) 수시/정시모집의 지원 자격

ㅇ 수시모집의 전형별 지원 자격

- 고른기회 전형 : 농어촌 학생/기초·차상위 학생/장애인 대상바/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전형

 지원 자격

 지역균형

 (교과)

 2022년 이후 국내 고교 졸업자 및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 3학기 이상 성적 취득자로 학교장 추천자, 고교별 추천 인원은 20명

 - 최소 이수과목 요건을 충족해야 함 (수시모집요강에서 발표)

 * 제외 :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방송통신고, 특성화고, 일반고 전문계 과정, 대안교육 특성화고,

           일반고 대안교육위탁학생,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고등기술학교, 각종학교, 학생부 석차등급 산출 불가자

 다빈치형인재

 (종합)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 선발

 탐구형인재

 (종합)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 고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해당 전공분야에서 탐구 능력을 보인 경험이 있으며 학교생활에 충실한 학생

 - 교내 학업 관련 수상 실적,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 독서활동 등 탐구활동 과정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인 학생 선발

 사회통합

 (종합)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제외 : 외국고)

 :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 선발

 - 국가보훈대상자 : 국가보훈 관계 법령에 따른 교육지원 대상자

 - 장애인부모 : 부모 중 1인 이상이 중증장애인 등록자

 - 소년·소녀 가정 : 소년·소녀 가정 또는 가정위탁보호아동으로 등재된 자

 - 아동복지시설보호대상자

 - 직업군인/경찰·소방공무원 : 20년 이상 장기 복무/근무 (군 의무복무 기간 포함, 근무 기간 충족한 퇴직자 포함)

 - 다자녀 가정 : 4자녀 이상

 - 다문화 가정 

 고른기회 공통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 선발

 농어촌(종합)

 농어촌 지역 고교 졸업자 : 중~고교 6년(본인 + 부모 거주) / 초~고교 12년(본인 거주)

 * 제외 : 과학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비인가 대안학교

 기초·차상위

 (종합)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①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수급(권)자

 ②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복지급여를 받고 있는 학생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대상 학생

 ③ 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 및 제5조 2에 따른 지원대상자

 장애인대상자

 (종합)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 중증장애인/상이등급자(1~6급) 등록자

 특성화고졸

 재직자

 (종합)

 산업체 근무 경력 3년 이상 재직자 

 - 특성화고 졸업자(체험 위주 교육을 전문으로 실시하는 고교 제외, 일반고의 특성화고 교육과정 운영 학과 포함)

 - 산업수요 맞춤형 고교 졸업자

 - 일반고 재학 중 직업교육훈련 위탁기관으로 선정된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에서

   1년 이상의 직업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고 해당 일반고를 졸업한 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 특성화고와 같은 교육과정 이수자

 * 원서 접수 시작일 기준 재직자이며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인 자

 * 재직 기간 산정 : 학기 개시일 기준 총재직기간(4개 보험 중 하나 이상에 가입된 기간) 3년 이상

 * 군 의무복무, 직업군인 등의 군경력도 재직기간으로 인정

 * 산업체의 범위 (4대 보험 지역 가입자는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소속 직원의 경우)

 - 근로기준법 제11조에 의거 상시근로자 5인(사업주 포함) 이상 사업체

 - 4대 보험 한 개 이상 가입 사업체(창업 및 자영업자 포함)

 논술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실기

 (실기형)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 학생부 석차등급 산출 가능자

 * <공연영상창작학부(영화, 문예창작)/디자인학부>의 경우

   : 검정고시, 외국고, 학생부가 없거나 석차등급 산출 불가자는 지원 불가

 실기

 (특기형)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ㅇ 연기 : 국내·외에서 공인된 영화, TV, CF 등 기타 매체에서 연기자로 활동한 경력자 또는 수상자

            (최근 3년 이내 경력만 인정)

 ㅇ 문학 : 2020년 3월 1일 이후 개최된 아래 대회의 시, 소설, 수필, 희곡, 시나리오, 평론 부문에서 3위 이내 입상자
 - 일간신문 신춘문예·문예공모(경향, 동아, 문화, 서울, 세계, 중앙, 조선, 한경, 한국)·한겨레문학상
 - 구상한강백일장, 대산청소년문학상(대산문화재단), 마로니에 전국청소년백일장(한국문인협회),

