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접근 - jiljeog-yeongubangbeoblon daseosgajijeobgeun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JW, 조홍식 등 공역, 학지사 2013.

정리 by OMS

2017.4.13.

1장 서론

질적 연구의 설계는 질적 연구에서 채택하는 특정 접근방법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에 불을 붙였음.

1. 출간 목적

질적 연구의 다섯 가지 접근인 내러티브,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를 검토하고, 각 접근법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해 보는 것임.

2. 3판의 새로운 내용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가 여섯 번째 접근이 될 수 있었지만, 2장의 해석적 틀 부분에 약간의 설명만을 제시하였음(Kemmis & Wilkinson, 1998). 또한 담론 분석(discourse analysis)과 대화 분석(conversational analysis)이 추가적인 접근법으로 포함될 수 있을 것임(Cheek, 2004).

다른 저자들은 접근법을 탐구 전략(strategies of inquiry)” (Denzin & Lincoln, 2005), “다양성(varieties)” (Tesch, 1990) 또는 방법(methods)” (Morse & Richards, 2002)으로 부르기도 함.

3. 필자의 입장

4. 다섯 가지 접근의 선택

내러티브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에서 기원하고, 현상학은 심리학과 철학, 근거이론은 사회학, 문화기술지는 인류학과 사회학 그리고 사례연구는 인문, 사회과학과 평가연구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기원함.

5. 독자

6. 구성

2장 철학적 가정과 해석적 틀

인식하건 그렇지 않건 간에 우리는 항상 우리의 연구에 특정 신념이나 철학적 가정을 바탕으로 함. 이 가정들과 신념들을 아는 것이 첫 번째 어려운 점이고, 이것들을 우리의 질적 연구에 적극적으로 반영시킬지 결정하는 것이 두 번째 어려운 점임.

1. 철학적 가정들

1) 가정을 이해하기 위한 틀

DenzinLincoln(2011, p. 12)이 정리한 <2-1>은 연구 과정에서 우리의 관점에 철학과 이론을 어떻게 위치시켜야 하는지 제시함.

1단계: 다문화적 주체로서의 연구자

역사와 연구 전통

자아와 타인에 대한 개념

연구의 윤리와 정치

2단계: 이론적 패러다임과 관점

실증주의(positivism), 후기실증주의(postpositivism)

해석주의(interpretivism), 구성주의(constructivism), 해석학(hermeneutics)

페미니즘(feminism)

인종화된 담론(racialized disclosures)

비판이론과 마르크스주의적 모델(critical theory, Marxist models)

문화연구모델(cultural studies models)

동성애 이론(queer theory)

후기식민주의(postcoloniamlism)

3단계: 연구 전략들

설계

사례연구

문화기술지, 참여관찰, 행위 문화기술지(performance ethnography)

현상학, 민속방법론

근거이론

생애사, 증언(testimonio)

역사적 방법

실행 및 응용연구

임상연구

4단계: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면접

관찰

인공물, 문서, 기록

시청각 자료

자서전적 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자료처리 방법

컴퓨터기반 분석

원문분석(textual analysis)

초점집단(focus group)

응용 문화기술지

5단계: 해석과 평가의 예술, 실천, 정치

타당성 판단기준

해석의 실천 및 정치

해석으로써의 글쓰기(writing as interpretation)

정책분석

평가전통(evaluation traditions)

응용연구

2) 왜 철학은 중요한가

Huff(2009)는 연구에서 철학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줌.

철학은 연구 문제와 연구 질문을 어떻게 설정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정보를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형성함.

검토자는 연구를 평가할 때 철학적 가정을 전제함. 저자와 검토자(또는 학술지 편집자) 간에 전제하는 가정이 다를 경우, 저자의 연구는 공정한 평가를 받지 못할 수 있고, 검토자의 조언은 그 연구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임. 검토자가 사용한 가정의 차이를 이해하면, 저자로서의 연구자는 비평의 중심이 되기 전에 차이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임.

3) 네 가지 철학적 가정들

인식론적 가정에 기반을 두어 질적 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은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와 최대한으로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의미함.

가정

질문

특성

실천에 대한 함의()

존재론적

실재의 본질은 무엇인가?

실재는 많은 관점을 통해 보이는 것이므로 복합적임

연구자는 결과물(findings)을 통해 주제가 발전함에 따라 다른 관점들을 보고함

인식론적

무엇이 지식으로 간주되는가?

지식 주장은 어떻게 정당화 되는가?

연구자와 연구는 어떤 관계인가?

연구참여자의 주관적 증거

연구자는 연구와의 거리를 좁히려는 시도를 함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의 말에 대한 인용을 증거로 사용하고, 협력하며, 참여자와 현장에서 시간을 보내고, ‘내부인(insider)’이 됨

가치론적

가치의 역할을 무엇인가?

연구자는 연구가 가치개입적이며 편향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함

연구자는 내러티브를 형성하는 가치에 대해 개방적으로 논의하고 참여자의 해석과 함께 자신의 해석을 포함함

방법론적

연구 과정은 무엇인가?

연구의 언어는 무엇인가?

연구자는 귀납적인 논리를 사용하며, 맥락 내에서 주제를 연구하고, 생성되는(emerging) 설계를 사용함

연구자는 일반화 이전에 특정한(세부적인) 것들을 가지고 작업하며, 연구의 맥락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현장 경험에 의해 끊임없이 질문을 수정해 나감

4) 질적 연구에서 철학적 가정들 반영하기

2. 해석적 틀

1) 후기실증주의

후기실증주의에 기반을 둔 신념 체계를 사용하는 질적 연구자는 연구에 대해 과학적 접근을 취할 것임. 후기실증주의자는 엄격한 인과관계를 믿기보다는 모든 원인과 결과는 일어날 수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확률이라고 믿음. 후기실증주의는 환원적, 논리적, 실증적, 원인-결과 지향적, 연역적 이론에 기반을 둔 결정론적 요소들을 가짐. 우리는 이러한 접근법들을 기존의 양적 연구 훈련을 받은 개인들의 작품과 질적 연구가 종종 양적 연구의 지지적인 역할을 하고, 양적 연구자와 자금지원 주체들이 수용할 수 있는 용어로 질적 연구를 표현해야 하는 보건학과 같은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음.

후기실증주의 연구자들은 연구를 논리적으로 연관된 일련의 단계들로 간주하고 연구참여자들의 단일한 실재보다 다양한 관점들을 믿으며, 질적 자료수집과 분석에서 엄격한 방법을 지지함. 그들은 엄격성을 위해 다양한 수준의 자료분석을 실시하고, 분석을 보조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타당도 접근방식의 사용을 권장하고, 질적 연구를 양적 접근과 유사한 구조의 과학적 보고 형태로 서술함. 후기실증주의적 해석적 틀은 StraussCorbin (1990, 1998)에 의해 만들어진 근거이론의 체계적 절차, 현상학에서의 분석적 단계(Moustakas, 1994), Yin (2009)의 사례비교에서의 자료분석 전략들을 전형적으로 보여줌.

2) 사회구성주의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종종 해석주의(interpretivism)로 묘사됨)에서 사람들은 그들이 살고 활동하는 세계를 이해하고자 함. 그들은 특정 사물이나 대상을 향한 의미, 경험의 주관적 의미를 발전시킴. 연구의 목적은 상황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시각을 가능한 한 많이 신뢰하는 것임. 주관적인 의미들은 개인에게 단순히 각인된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개인의 삶에서 작용하는 역사적, 문화적 규범에 의해서 형성됨. 후기실증주의처럼 이론에서 시작하는 대신에, 연구자들은 이론이나 의미의 패턴을 생성하고 귀납적으로 발전시킴.

연구자는 참여자가 어떤 상황의 의미, 일반적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 혹은 논의를 통해 만들어진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폭넓고 일반적인 질문을 함. 구성주의 연구자들은 종종 개인들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다룸. 그들은 또한 참여자들의 역사적, 문화적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살고 활동하는 특정한 맥락에 집중함. 연구자의 의도는 타인이 세상에 대해 갖는 의미를 이해(혹은 해석)하는 것임. 이런 이유에서 질적 연구는 종종 해석적연구로 불림.

구성주의 세계관은 개인이 자신의 경험을 기술하는 현상학적 연구에서 분명히 드러남(Moustakas, 1994).

3) 변혁적 틀

연구자들은 대안적인 세계관으로 변혁적 틀(transformative frameworks)을 사용할 수 있음. 변혁적 틀의 기본적인 입장은 지식이 중립적이지 않으며 사회 속에서의 사회적 관계와 권력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사회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지식구축의 목적이라는 것임(Mertens, 2003). 이러한 사람들은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렌스젠더, 동성애자 그리고 더욱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심리작용과 레질리언스가 필요한 사회 등 주변화된 집단을 포함함(Mertens, 2009).