    만해축전 전국고교생 백일장, 신동엽시인전국고교백일장, 전국고교생백일장(한국작가회의),

    전국만해백일장 고등부(대한불교청년회)
 - 심훈 중앙대청소년문학상(중앙대), 윤동주백일장(연세대), 전국고교문예현상공모(경희대),

    전국고교생문학콩쿠르(동국대), 전국고교백일장(성균관대), 추계청소년문학상(추계예대)

 ㅇ 체육 : 필수 요건(국내 고교 졸업자로 학생부상 반영 교과별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 자)

 * 필수요건을 반드시 충족 + 그 외 자격요건 1개 이상 충족

 ① 단체종목

 * 공통 : 남자만 지원 가능, 프로선수로 등록되었거나 현재 등록된 자는 지원 불가

   · 국가대표 선수로서 올림픽, 아시안게임,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자

   · 대한체육회 산하 경기단체(축구, 야구, 농구)에 고교 선수 등록을 필한 자

 - 축구

   · 국가대표로서 아래 사항 중 1개 이상 충족

     ㄱ) 대한축구협회가 선발한 자로 U-18 국제대회에 참가한 자

          (단, 2023학년도 수시 원서 접수 시작일 전일 기준 대한축구협회 소속 대표팀 선수만 인정)

     ㄴ) U-17 FIFA 월드컵 국제대회 및 AFC U-16 챔피언쉽 예선에 참가한 자

     ㄷ) 대한축구협회에서 인정한 국내 훈련에 소집된 자(상비군)(단, 시/도/고등연맹대표는 제외)

   · 2020년 이후 대한축구협회 주최 고교축구리그대회 중 1개년도 이상의 경기에서

     경기 출전 실적이 있는 자 (단, 2023학년도 수시 원서 접수 시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 야구 : 주말리그와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주최 대회에 출전한 자

           (단, 2023학년도 수시 원서 접수 시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 농구

   · 국가대표로서 FIBA(국제농구연맹) 주관 U17 세계농구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자
   · 국내 고등학교 재학 시 전국규모 대회에서 경기 출전 실적이 있는 자

     (단, 2023학년도 수시 원서 접수 시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② 개인종목

 - 국가대표급 선수로 올림픽, 아시안게임과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자
 - 대한체육회에서 인정하는 국가대표, 국가대표상비군 경력이 있는 자
 - 2020년 3월 1일 이후 개최된 대한체육회 종목별 산하 경기 단체에서 주최하는

   국내전국대회와 국제대회에서 입상 실적이 개인전 8위 이내에 든 자

    (테니스, 배드민턴(여자), 볼링 종목은 전국대회 규모 단체전 4위 이내에 든 자 포함)
 * 사격종목은 속사권총 25M종목(남자)에 한함

 * 2023학년도 수시 원서 접수 시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ㅇ 정시모집의 전형별 지원 자격

 전형

 지원 자격

 일반/실기형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특성화고교

 졸업자

 특성화고 졸업자 (일반고·종합고의 특성화고 교육과정 학과 포함)

 : 모집단위 기준학과 이수자 또는 동일계열 전문교과 30단위 이상 이수자

 * 제외 : 체험 위주 교육을 전문으로 실시하는 고교, 마이스터고,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농어촌

 농어촌 지역 고교 졸업자 : 중~고교 6년(본인 + 부모 거주) / 초~고교 12년(본인 거주)

 * 제외 : 과학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비인가 대안학교

 기초·차상위

 고교 졸업자/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동등 학력자 : 기초수급(권)자/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지원

 ①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수급(권)자

 ②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복지급여를 받고 있는 학생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대상 학생

 ③ 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 및 제5조 2에 따른 지원대상자

 특성화고졸

 재직자

 (종합)

 산업체 근무 경력 3년 이상 재직자 

 - 특성화고 졸업자(체험 위주 교육을 전문으로 실시하는 고교 제외, 일반고의 특성화고 교육과정 운영 학과 포함)

 - 산업수요 맞춤형 고교 졸업자

 - 일반고 재학 중 직업교육훈련 위탁기관으로 선정된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에서

   1년 이상의 직업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고 해당 일반고를 졸업한 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 특성화고와 같은 교육과정 이수자