주변화된 집단이 직면하는 이슈들로는 압박, 지배, 억압, 소외, 헤게모니 등이 있으며,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들임. 이러한 이슈들이 연구되고 드러남에 따라, 연구자들은 참여자의 의식을 고양하고 그들의 삶을 향상시키면서 참여자들을 위한 목소리를 제공함. KemmisWilkinson (1998)은 이러한 질적 연구를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라고 묘사하였음.

4) 포스트모던 관점

5) 실용주의

Cherryholmes (1992)Murphy (1990)는 실용주의의 기본개념을 제시하고 있음: 실용주의는 하나의 특정 철학적 체계와 실재에 제한되지 않음. 연구자들은 자료수집과 분석에서 하나의 방법론에 의존하기보다는 다양한 접근법(예를 들어, 다원적 질적 접근법)을 고려함.

이 세계관을 사용하는 개인들은 연구 질문에 가장 잘 답하기 위해 다원적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할 것이고 다원적 자료수집원을 활용할 것이고, 연구의 실천적 함의에 초점을 맞출 것이며, 연구 문제를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연구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임. 문화기술지 연구자들이 양적인 자료수집과 질적인 자료수집을 동시에 채택하고(LeCompte & Schensul, 1999), 사례연구자들이 양적, 질적 자료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Luck, Jackson, & Usher, 2006; Yin, 2009)에서 이 틀의 작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임.

6) 페미니스트 이론

7) 비판이론과 비판적 인종 이론

비판이론(critical theory) 관점은 인간에게 주어진 인종, 계급, 젠더와 같은 제약들을 초월하도록 인간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관심을 둠(Fay, 1987). 비판 연구자들이 탐구하는 중심 주제에는 사회제도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및 사회적 삶(social life)의 의미 해석을 통한 사회제도의 변형, 지배, 소외, 사회적 투쟁과 같은 역사적 문제 그리고 사회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구상 등이 포함됨(Fay, 1987; Morrow & Brown, 1994).

비판적 인종 이론(critical race theory: CRT)은 인종에 대한 이론적인 관심과 인종주의가 미국 사회에 얼마나 깊이 고착되어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음(Parker & Lynn, 2002).

8) 동성애 이론

9) 장애이론

3. 질적 연구에서 사회정의 해석적 틀 사용하기

4. 철학과 해석적 틀 연결하기

3장 질적 연구설계

1. 질적 연구의 특징

질적 연구는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 혹은 인간 문제에 부여하는 의미를 다루는 연구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들 그리고 해석적/이론적 틀을 활용하면서 시작됨. 이러한 문제를 연구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자들은 생성되는(emerging) 질적 연구접근, 연구 중인 사람과 장소를 배려하는 자연적인 세팅에서의 자료 수집 그리고 귀납적, 연역적이면서 패턴 혹은 주제를 구축하는 자료분석을 사용함. 최종 보고서나 발표 자료에는 참여자들의 목소리, 연구자의 반영성, 연구 문제에 대한 복합적인 기술과 해석 그리고 이론적 기여 혹은 변화를 위한 요구사항들을 담음.

자연스러운 상황: 질적 연구자들은 종종 참여자들이 연구 중인 이슈나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는 현장에서 자료를 수집함.

주요 도구로서 연구자: 질적 연구자들은 문서들을 검토하고, 행동을 관찰하고 참여자들과 면접을 함으로써 스스로 자료를 수집함.

다양한 방법들: 질적 연구자들은 대체로 단일한 자료 원천에 의존하기보다는 면접, 관찰, 문서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을 수집함.

귀남적, 연역적 논리를 통한 복합적 추론: 질적 연구자들은 자료를 점차 추상적인 정보 단위로 귀납적으로 조직화함으로써,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올라가는 방식으로 패턴과 범주, 주제들을 형성함.

참여자의 의미: 질적 연구 과정 전체에서, 연구자들은 자신이 연구에 가져오거나 선행문헌의 저자들이 사용한 의미가 아니라, 참여자들이 문제나 이슈에 대해 갖고 있는 의미를 학습하는 데 초점을 둠.

유연한 설계: 질적 연구자들의 연구 과정은 유연함.

반영성: 질적 연구자는 질적 연구에 자신을 위치시킴.’

총체적 이해: 질적 연구자들은 연구 중인 문제나 이슈에 대한 복합적인 묘사를 발전시키려 애씀. 여기에는 다양한 관점들을 보고하는 것, 상황에 관계된 많은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 그리고 드러나는 더 큰 그림을 전반적으로 그려 주는 것 등이 포함됨.

2. 질적 연구를 사용할 때

우리는 문제나 이슈를 탐색할 필요가 있을 때 질적 연구를 하게 됨. 이러한 탐색은 특정 집단이나 인구집단을 연구하려 하거나 쉽게 측정될 수 없는 변수들을 확인하거나 침묵 속에 있는 목소리들을 들으려 할 때 필요함. 우리는 이슈에 대한 복합적이고 상세한 이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질적 연구를 수행함.

우리는 사람들을 역량강화시켜 자신의 이야기들을 공유하기를 원할 때, 그들의 목소리를 듣기를 원할 때 그리고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사이에 종종 존재하는 권력관계를 최소화하기를 원할 때, 질적 연구를 수행함. 공식적인 학술적 글쓰기 구조의 제한을 받지 않고 이야기와 연극, 시를 전달하는 문학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글을 쓰고 싶을 때도 질적 연구를 하게 됨.

우리는 특정 인구집단이나 표본집단을 위한 부분적이거나 불충분한 이론이 존재할 때, 또는 기존 이론들이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문제의 복합성을 충분히 포착하지 못할 때,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 질적 연구를 사용함. 우리는 단순히 양적 측정과 통계적 분석이 연구 문제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도 질적 연구를 사용함.

3. 질적 연구에서 우리가 할 일

질적 연구는 가장 엄격한 양적 연구와 좋은 동반관계를 유지하며, ‘통계적인또는 양적 연구에 대한 손쉬운 대체물로 여겨져서는 안 됨.

4. 질적 연구설계 과정

1) 선결 문제들

2) 연구 과정의 단계들

질적 연구의 질을 사정하기 위한 기준들이 있음(Howe & Eisenhardt, 1990; Lincoln, 1995; Marshall & Rossman, 2010).

연구자는 엄격한 자료수집 절차를 따름. 나는 특히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 사진 사용하기, 소리, 시각매체 혹은 디지털 텍스트 메시지 사용하기 등과 같은 독특한 질적 자료 형태를 선호함.

연구자는 이 책에 언급된 다섯 가지 접근(혹은 다른 접근들) 중 하나와 같이 질적 연구에서 특정 접근을 사용함. 알려진 연구접근을 사용하게 되면 연구설계의 엄격성과 정교함을 강화할 수 있음. 확실한 것은, 연구에서 채택한 그 접근에 본래 그 접근이 가진 모든 요소들을 철저하게 다 담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는 단일한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 질적 연구를 시작하기를 좋아함.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비교나 관련 요인들을 통합하기 시작할 수 있음. 모든 질적 연구자들이 너무 자주 자신의 핵심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우선 이해하지 않고 비교나 관계 분석으로 나아가곤 함.

연구는 구체적인 방법들,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보고서 작성에 대한 엄격한 접근을 포함함. 엄격함이란 연구자가 연구참여자 검토, 자료원의 다원화, 동료나 외부 감사자 활용과 같은 검증을 위한 절차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이야기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을 의미함.

진실성(verisimilitude)이라는 개념은 문학적인 용어로, 내가 가진 생각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음(Richardson, 1994, p. 521). 최고의 질적 연구는 독자로 하여금 그 속에 빠져들게 함.

좋은 질적 연구는 윤리적임.

3) 연구의 모든 단계들에 포함된 요소들

천천히 철수하고, 떠나리라는 사실을 미리 알림으로써 연구참여자들이 버려졌다는 느낌을 받지 않도록 연구 현장에서 떠나는 방법도 중요함.

4) 연구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의 윤리적 이슈들

5. 연구계획서나 프로포절의 일반적인 구조

6. 요약

질적 연구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나는 그것을 가정, 해석적/이론적 렌즈, 사회 또는 인간 문제에 기인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 문제를 갖고 시작하는 연구접근으로 간주함. 질적 연구는 문제를 탐색할 필요가 있을 때, 복합적이고 상세한 이해가 필요할 때, 연구자가 문학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글을 쓰기를 원할 때,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의 맥락이나 현장을 이해하려 할 때, 적합함.

4장 다섯 가지 질적 연구접근

1. 내러티브 연구

1) 정의와 배경

내러티브는 질병의 내러티브와 같이 연구되는 현상일 수도 있고 혹은 이야기된 이야기(told stories)를 분석하는 절차로서 연구에서 사용되는 방법일 수도 있음(Chase, 2005; Clandinin & Connolly, 2000; Pinnegar & Daynes, 2007). Czarniawska (2004)내러티브는 연대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사건/행동 또는 일련의 사건/행동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제공하는 음성 혹은 문자 텍스트로 이해된다.“라는 식으로 내러티브를 질적 연구의 구체적인 유형으로 정의하고 있음.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는 한두 사람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두고, 그들의 이야기를 수집함으로써 자료를 모으며, 개별적인 경험들을 보고하고, 이러한 경험들의 의미를 연대기적으로 나열하는 것(혹은 생애주기 단계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됨.

2) 내러티브 연구의 특징

내러티브 연구자들은 개인(그리고 문서, 집단 대화)으로부터 개인이 살아온 경험, 이야기된 경험에 관한 이야기를 수집함.

내러티브 이야기들은 참여자들이 연대순으로 말하지 않았더라도 종종 연대순으로 정리됨. 그들은 과거, 현재, 혹은 미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음(Clandinin & Connelly, 2000).

내러티브 이야기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됨. 이야기된 것에 관해 분석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주제 분석), 스토리텔링 특성에 대해 분석할 수도 있고(구조 분석), 혹은 이야기의 대상에 관해서 분석할 수도 있음(대화/행위 분석)(Riessman, 2008).

내러티브 이야기들에는 종종 전환점(Denzin, 1989a)이 있거나 연구자들이 강조하는 특정 긴장 혹은 중단이 있음.

3) 내러티브의 유형

4) 내러티브 연구 절차

연구 문제나 질문이 내러티브 연구에 가장 적합한지 결정함. 내러티브 연구는 단일한 개인 혹은 소수 개인들의 상세한 이야기 혹은 인생 경험들을 포착하는 데 가장 적합함.

내러티브 연구자는 개인의 이야기를 참여자들의 개인적 경험(그들의 일, 그들의 가정)과 그들의 문화(인종 또는 민족) 그리고 그들의 역사적 맥락(시간과 장소)에 놓게 됨.

연구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도록 함으로써 연구참여자들과 협력함(Clandinin & Connelly, 2000).

5) 도전

2. 현상학적 연구

1) 정의와 배경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는 하나의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의 체험(lived experience)의 공통적 의미를 기술함.

전제(presupposition)가 없는 철학: 이러한 중단이 Husserl이 말한 판단중지(epoche)’.

의식의 지향성(intentionality of consciousness)

주체-객체 이분법의 거부: 한 객체의 실재는 한 개인의 경험의 의미 내에서만 인식됨.

2) 현상학의 특징

Giorgi (2009)는 괄호치기는 경험했던 것을 잊는 문제가 아니라, 경험을 밝히는 과정에서 과거 지식이 관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보았음.

현상학은 개인들이 무엇을 경험했는지와 어떻게경험했는지를 통합하여 개인들의 경험의 본질을 논의하는 기술적인 구절로 끝이 남. ‘본질은 현상학적 연구의 궁극적 측면임.

3) 현상학의 유형

현상학에 대한 두 가지 접근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해석학적 현상학(van Manen, 1990)과 경험적, 초월론적 또는 심리학적 현상학(Moustakas, 1994)이 그것임. van Manen (1990)은 건강 관련 문헌에서 폭넓게 인용됨(Morse & Field, 1995).

Moustakas (1994)의 초월론적 또는 심리학적 현상학은 연구자의 해석에 대해서는 덜 초점을 두는 반면에, 연구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기술에 더 초점을 두고 있음. MoustakasHusserl의 개념인 판단중지(epoche 또는 괄호치기)에 초점을 두는데, 여기에서 연구자는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신선한 관점을 갖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이 자신의 경험을 가둠. ‘초월론적이라는 말은 모든 것이 마치 처음인 것처럼 신선하게 인지되는것을 의미함(Moustakas, 1994, p. 34).

4) 현상학적 연구 절차

현상학에 가장 적합한 문제의 유형은, 한 가지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의 공통된 또는 공유된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경우임.

5) 도전

3. 근거이론 연구

1) 정의와 배경

근거이론 연구(grounded theory research)의 목적은 기술 수준을 넘어서는 것이며 과정 혹은 행동을 위한 통일된 이론적 설명’, 즉 이론의 생성 또는 발견임(Corbin & Strauss, 2007, p. 107). 근거이론은 연구자가 많은 수의 참여자들의 관점에 의해 형성된 과정, 행동, 상호작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론)을 창출하는 질적 연구설계임.

이 질적 연구설계는 1967년 두 명의 연구자, Barney GlaserAnselm Strauss가 개발하였으며, 사회학의 선험적인 이론적 지향과는 대조적으로, 근거이론 연구자들은 이론이란 현장(field), 특히 사람들의 행동, 상호작용, 사회적 과정 등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근거해야한다고 주장하였음. 근거이론은 개인들로부터 수집한 자료에 근거한 상호 관련된 정보 범주들을 통해 행동,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그림과 가설로 완성하는) 이론을 창출함.

Glaser는 근거이론에 대한 Strauss의 접근이 지나치게 처방적이고 구조화되어 있다고 비판해 왔음(Glaser, 1992). 더 최근에 Charmaz (2006)는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옹호했으며, 이와 같이 절차에 대한 논의에 또 다른 관점이 도입되었음.

또 다른 최근의 근거이론 접근으로는 Clarke (2005)의 것이 있는데, 그는 Charmaz와 함께 실증주의 토대로부터 근거이론을 교정하려 하고 있음. 나는 근거이론에 대한 구조화된 접근을 제공하는 CorbinStrauss (2007)의 책 그리고 근거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적, 해석적 접근을 제공한 Charmaz (2006)의 책에 의존할 것임.

2) 근거이론의 특징

연구자의 초점은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명백한 단계 혹은 국면을 갖는 과정 혹은 행동에 있음.

결국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 혹은 행동의 이론을 개발하고자 함.

자료가 수집되고 분석됨에 따라 연구자는 아이디어를 써 내려가게 되며, 이러한 메모하기가 이론 개발의 일부가 됨.

자료분석은 구조화될 수 있는데, 개방 범주를 발달시키는 것, 이론의 초점이 되는 하나의 범주를 선택하는 것 그리고 이론적 모델을 만들기 위해 부가적 범주(축코딩)를 상세히 열거하는 것 등의 형식을 따름. 범주들이 교차하면서 이론이 만들어짐(선택코딩). 이러한 이론은 다이어그램, 명제(혹은 가설) 혹은 논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음(Strauss & Corbin, 1998). 또한 자료분석은 덜 구조화될 수 있으며, 범주에 내포된 의미를 꿰뚫음으로써 이론 개발의 기초가 될 수도 있음(Charmaz, 2006).

3) 근거이론 연구의 유형

가장 유명한 두 가지 근거이론 접근을 든다면, StraussCorbin(1990, 1998)의 체계적 절차와 Charmaz (2005, 2006)의 구성주의 접근을 꼽을 수 있음. 면접의 대상이 되는 참여자는 연구자가 이론을 가장 잘 형성하도록 돕기 위해 이론적으로 선택(이른바 이론적 표본추출). 자료수집에 의한 정보들을 가지고 비교하여 범주화시키는 과정을 자료분석의 지속적 비교(constant comparative) 방법이라고 함.

개방코딩으로부터 축코딩이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에서 연구자는 초점을 두는 하나의 개방코딩 범주(‘중심현상이라고 부르는)를 확인하고 나서 자료로 돌아가 이 중심 현상 주위의 범주들을 만들게 됨. StraussCorbin (1990)은 중심 현상을 둘러싼 범주들의 유형을 규정하고 있음. 그것은 인과 조건(중심 현상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 전략(중심 현상에 대한 반응으로 취하는 행동들), 맥락 조건과 중재 조건(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하고 구체적인 상황적 요인들) 그리고 결과(전략들을 활용한 결과)로 구성됨. 마지막 단계는 선택코딩인데, 여기에서 연구자는 그 모형을 갖고서 모형 내의 범주들을 상호 관련된 명제(가설)를 발전시키거나 모형 내의 범주들 간의 상호관계를 기술하는 이야기를 결합함.