 * 원서 접수 시작일 기준 재직자이며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인 자

 * 재직 기간 산정 : 학기 개시일 기준 총재직기간(4개 보험 중 하나 이상에 가입된 기간) 3년 이상

 * 군 의무복무, 직업군인 등의 군경력도 재직기간으로 인정

 * 산업체의 범위 (4대 보험 지역 가입자는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소속 직원의 경우)

 - 근로기준법 제11조에 의거 상시근로자 5인(사업주 포함) 이상 사업체

 - 4대 보험 한 개 이상 가입 사업체(창업 및 자영업자 포함)

4) 수시모집의 전형 방법

ㅇ 전형 방법

- 공통 제출 서류 : 학생부

 전형

 전형 방법

 수능 최저학력기준

 제출 서류

 지역균형

 교과 90 + 출결 10

 적용

 다빈치형인재

 1단계(3.5배수) : 서류 100

 2단계 : 1단계 70 + 면접 30

 없음

 학생부/자기소개서

 탐구형인재/사회통합/농어촌/

 기초·차상위/장애인대상자/

 특성화고졸재직자

 서류 100

 없음

 학생부/자기소개서

 논술

 논술 70 + 교과 20 + 출결 10

 적용

 <실기-실기형>

 연극-연기/연극-뮤지컬연기

 1단계(8배수) : 실기 100 (비대면 영상 업로드 방식)

 2단계 :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영화

 1단계(10배수) : 교과 85 + 출결 15

 2단계 : 실기 100

 없음

 공간연출

 1단계(5배수) :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2단계 : 1단계 70 + 실기 30

 없음

 문예창작

 1단계(7배수) : 교과 85 + 출결 15

 2단계 :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적용

 사진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적용

 무용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미술학부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디자인학부

 1단계(20배수) : 교과 85 + 출결 15

 2단계 :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음악학부/전통예술학부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글로벌예술학부(TV방송연예)

 1단계(7배수) : 실기 100 (비대면 실기)

 2단계 :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글로벌예술학부

(실용음악/게임콘텐츠·애니메이션)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스포츠과학부(골프)

 실기 80 + 교과 17 + 출결 3

 없음

 <실기-특기형>

 연기/문학

 수상실적 80 + 적성실기 20

 없음

 체육-단체(축구/야구/농구)

 1단계(20배수) : 수상실적 90 + 교과 10 + 출결 가산점

 2단계 : 1단계 80 + 적성실기 20

 없음

 체육-개인(사격 외 전체)

 수상실적 70 + 적성실기 20 + 교과 10 + 출결 가산점

 없음

 체육-개인(사격)

 수상실적 90 + 교과 10 + 출결 가산점

 없음


ㅇ 서류/면접/논술 평가 내용

* 서류 평가 및 논술 관련 내용 : 학생부전형 가이드북/논술 가이드북 참조 (입학처 -> 입학가이드 -> 학생부가이드북 / 논술가이드북)

 전형

 서류/면접/논술고사 등 평가 내용

 다빈치형인재

 - 서류 : 제출 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성장 가능성 종합 평가

 - 면접 : 학업 준비도, 인성 및 의사소통 능력, 서류의 신뢰도 등을 종합 평가하는 심층 면접

 탐구형인재

 - 서류 : 제출 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탐구 능력, 전공 분야의 학업 잠재력, 학교생활 충실성 등 종합 평가

 사회통합/장애인대상자/

 농어촌/기초·차상위

 - 서류 : 제출 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성장 가능성 종합 평가

 특성화고졸재직자

 - 서류 : 제출 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능력, 사회 경력, 자기계발 노력 등 종합 평가

 논술

 *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출제

 * 대학에서의 수학에 필요한 사고력과 쓰기능력 측정에 중점을 둔 출제

 * 논술고사 시간 : 120분

 - 인문사회 : 언어 논술 (인문대/사회과학대/사범대/간호학(인문))

 - 경영경제 : 언어 논술 + 수리 논술 (경영경제대)

 - 자연 : 수리 논술 + 과학 논술 (과학 : 물리/화학/생명과학 중 1개 선택)

           (산업보안학과(자연)/자연과학대/공과대/창의ICT공과대/소프트웨어대/

            약학부/의학부/간호학과(자연)/생명공학대/예술공학대)

 실기-특기형

 * 적성 실기 : 모집단위에 따라 실기 또는 면접 실시, 또는 실기와 면접 병행 실시


ㅇ 수능 최저학력기준

- 탐구 : 2개 과목 응시

* 자연계열 : 과탐 선택 시 동일 과목Ⅰ+ Ⅱ 불가

* 수학 : 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 중 1개 선택

* 수학(미·기) : 미적분/기하 중 1개 선택

 전형

 계열 / 학과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지역균형

(서울캠퍼스만

 적용)

 인문

 국어/수학/영어/사탐·과탐(1개 반영) : 3개 합 7, 한국사 4등급

 약학부

 국어/수학(미·기)/영어/과탐(1개 반영) : 4개 합 5, 한국사 4등급

 자연

 국어/수학(미·기)/영어/과탐(1개 반영) : 3개 합 7, 한국사 4등급

 논술

 인문

 국어/수학/영어/사탐·과탐(1개 반영) : 3개 합 6, 한국사 4등급

 약학부/의학부

 국어/수학(미·기)/영어/과탐(2개 평균) : 4개 합 5, 한국사 4등급

 자연(서울캠퍼스)

 국어/수학(미·기)/영어/과탐(1개 반영) : 3개 합 6, 한국사 4등급

 자연(안성캠퍼스)

 국어/수학(미·기)/영어/과탐(1개 반영) : 2개 합 5, 한국사 4등급

 실기-실기형

 문예창작/사진

 국어/수학/영어/사탐·과탐(1개 반영) : 2개 합 6, 한국사 응시

5) 수시모집의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

ㅇ 반영 방법

- 공통과목/일반선택과목 중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없거나 한 과목도 이수하지 않은 경우 : 해당 교과를 제외하고 성적 산출

- 진로선택과목 : 성취도를 환산점수로 변환하여 반영

- 2007년 2월 이전 졸업자 : 석차백분율을 활용하여 석차등급 계산

* 논술/실기형/특기형 전형 : 진로선택과목 미반영

 전형

 모집단위

 반영 교과

 반영 학기

교과 성적 반영 비율

 지역균형

 인문계/자연계

 * 공통과목/일반선택과목(90%) + 진로선택과목(10%)

 - 국/수/영/사/과 교과의 전 과목

재학생 : 3-1학기

졸업생 : 3-2학기

 교과 90

 논술

 - 국/수/영/사/과 교과의 상위 5개 과목

 교과 20

 실기

-실기형

 연극(연기/뮤지컬연기)

 국/영/사 교과의 전 과목

 2단계 : 교과 17

 영화

 국/수/영/사 교과의 전 과목

 1단계 : 교과 85

 공간연출

 국/영/사 교과의 전 과목

 1단계 : 교과 17

 문예창작

 국/수/영/사 교과의 전 과목

 1단계 : 교과 85

 사진

 교과 17

 무용/미술학부/

음악학부/전통예술학부

 국/영/사 교과의 전 과목

 교과 17

 디자인학부

 1단계 : 교과 85

 글로벌예술학부

 (TV방송연예)

 2단계 : 교과 17

 글로벌예술학부

(실용음악/

 게임콘텐츠·애니메이션)

 교과 17

 스포츠과학부(골프)

 교과 17

 실기

-특기형

 체육(스포츠과학부)

 교과 10

 (단체는 1단계)

ㅇ 출결 성적 반영 방법

- 지역균형/논술/실기형 전형 : 미인정 결석일수를 환산점수로 환산 후 비교과 반영 비율 적용

- 특기형 전형 : 미인정 결석일수에 따른 환산점을 가산점으로 반영

ㅇ 비교 내신 적용

 전형

 적용 방법

 논술

 2021년 2월 이전 졸업자/검정고시/외국고/학생부 없는 자/석차등급 산출 불가자 -> 논술 성적을 활용하여 적용

 실기형

 - 모집단위 : 연극(연기, 뮤지컬연기)/공간연출/무용/사진/음악학부/전통예술학부/스포츠과학부(골프)