StraussCorbin (1998)은 조건 매트릭스를 발전시키기 위해 한 단계 더 나아간 모형을 취하고 있음. 그들은 연구자가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 조건과 미시 조건들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도록 돕기 위한 코딩 장치로 조건 매트릭스를 발전시켰음. 이 매트릭스는 개인, 집단, 조직으로부터 지역사회, 지역, 국가, 세계로 밖을 향하여 점차 확장되는 동심원 체계임.

CharmazStraussCorbin (1998)의 접근에 있는 단일 과정이나 핵심 범주에 대한 연구를 포용하는 대신, 다양한 세계들과 여러 개의 진실, 특정 세계와 관점, 행동의 복잡성을 강조하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옹호함. Charmaz가 풍부한 자료수집, 자료 코딩, 메모, 이론적 표본추출의 활용 등의 실천을 기술하고 있기는 하지만, 연구방법보다는 개인의 관점, 가치, 신념, 감정, 가정, 이데올로기 등을 더 강조하고 있음(Charmaz, 2006).

4) 근거이론 연구 절차

근거이론은 하나의 과정을 설명하거나 이해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이론이 없을 때 적절한 설계 형태임. 이론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그 이론들은 연구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잠재적으로 가치 있는 변수 혹은 범주들을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불충분함.

연구자는 다시 연구참여자에게 돌아가 축코딩 단계를 형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질문들을 하게 됨. 그 과정에 중심적인 것은 무엇인가?(중심 현상) 이 현상이 발생하도록 영향을 미치거나 원인이 된 것은 무엇인가?(인과 조건) 그 과정 동안 채택된 전략들은 무엇인가?(전략) 어떤 효과가 발생하였는가?(결과)

이를 위해서는 20회에서 60회의 면접이 필요할 수 있음.

연구자는 코딩 패러다임 또는 논리적 다이어그램(, 시각적 모형)을 제시하는데, 여기에서 연구자는 중심 현상(, 현상에 대한 중심 범주)을 확인하고, 인과 조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의 범주들)을 탐색하며, 전략(, 중심 현상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이나 상호작용)을 구체화하고, 맥락과 중재 조건(,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협소한 그리고 광범위한 조건들)을 확인하며, 이 현상의 결과(, 전략의 결과들)를 묘사함.

5) 도전

포화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전략은 판별적 표본추출(discriminant sampling)인데, 이것은 추가한 연구참여자들에게도 이론이 참인가를 판단하기 위해, 초기에 면접한 사람들과 다른 개인들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집하는 것임.

4. 문화기술지

1) 정의와 배경

근거이론 연구자는 동일한 과정, 행동, 상호작용을 공유한 많은 사람들을 검토하여 이론을 개발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이 같은 장소에 있을 가능성은 낮으며 행동, 신념 그리고 언어의 공유된 패턴을 개발할 정도로 빈번하게 상호작용할 것 같지는 않음. 문화기술지 연구자는 이러한 공유된 패턴을 파악하는 데 관심을 가지며, 전체 문화공유집단(culture-sharing group)에 초점을 둠. 문화기술지는 연구자가 문화공유집단이 갖고 있는 가치, 행동, 신념, 언어의 공유되고 학습된 패턴을 기술하고 해석하는 질적 연구 설계의 한 형태임(Harris, 1968).

Wolcott (2008a)는 문화기술지의 주제로 보다 시사적인 접근을 취함. 그러나 보는 방법으로서의 문화기술지라는 장은 문화기술의 특성, 집단 연구, 문화에 대한 이해의 전개 등을 아는 데 최고로 좋은 자료임. 나 또한 문화기술지 수업의 입문서Wolcott (2010)를 뽑음.

2) 문화기술지의 특징

문화기술지는 집단, 문화공유 집단의 문화에 대한 복합적이고 완벽한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관심이 있음. Wolcott (2008a)에 따르면, 문화기술지는 문화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 가능한 일단의 사람들의 사회적 행동을 연구하는 것임.

문화기술지에서 연구자는 집단의 정신적 활동의 패턴(또는 의식, 관습적인 사회적 행동 혹은 규칙적인 패턴으로 묘사되는 것)을 찾고자 함.

3) 문화기술지의 유형

실재론적 문화기술지(realist ethnography)는 문화인류학에서 사용해 온 전통적 접근임.

비판적 문화기술지는 문화기술지 연구의 한 유형으로서 저자들은 사회에서 주변화된 집단들의 해방을 위해 옹호함(Thomas, 1993). 비판적 연구자는 대체로 자신의 연구를 통해 불평등과 지배구조에 대항하여 말하려고 하는 정치적인 동기를 가진 사람들임(Carspecken & Apple, 1992). 비판적 문화기술지 연구자는 권력, 역량강화, 불평등, 불공평, 지배구조, 억압, 헤게모니, 희생시키기 등의 이슈를 연구하게 될 것임.

4) 문화기술지 연구 절차

문화기술지 연구자들은 이 집단과 이야기하고 관찰하면서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연구자를 집단으로 이끌어 줄 한 명 이상의 사람들(문지기 또는 주요 정보제공자(또는 참여자)을 발견하기 위한 접근이 필요함.

집단에 대해 연구할 문화적 주제나 이슈 혹은 이론들을 선택함. 주제에는 문화적응, 사회화, 학습, 인지, 지배구조, 불평등 또는 아동과 성인의 발달과 같은 것들이 포함될 수 있음(LeCompte et al., 1992).

권력, 헤게모니와 같은 이슈들을 폭로하고 특정 집단을 옹호하고자 할 때는 비판적 문화기술지를 사용해야 할 것임. 비판적 문화기술지 연구자들은 사회 내의 불평등이나 그 일부분을 언급하고, 옹호와 변화에 대한 요청을 위해 연구를 사용하며, 불평등, 지배구조, 억압, 역량강화와 같은 탐색 이슈를 구체화할 수 있음.

집단이 작동하고 생활하는 맥락 혹은 세팅에서 정보를 수집함. 이것을 현장조사(Wolcott, 2008a)라고 부름.

5) 도전

자료수집을 위한 시간은 긴 편이며, 현장에서 보내는 장기간의 시간을 포함함. 연구자가 현지인처럼되어 연구를 완성할 수 없거나 그 연구에서 타협할 가능성도 있음. 연구에 참여하는 개인들의 욕구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며, 연구자는 연구하는 사람들과 장소에 대한 자신의 영향을 들여다보고 보고해야 함.

5. 사례연구

1) 정의와 배경

Stake (2005)가 사례연구는 방법론이 아니라 연구해야 할 것(, 경계를 가진 체계(bounded system) 내의 사례, 시간과 공간에 의해 경계를 가진 사례)에 대한 선택이라고 말하기는 했지만, 다른 저자들은 그것을 탐구 전략, 방법론, 포괄적인 연구 전략 등으로 표현하고 있음(Denzin & Lincoln, 2005; Merriam, 1998; Yin, 2009). 사례연구는 질적 연구접근의 하나로서, 연구자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하나의 경계를 가진 체계(사례) 또는 경계를 가진 여러 체계들(사례들)을 탐색하며, 다양한 정보원(예를 들어, 관찰, 면접, 시청각 자료, 문서와 보고서 등)들을 포함하여 상세하고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며, 사례 기술(case description)과 사례 주제(case theme)를 보고함.

사례연구접근은 그것이 심리학(프로이트), 의학(질병에 대한 사례분석), 법학(판례), 정치학(사례보고) 등에서 얻고 있는 대중성 때문에 사회과학자들에게 친숙함. Yin (2009)은 사례연구 개발을 위한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모두를 지지하며 설명적, 탐색적 그리고 기술적인 질적 사례연구들에 대해 논의함.

2) 사례연구의 특징

사례연구는 특별한 사례를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됨.

질적 사례연구는 독특한 사례, 기술되거나 상세히 알려질 필요가 있는 사례, 그것 자체로 특별한 관심을 받은 사례를 설명하기 위해 쓰여질 수 있음. 이것을 본질적 사례(Stake, 1995)라고 부름. 대안적으로, 사례연구의 목적이 특별한 이슈, 문제 혹은 관심사(예를 들어, 10대 임신) 그리고 그러한 문제를 가장 잘 이해하기 위해 선택된 사례 혹은 사례들을 알기 위한 것일 수 있음. 이것은 도구적 사례라고 부름(Stake, 1995).

좋은 질적 사례연구의 특징은 사례에 대한 철저하고 상세한 이해를 제시하는 것임.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면접으로부터 관찰, 문서, 시청각 자료 등 여러 형태의 질적 자료를 수집함. 일반적으로 하나의 자료에만 의존하는 것은 철저하고 상세한 이해를 개발하는 데 충분하지 않음.

분석을 이해하는 비결은 좋은 사례연구의 경우 그 사례에 대한 기술을 포함한다는 것임.

사례연구는 종종 사례()로부터 도출된 전반적인 의미에 대해 연구자가 주장한 결론으로 끝이 남. 이것을 Stake (1995)주장(assertion)’이라고 불렀고 Yin (2009)패턴들혹은 설명들구축이라고 불렀음. 나는 이것들을 연구한 사례()로부터 얻은 전반적인 교훈이라고 생각함.

3) 사례연구의 유형

단일 도구적 사례연구에서 연구자는 하나의 이슈나 관심에 초점을 맞추고 나서 이 이슈를 예증하기 위한 하나의 경계를 가진 체계를 선택함. 집합적 사례연구(또는 복합적 사례연구)에서도 하나의 이슈나 관심이 다시 선택되지만, 연구자는 그 이슈를 예증하기 위해 복합적 사례연구들을 선택함. Yin (2009)은 복합적 사례연구가 재현 논리(logic of replication)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연구자가 각 사례에 대해 동일한 절차들을 반복하는 것을 의미함. 사례연구설계의 마지막 유형은 본질적 사례연구인데, 이 설계에서는 초점이 사례 그 자체에 맞춰짐. 이는 내러티브 연구의 초점을 닮았지만, 사례를 상세히 기술하는 사례연구의 분석 절차는 여전히 유효한 맥락 혹은 주변 환경 안에 맞춰져 있음.

4) 사례연구 절차

사례연구는 연구자가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경계를 가진 사례를 갖고 있고, 사례들에 대한 깊은 이해나 여러 사례들에 대한 비교를 하고자 할 때 좋은 접근임.

사례연구의 자료수집은 대체로 광범위하며, 관찰, 면접, 문서, 시청각 자료와 같은 다양한 정보원들을 활용함. Yin (2009)은 문서, 기록물, 면접, 직접 관찰, 참여관찰, 물리적 인공물 등 수집해야 할 여섯 가지 정보 유형들을 추천하고 있음.

연구자는 사례를 넘어 일반화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례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해 소수의 주요 이슈들(또는 주제 분석)에 초점을 맞출 수 있음. 각 사례 내에서 이슈들을 확인하고 나서 사례들을 초월하는 공통적인 주제들을 찾기 위한 분석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음(Yin, 2009). 전형적인 형식은 먼저 각 사례에 대한 상세한 기술과 그 사례 내의 주제들을 제시하고(이른바 사례 내 분석), 사례들에 걸쳐 있는 주제를 분석하며(이른바 사례 간 분석), 사례들의 의미에 대한 주장이나 해석을 하는 것임.

5) 도전

질적 사례연구를 전개하는 데 내재된 도전 중의 하나는 연구자가 자신의 사례를 규정해야 한다는 것임. 대체로 연구자는 4~5개 이상의 사례를 선택하지 않음. 사례를 선택함에 있어 연구자는 사례를 선택하고 사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의도적 표본추출 전략의 근거를 수집해야 함. 나는 사례에 대하여 수집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의 양을 상술하는 자료수집 매트릭스를 개발할 것을 제안함.

6. 다섯 가지 접근의 비교

내러티브 연구와 문화기술지, 사례연구는 분석 단위가 한 사람일 때 유사해 보일 수 있음. 사실 연구자는 이들 세 가지 접근 중 하나로 한 사람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음. 내러티브 연구에서 연구자는 개인이 이야기한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며 이러한 이야기들을 연대기 순서로 나열함. 문화기술지에서는 개인의 이야기를 문화와 문화공유집단의 맥락 내에 놓은 것이 초점이라면, 사례연구에서는 대체로 하나의 이슈를 예증하기 위해 단일 사례가 선택되며 연구자는 그 사례를 위해 상황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구성함.

학문분야의 기원에 중복되는 점들이 있기는 하지만 일부 접근들은 단일한 학문전통을 갖고 있는 반면에(예를 들어, 근거이론은 사회학, 문화기술지는 인류학이나 사회학), 다른 접근들은 광범위한 다학제 간 배경을 가지고 있음(예를 들어, 내러티브와 사례연구).

특성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초점

개인의 인생을 탐색

경험의 본질을 이해

현장에서 나온 자료를 근거로 한 이론을 개발

문화공유집단을 기술하고 해석

단일 사례나 여러 사례에 대한 철저하고 상세한 기술과 분석을 전개

설계에 가장 적합한 문제 유형

개인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고자 할 때

체험한 현상의 본질을 기술하고자 할 때

연구참여자의 관점에서 근거이론을 개발하고자 할 때

집단 문화의 공유된 패턴을 기술하고 해석하고자 할 때

단일 사례나 사례들에 대한 철저하고 상세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할 때

학문 배경

인류학, 문헌정보학, 역사학, 심리학, 사회학을 포함한 인문학

철학,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인류학과 사회학

심리학, 법학, 정치학, 의학

분석단위

한 명 이상의 개인들을 연구

경험을 공유해 온 여러 개인들을 연구

많은 개인들이 포함된 과정, 행동, 상호작용을 연구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을 연구

사건, 프로그램, 활동, 한 명 이상의 개인을 연구

자료수집 형식

주로 면접과 문서 활용

주로 개별면접이지만, 문서와 관찰, 예술작품도 활용될 수 있음

주로 20~60명 정도의 개인들과 면접

주로 관찰과 면접을 활용하지만 현장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면서 다른 자료원들을 수집

면접, 관찰, 문서, 인공물과 같은 다양한 자료원들을 활용

자료분석 전략

이야기, 이야기 재구성, 주제 전개, 종종 연대기 사용

의미 있는 진술, 의미 단위, 조직적 구조적 기술, ‘본질에 대한 기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문화공유집단에 대한 기술, 집단에 대한 주제

사례 간 주제뿐 아니라, 그 사례의 주제와 사례에 대한 기술

보고서 작성

개인의 인생 이야기에 대한 내러티브 전개

경험의 본질을 기술

하나의 그림으로 설명되는 이론을 창출

문화공유집단이 작동하는 방식을 기술

하나 이상의 사례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전개

연구의 일반적인 구조

서론(문제, 질문)

연구 절차(내러티브, 개인의 중요성, 자료수집, 분석결과)

이야기 보고

개인의 인생에 대한 이론화

확인된 내러티브의 부분들

확인된 의미의 패턴들(사건, 과정, 발현, 주제)

요약

Denzin,1989a, 1989b에서 각색

서론(문제, 질문)

연구 절차(현상학과 철학적 가정, 자료수집, 분석, 결과)

의미 있는 진술

진술의 의미

의미 있는 주제

현상에 대한 철저한 기술

Moustakas, 1994에서 각색

서론(문제, 질문)

연구 절차(근거이론, 자료수집, 분석, 결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과 이론적 명제, 모형

이론에 대한 논의와 선행문헌과 대조

Strauss & Corbin, 1990에서 각색

서론(문제, 질문)

연구 절차(문화기술지, 자료수집, 분석, 결과)

문화에 대한 기술

문화적 주제에 대한 분석

해석, 교훈, 제기된 질문

Wolcott, 1994b에서 각색

도입 삽화

서론(문제, 질문, 사례연구, 자료수집, 분석, 결과)

사례/사례들과 그 맥락에 대한 기술

이슈들을 전개

선택된 이슈들에 대한 상세한 논의

주장

종결삽화

Stake, 1995에서 각색

5장 다섯 가지 상이한 질적 연구들

질적 연구 글쓰기 방법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없이 많이 출판된 질적 학술지 논문을 보는 것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구성되었는가를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임.

1. 내러티브 연구

연구자는 이야기가 수집되는 방법 그리고 시간이 흘러가면서 형성되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의 관계에서의 협력적 특성을 명쾌하게 보여 줌.

연구자는 2001년 가을부터 2003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음.

연구자는 내러티브에 보고된 사건들 대부분이 발생하는 Bay Street 학교의 맥락 혹은 장소에 대한 논의하고 있음.

2. 현상학적 연구

연구자들은 사람들이 AIDS와 그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표상하는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치료에 영향을 미치고, 고위험 행동을 감소시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주제를 탐색하였음.

연구자들이 치료, 행동, 삶의 질을 가지고 환자들을 돕기 위해 더욱 철저히 이해하는 게 필요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질병 표상(예를 들어, 이미지)이었음.