 - 대상자 : 검정고시/외국고/학생부 없는 자/석차등급 산출 불가자

 - 적용 방법 : 실기 성적을 활용하여 적용

6) 정시모집의 전형 방법

- 수능 응시 영역 : 국어/수학/영어/탐구/한국사

- 탐구 : 2개 과목 응시/반영

- 수능 성적 반영 점수 : 국어/수학은 표준점수, 탐구는 변환 표준점수

- 영어/한국사 : 등급별 가산점 부여

* 자연계열 : 과탐 선택 시 동일 과목Ⅰ+ Ⅱ 불가

* 수학 : 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 중 1개 선택

* 수학(미·기) : 미적분/기하 중 1개 선택

 전형

 계열 / 학과

 전형 방법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

 일반/

 농어촌/

 기초·차상위

 인문계(아래 제외)/영화

 수능 100

 국어/수학/사탐·과탐 = 40/40/20

 공공인재학부

 수능 100

 국어/수학/사탐·과탐 = 35/40/25

 경영경제대학

 수능 100

 국어/수학/사탐·과탐 = 35/45/20

 자연계

 수능 100

 국어/수학(미·기)/과탐 = 25/40/35

 사진/디자인학부

 수능 100

 국어/수학/사탐·과탐 = 40/20/40

 체육교육과

 수능 80 + 서류 20

 국어/수학/사탐·과탐 = 40/40/20

 실기형

 미술학부

 수능 40 + 실기 60

 국어/사탐·과탐 = 50/50

 공간연출

 수능 55 + 실기 45

 국어/사탐·과탐 = 50/50

 디자인학부/스포츠과학부

 수능 60 + 실기 40

 국어/사탐·과탐 = 50/50

 음악학부/전통예술학부

 수능 30 + 실기 70

 국어 = 100

 연극(연출/기획)

 수능 30 + 실기 70

 국어/수학/사탐·과탐 = 40/20/40

 문예창작

 수능 70 + 실기 30

 국어/수학/사탐·과탐 = 40/20/40

 특성화고교

 졸업자

 인문계

 수능 100

 국어/수학/사탐·과탐·직탐 = 40/40/20

 자연계

 국어/수학(미·기)/과탐·직탐 = 40/40/20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지식경영학부)

 서류 100

* 체육교육과 서류 평가

  : 학생부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 체육 과목의 성취도, 체육 활동의 다양성 및 우수성 등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 평가  

*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의 서류 평가 : 학생부/자기소개서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능력, 사회 경력, 자기계발 노력 등을 종합 평가

- 영어/한국사의 등급별 가산점

 과목

 계열

 1등급

 2

 3

 4

 5

 6

 7

 8

 9등급

 영어

 전체

 100

 98

 95

 92

 86

 75

 64

 58

 50

 한국사

 인문/자연

 10

 10

 10

 10

 9.6

 9.2

 8.8

 8.4

 8

 예체능

 10

 10

 10

 10

 10

 9.6

 9.2

 8.8

 8.4

<코멘트>

- 정시모집 인원이 대폭 늘었으며, 학과별로 선발합니다. 지망하는 학과의 모집 시기별 인원을 살펴보고 그에 맞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 지역균형/논술/실기형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어, 인문계를 중심으로 부담을 약간 덜었습니다.

- 논술 전형은 교과 성적에서 5개 과목을 반영하므로 점수 차이는 매우 미세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사실상 논술 100 전형이므로 논술 준비와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에 집중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것입니다.

- 지역균형 전형은 재수생까지 지원 가능하고, 교과 성적에서 국/수/영/사/과 과목을 반영하므로 교과 점수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22학년도에는 계열별로 4개 교과를 반영했기에 입시 결과가 나오면, 이를 해석하여 올해 입시에 적용할 때 약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수시모집에서 미술학부/글로벌예술학부를 지망하는 수험생은 변경된 전형 방법에 맞추어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 2022학년도 입학 전형 계획 : //blog.naver.com/3san3/222303380855

- 2022학년도 수시모집 안내 : //blog.naver.com/3san3/222462314957

- 2022학년도 정시모집 안내 : //blog.naver.com/3san3/222559807070

- 수시/정시모집의 경쟁률 : 입학처 -> 수시/정시 -> 경쟁률

- 수시/정시모집의 입학 결과 : 입학처 -> 수시/정시 -> 입시결과

- 입학 전형 결과와 추가 합격 인원 :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 대입정보센터 -> 대학별 입시정보 -> 전형 평가기준 및 결과 공개

- 학생부 가이드북/학종 101가지 이야기/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와 항목 책자/논술 가이드북 등 관련 자료

   : 입학처 -> 입학가이드 -> 학생부가이드북 / 논술가이드북

- 논술 기출 문제 : 입학처 -> 수시 -> 기출문제 (또는 수시 -> 공지사항에 있는 '선행학습 영향평가 보고서' 참조)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