연구자들의 설계에는 AIDS 진단을 받은 58명의 남녀가 포함되어 있음. 연구자들은 18개월 이상 58명의 환자들과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면접 질문들은 다음과 같음. “AIDS와 관련하여 무엇을 경험하였습니까? HIV/AIDS에 대해 갖고 있는 정신적인 이미지가 있습니까? 아니면 당신은 HIV/AIDS를 어떻게 기술하시겠습니까? 어떤 마음이 들었습니까? 당신의 인생은 그것은 어떤 의미입니까?” (Anderson & Spencer, 2002, pp. 1341-1342). 연구자들은 환자들에게 그들이 갖고 있는 질병에 대해 그림을 그려 달라고 요청하였음. 58명 중 8명만이 그림을 그렸지만, 저자들은 이 그림들을 자료분석에 통합하였음.

이 분석을 통해 175개의 의미 있는 진술에 기반을 둔 11개의 주요 주제가 나타났음.

이 연구는 저자들이 환자의 경험의 본질(, 철저한 기술)과 환자들이 기분과 질병을 다루기 위해 사용한 대처 전략들(, 경험을 둘러싼 맥락이나 조건들)을 기술하는 논의 부분으로 맺어짐.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11개의 주제들을 다른 저자들이 쓴 문헌들이 보고하는 결과와 비교하고, 간호와 관련된 연구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질문들을 논의하였음.

저자들은 현상학 이면의 철학적 사고를 간략하게 언급하였음. 그들은 이론적 설명보다는 생생한 체험을 탐구하려는 욕구와 개인적 경험에 대한 괄호치기를 언급하였음.

3. 근거이론 연구

4. 문화기술지

저자는 문화기술지의 자료수집 방법들을 사용하였는데, 여기에는 14년간 그 운동에 참여, 250회 이상 음악 쇼 참석, 28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한 면접 그리고 신문기사, 노래가사, 인터넷 홈페이지, sXe 잡지와 같은 자료원에서 나온 기록물 수집 등이 포함됨.

비판적 문화기술지와 마찬가지로, 저자는 집단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대항문화 청년 집단의 억압에 대한 저항 이론을 사용하였음.

5. 사례연구

이 사례연구에서, 우리는 LincolnGuba (1985)의 사례연구 구조-문제, 맥락, 이슈, ‘배운 교훈’-를 따르려 했음.

사례는 시간(6개월간의 자료수집)과 공간(하나의 캠퍼스)에 의한 경계를 가진 체계임.

자료분석에서, 우리는 사건 이후 2주 동안의 세부적인 사건들을 따라다니면서 그 사례를 평화로운 중서부 지역의 한 도시, 평온한 한 캠퍼스, 건문, 교실 안에 놓고 사례의 맥락 또는 상황을 기술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였음.

6. 접근들 간의 차이

6장 연구의 서론과 초점 잡기

연구의 목적이 분명하지 않다면, 연구 질문이 모호하다면, 연구 문제나 이슈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면, 독자들은 연구의 나머지 부분들을 좇아가기 어려울 것임. 당신이 최근에 읽은 질적 연구 학술논문을 하나 떠올려 보았을 때 빨리 읽혀졌다면 그것은 대개 그 연구의 하위요소들이 서로 잘 연결되어 있다는 증거임.

1. 연구 문제의 진술

질적 연구에서 연구 문제의 목적은 특정 이슈나 문제를 연구해야 하는 정당성이나 필요성을 제공하는 것임.

현상학적 연구에서 연구자는 특정 현상과 그 현상을 겪은 개인들의 공통적인 경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 필요가 있다고 주장함. 근거이론 연구에서 저자는 연구 중인 인구집단을 위한 기존 이론들이 불충분하거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또는 현존하는 인구집단을 위해 수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 필요하다고 진술함. 사례연구의 경우 연구자는 한 사례나 사례들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그 이슈나 관심영역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음.

2. 목적 진술

3. 연구 질문

나는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 전체를 매우 중요한 단 하나의 중심 질문(the central question)과 여러 개의 하위 질문(subquestion)들로 정리할 것을 권함.

7장 자료수집

1. 자료수집의 주기

모집단에 대한 통계적 추정이 가능한 확률 표본추출이라기보다 오히려 진행 중인 연구 문제에 대해 정보를 가장 잘 줄 수 있는 사람들을 의도적으로 표본추출하는 것임.

1) 현장 또는 개인

자신의 직장을 연구하는 것은 자료수집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 간에 권력관계의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좋은 자료가 수집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함. GlesnePeshkin (1992)자신이 소속된 시설이나 기관, 혹은 자기 친구나 동료와 같은 당신 자신의 텃밭(your own backyard)”을 연구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함.

2) 접근과 라포 형성

3) 의도적 표본추출 전략

StraussCorbin (1998)은 이론의 개방코딩과 축코딩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개인을 표본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론적 표본추출에 대해 언급하였음. 이것은 개인들의 동질적 표본(예를 들어, 아동기에 학대를 경험했던 모든 여성)을 선택하고 연구하는 것으로 시작됨. 그리고 나서 이론을 개발한 이후에, 이질적 표본(예를 들어, 아동기에 학대를 경험했던 여성 이외의 다른 유형의 지지집단)을 선택하여 분석함. 이처럼 이질적 표본을 연구하는 이유는 모형이 적용되는 맥락과 중재 조건을 확인하거나 부정하는 데 있음.

문화기술지에서는 문화 내부적인 표본추출(within-culture sampling) 과정이 이루어지는데, Fetterman (2010)은 큰 그물 접근법을 추천함. 이는 처음에는 연구자가 모든 이와 섞이는 것임. 문화기술지 연구자는 그들의 판단에 의거하여 연구 질문에 맞는 하위문화 혹은 단위의 구성원을 선발함. 그들은 기회를 이용하거나(, 기회적 표본추출; Miles & Huberman, 1994) 개인을 선택(기준표본추출)할 기준을 마련함.

사례연구의 경우, 나는 집합적 사례연구에서 특이한 사례의 선택을 선호하며, 사례에 대한 여러 관점들을 충분히 보여 주기 위해 다양한 사례를 표현하는 전략으로 최대 편차의 채택도 선호함.

질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접근 방식인 최대 변량 표집(maximum variation sampling)은 사전에 참여자나 현장을 선별하는 몇몇 기준을 정하고 그들 중 기준에서 가장 차이가 많은 현장이나 사람들을 고르는 방식임. 이 접근은 연구자가 연구 초기에 차이를 극대화하여 연구결과가 차이와 다양한 관점을 반영할 가능성(질적 연구의 이상적 모습)을 증대시키는 것임. 자주 사용되는 다른 표본추출 전략으로는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결정적 사례(critical case)와 연구자가 쉽게 접근하여 자료를 구할 수 있는 현장이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편리한 사례(convenience case)가 있음.

표본추출 유형

목적

최대 변량(maximum variation)

개인이나 현장의 다양한 변량을 기록하고, 중요하고 공통적인 패턴을 확인함.

동질적(homogeneous)

초점을 맞추고 간단히 정리하고 단순화하고 그리고 집단 면접을 촉진함.

결정적 사례(critical case)

논리적 일반화와 다른 사례에 대해 최대한의 정보 적용을 허용함.

이론 기반(theory based)

이론적 구성체의 예를 발견하고 그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고찰함.

확증적/비확증적 사례들(confirming and disconfirming cases)

초기 분석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예외를 탐색하며 편차를 찾음.

눈덩이 굴리기(snowball) 또는 연쇄(chain)

풍부한 정보를 가진 사례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을 아는 사람으로부터 주요 사례를 찾음.

극단적 또는 일탈적 사례(extreme or deviant case)

주요 현상이 매우 특이하게 표출되는 것으로부터 배움.

전형적 사례(typical case)

정상적이거나 평균적인 것을 강조함.

강도(intensity)

현상을 강렬하지만 극단적이지 않게 표출하는,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례들

정치적으로 중요한(politically important)

원하는 주의를 끌거나 원하지 않는 주의를 끄는 것을 피함.

무작위 의도적(random purposeful)

잠재적인 의도적 표본이 너무 클 때 표본의 신빙성을 더함.

층화된 의도적(stratified purposeful)

하위 집단을 묘사하고 비교를 촉진함.

기준(criterion)

몇 개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모든 사례들, 질 보증에 유용함.

기회적(opportunistic)

새로운 것을 본뜸. 기대하지 않았던 것을 이용함.

조합 또는 혼합(combination or mixed)

다원화, 융통성, 다양한 관심과 욕구를 충족시킴.

편의(convenience)

정보와 신빙성을 희생하는 대가로 시간, 비용, 노력을 절약함.

질적 연구의 의도는 정보를 일반화하는 것이 아니라(사례연구의 일부 특정한 형태를 제외하고), 특정하고 구체적인 사실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임(Pinnegar & Daynes, 2007).

내러티브 연구에서는, 집단적 이야기를 발전시키기 위해 거대한 참여자 풀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Hubeeer & Whelan, 1999), 한두 명의 개인을 연구한 사례들이 많이 있음. 현상학에서는 1(Dukes, 1984)에서 325(Polkinghome, 1989)까지의 범위를 가진 참여자들을 보았음. Dukes (1984)는 하나의 현상에서 3~10명의 대상을 연구하는 것을 권장했고 Riemen (1986)10명의 개인을 연구하였음. 근거이론의 경우, 나는 충분히 포화된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20~30명의 개인을 연구할 것을 권고함. 그러나 이러한 숫자는 훨씬 더 커질 수도 있음(Charmaz, 2006). 내가 사례연구를 한다면, 하나의 연구에 4~5개 이상의 사례를 포함시키지는 않을 것임. Wolcott (2008a)는 하나 이상의 사례는 연구자가 제공할 수 있는 상세함의 수준을 희석시킨다고 하였음.

4) 자료 형태

KruegerCasey (2009)는 채팅룸 초점집단과 게시판 집단을 포함한 인터넷상의 초점집단 활용에 대해 논의했음. StewartWilliams (2005)는 사회 조사에서 온라인 초점집단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였음. 그들은 가상현실 적용이나 여러 가지 이점들(오랜 시간에 걸쳐 참여자에게 질문할 수 있고, 큰 규모의 연구를 할 수 있으며, 더욱 열띠고 개방적인 의견교환이 가능할 수 있음)과 같은 새로운 발전을 강조하는 동시적(실시간) 또는 비동시적 적용방식을 검토하였음.

인터넷을 통한 질적 자료수집은 여비와 자료 녹취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과 시간 효율성이라는 이점을 가지고 있음. 온라인 자료수집은 비위협적이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민감한 이슈들을 논의하고 있는 참여자들에게 훨씬 더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줌(Nicholas et al., 2010).

참여자들의 사생활 보호라든가 새로운 권력 차이, 자료의 소유권, 진실성,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신뢰와 같은 온라인 자료수집과 관련된 윤리적 고려사항들이 증가하고 있음(James & Busher, 2007; Nicholas et al., 2010). 연구참여자들은 몇 가지 기술 사용과 관련된 능력들과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 독해와 글쓰기 능력 등을 필요로 함. 연구자들의 경우, 온라인 정보를 활용하게 되면 스크린에서 텍스트를 지켜보고, 맥락 자료를 해석하는 기술을 강화해야 하며 온라인 면접 기술을 향상시켜야 하는 등 새로운 관찰 방식에 적응해야 함(Garcia et al., 2009; Nicholas et al., 2010).

나는 참여자들에게 사진(연구자 혹은 참여자 자신이 찍은 사진)을 보여 주고 사진의 내용에 대해 토의하도록 연구자가 질문하는 사진 유도(photo elicitation)’ 기법을 좋아함(Wang & Burris, 1994). Ziller (1990)는 플로리다와 서독의 4학년 남학생 40, 여학생 40명 각각에게 필름을 넣은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건내주고 전쟁과 평화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찍어 보라고 하였음.

문화기술지는 자료수집의 일부로서 측정, 검사, 양적 서베이의 활용을 옹호한다는 점에서 다섯 가지 접근 방식 가운데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됨. LeCompteSchensul (1999)이 제안한 문화기술지에서의 다양한 범주의 자료 형태를 살펴보면, 그들은 관찰과 검사, 반복 측정, 표본 조사, 면접, 이차적 혹은 시각 자료의 내용 분석, 유도 방법, 시청각 정보, 공간 맵핑(spatial mapping), 네트워크 연구 등과 같은 문화기술지 자료수집 기법들을 검토하였음.

면접 지침서 또는 면접 안내서(Kvale & Brinkmann, 2009)를 작성하고 사용해야 함. 이것은 4~5쪽 길이의 양식으로(답변을 작성할 공간을 남겨두고), 대략 5~7개의 개방형 질문과 피면접자의 진술에 대한 반응을 적을 수 있도록 질문 사이에 충분한 여백을 둠.

좋은 면접자는 면접하는 동안에 자주 말하는 연설가가 아니라 좋은 청취자임.

훌륭한 질적 관찰로서, 당신은 처음에는 비참여자로 시작했다가 점차 참여자 역할로 이동해 간다거나 그와 반대의 경우처럼 관찰하는 동안 당신의 역할을 바꿀 수 있음.

관찰은 피면접자의 속임수(deception) 가능성, 인상 관리, 낯선 세팅에서 연구자가 주변화될 가능성 등과 같은 이슈를 다뤄야 하는 특별한 기술임(Hammersley & Atkinson, 1995).

현장에서 노트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관찰 지침서를 설계함. 이 지침서에는 기술 노트(descriptive note)와 반성 노트(reflective note, 즉 당신의 경험, 육감 그리고 학습에 대한 노트)가 모두 포함됨.

5) 기록 절차

6) 현장 이슈

연구자들은 이미 그들의 관심이 반영된 장소(예를 들어, 고용된 곳, 그곳의 상급자 혹은 하급자 연구)를 고를 수 있는데, 이는 주제 개발이나 자료 코딩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할 수 있음. 어떤 집단 내에서, 연구자 자신의 특정한 입지는 연구자가 경험의 모든 측면을 파악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음.

2. 다섯 가지 접근 비교

사례연구와 내러티브 연구의 경우, 연구자는 심층 사례 혹은 이야기된 경험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자료를 사용함. 근거이론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의 경우, 연구자들은 주로 면접에 의존함. 문화기술지 연구자들은 참여관찰과 면접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자료원을 사용할 수도 있음.

내러티브 연구자, 현상학자 그리고 근거이론 연구자들은 개인을 연구함. 사례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사건이나 활동, 조직에 참여하는 개인들의 집단을 연구함. 그리고 문화기술지 연구자들은 전체 문화 체계 또는 그 체계의 일부 하위문화를 연구함.

8장 자료분석과 제시

1. 세 가지 분석 전략

2. 나선형 자료분석

자료분석은 기성품이라기보다는 맞춤복이며, 변형되는 것이고 연출되는 것(Huberman & Miles, 1994). 질적 연구자들은 자료분석을 직접 하면서 배움” (Dey, 1993, p. 6).

그 형태는 나선형 이미지, 나선형 자료분석으로 가장 잘 표현됨.

1) 자료의 조직화

2) 읽기와 메모하기

3) 자료를 코드와 주제로 기술, 분류, 해석하기

코딩 과정은 텍스트나 시각 자료를 작은 정보의 범주들로 통합하고, 연구에서 사용될 상이한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코드를 위한 증거들을 찾으며, 코드에 이름을 붙이는 것들을 포함함. 여기서 나는 자료의 쭉정이 골라내기(winnowing)’를 생각함. , 질적 연구에서 모든 정보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어떤 것은 버릴 수 있음(Wolcott, 1994b). 최종적으로 내러티브를 작성하는 데 5~6개의 주제로 범주들을 줄이거나 조합함.

HubermanMiles (1994)는 연구자가 코드의 수를 예비로 세어 보고,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코드가 얼마나 자주 나타났는지 판단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음.

보건학에서는 흔히 기존에 알려진코드나 범주(대개 이론적 모형이나 문헌에 나타난)를 사용하지만(Crabtee & Miller, 1992), 이럴 경우 전통적인 질적 방식으로 연구참여자들의 관점을 반영하는 코드를 개척하기보다는 기존에 알려진코드로 분석이 제한됨. 만일 기존에 알려진코딩체계를 분석에서 사용한다면, 나는 연구자들에게 분석하는 동안 새롭게 나타나는 코드들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취할 것을 독려할 것임.

진술 그대로의 코드(in vivo codes)

4) 자료 해석

5) 자료의 제시와 시각화

3. 연구접근별 분석

자료분석과 제시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자료 정리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읽기와 메모하기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고, 1차 코딩을 실시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고, 1차 코딩을 실시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고, 1차 코딩을 실시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고, 1차 코딩을 실시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고, 1차 코딩을 실시

자료를 코드와 주제로 기술하기

이야기나 경험한 것을 기술하고 연대순으로 배열

판단중지(epoche)를 통해 개인적 경험을 기술

현상의 본질을 기술

개방코딩 범주를 기술

사회적 상황, 행위자들, 사건들을 기술하고 상황에 대한 그림을 그림

사례와 그 맥락을 기술함

자료를 코드와 주제로 분류하기

이야기를 확인하기

발현된 현상을 파악하기

맥락적인 재료를 확인하기

의미 있는 진술을 개발

진술들을 의미 단위로 묶음

과정에서 중심 현상을 찾기 위해 개방코딩된 범주 중 하나를 선택

축코딩(인과 조건, 맥락, 중재 조건, 전략, 결과) 수행

주제와 유형화된 규칙을 찾기 위해 자료를 분석

주제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해 범주화된 집합을 사용

자료 해석

이야기의 더 큰 의미를 해석

무엇이 일어났는지를 조직적 기술로 발전시킴

어떻게현상이 경험되는지 구조적 기술을 발전시킴

본질을 밝힘

선택코딩을 수행하고, 범주들을 이야기나 명제들로 발전시키기 위해 상호 연관시킴

어떻게 문화가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이해

직접적인 해석을 사용

배운 것에 대한 자연주의적 일반화를 전개

자료 제시와 시각화

과정, 이론 그리고 독특하거나 일반적인 생활의 특성에 초점을 둔 서술을 제시

경험의 본질을 이야기(narration)하고 표, 그림, 논의로 제시

시각적 모형이나 이론 제시

명제 제시

, 그림, 스케치를 활용하여 내러티브 제시

표나 그림, 내러티브를 사용하여 사례(사례들)에 대한 깊이 있는 그림 제시

1) 내러티브 연구의 분석과 제시

ClandininConnelly (2000)3차원 공간 접근은 세 가지 요소, 즉 상호작용(개인적/사회적), 연속성(과거, 현재, 미래) 그리고 상황(물리적 공간 또는 화자의 공간)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것임.

2) 현상학적 분석과 제시

연구참여자들이 현상에 대해 경험한 무엇에 대해 기술함.

다음으로 그 경험이 어떻게일어난 것인지에 대해 기술함.

마지막으로 현상에 대해 조직적 기술과 구조적 기술 모두를 통합한 기술을 함.

van Manen (1990)은 덜 구조화된 접근을 제안함. 그는 현상학적 반성”(van Manen, 1990, p. 77)이라고 부르는 자료분석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시작함. van Manen (1990)이 사례는 무슨 사례인가?”(p. 86)라고 질문함으로써 주제에 대해 이해하는 데 강조점을 둠.

3) 근거이론의 분석과 제시

StraussCorbin (1990, 1998)에 의해 발전된 이 절차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세 코딩 단계들로 구성됨. 근거이론은 정보의 범주를 개발하고(개방코딩), 범주들을 서로 연결시키며(축코딩), 범주들을 연결하는 이야기를 구성하고(선택코딩), 산만한 이론적 명제들로 끝내는 절차를 제공함(Strauss & Corbin, 1990).

연구자는 이러한 하나의 개방코딩 범주(중심 현상)를 선택하고, 그것을 이론의 중심 특성으로 상정하며, 이 중심 현상과 관련된 범주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시 데이터베이스로 돌아감(또는 자료를 추가로 수집함).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중심 현상과 관련이 있거나 중심 현상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코딩 범주를 통찰할 수 있도록 자료를 검토하는(혹은 새로운 자료를 수집하는) 축코딩이라는 코딩 과정으로 들어감.

Charmaz는 자료를 조건들과 행동/상호작용, 결과 등으로 조직화하는 StraussCorbin (1998)의 공식적 축코딩 절차를 지지하지 않음.

4) 문화기술지 분석과 제시

Wolcott (1994b)가 발전시킨 자료분석의 세 가지 측면, 즉 기술, 분석, 문화공유집단에 대한 해석을 권함.

5) 사례연구 분석과 제시

사례연구에서도 분석은 사례와 세팅에 대한 꼼꼼한 기술로 구성됨.

Yin (2009)은 연구자가 두 개 이상의 사례를 연구할 경우의 분석 기법으로 사례 간 통합을 고안했음. 연구자는 자료분석으로부터 자연주의적 일반화(naturalistic generalization)를 발전시킴.

4. 다섯 가지 접근의 비교

근거이론에서 말하는 개방코딩은 현상학에서 의미 있는 진술을 확인하는 첫 단계나 사례연구의 범주적 집합과 유사함.

5. 질적 자료분석에서 컴퓨터의 사용

1) 이점과 단점

개념지도(concept mapping)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특성은 시각적 모형을 그림으로 보여 줌으로써 연구자들이 코드들과 주제들 사이의 관계를 시각화하도록 해 줌.

2)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시

3) 다섯 가지 접근방법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사용

4) 컴퓨터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방법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기준은 프로그램 사용 용이성, 처리할 수 있는 자료의 유형, 텍스트를 읽고 검색할 수 있는 능력, 메모할 수 있는 기능 제공, 범주화 과정, 개념지도와 같은 분석기능, 양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능력 그리고 여러 명의 연구자 지원과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병합 등임.

9장 질적 연구 글쓰기

1. 몇 가지 글쓰기 전략

1) 글쓰기에서 반영성과 묘사

오늘날의 질적 텍스트에 대한 글쓰기는 저자와 분리될 수 없으며, 그것이 독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연구에 참여했던 사람이나 현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었음.

우리의 글쓰기에는 문화, 사회, 젠더, 계층 그리고 개인의 정치적 입장에 기초한 해석이 반영됨. 모든 연구자들은 드러나는 것으로 글쓰기를 하는데, 질적 연구자들은 이러한 해석을 수용하고 자신의 저작물에서 이러한 점을 공개할 필요가 있음.

과학적 방식으로, 객관적으로 글을 쓰는 것은 연구참여자를 침묵하게 하고 연구자를 침묵하게 함(Czarniawska, 2004). Gilgun (2005)은 이러한 침묵이 모든 목소리와 견해를 들으려고 애쓰는 질적 연구와 모순된다고 지적하였음.

질적 연구자들은 글 속에 자신을 위치시킬 필요가 있음. 이것이 저자가 질적 연구에 가져온 편견, 가치 그리고 경험이 어떤 것인지를 의식하는 반영성이라는 개념임. 좋은 질적 연구의 한 가지 특성은 탐구자가 자신의 위치를 명료하게 하는 것임(Hammersley & Atkinson, 1995). 나는 반영성이 두 가지 부분을 갖는다고 생각함. 연구자들은 우선 조사된 현상과 관련한 자신의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함. 이는 일, 학교, 가족역동 등을 통하여 과거에 경험한 것과 관련됨. 두 번째 부분은 이러한 과거의 경험이 연구자로 하여금 현상에 대해 어떻게 해석하게 하는지 토의하는 것임. 이것이 두 번째로 중요한 구성요소로 종종 간과되거나 빠뜨리게 됨. 이것은 연구가 반영적이 되는 데 정말로 핵심적인 것임. 연구자가 현상과 관련한 자신의 경험을 열거할 뿐 아니라, 이 경험이 잠재적으로 연구의 결과, 결론, 해석을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의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임.

2) 저작물의 독자

기본적 공리는 모든 저자들은 독자를 위해 글을 쓴다는 것임. ClandininConnelly (2000)는 저자의 어깨 너머로 응시하는 독자의 감각이 저술과 기록된 텍스트에까지 고루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음.

3) 저작물을 부호화

우리의 질적 글쓰기는 설득 효과를 위해 노력해야 함(Czarniaswka, 2004, p. 124).

4) 저작물에서의 인용

2. 전반적인 글쓰기 전략과 삽입된 글쓰기 전략

1) 내러티브 글쓰기 구조

2) 현상학적 글쓰기 구조

3) 근거이론 글쓰기 구조

4) 문화기술지 글쓰기 구조

5) 사례연구의 글쓰기 구조

3. 내러티브 구조의 비교

10장 타당성 기준과 평가

1.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성과 신뢰도

1) 타당성에 대한 관점

<10-1>은 타당성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을 질적 문헌에서 정리한 것임. 이런 관점에는 양적인 관점에서 질적인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 양적인 용어와는 별개로 질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 포스트모던하고 해석적인 관점을 채택하는 것, 타당성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것, 많은 관점을 조합하거나 합성하는 것, 혹은 은유적으로 타당성을 수정(crystal)에 비유하여 시각화하는 것이 있음.

연구

관점

용어

Lecompte & Goetz (1982)

실험과 서베이 연구에서의 양적 대응물과 비슷한 질적 등가물의 사용

내적 타당성

외적 타당성

신뢰성

주관성

Lincoln & Guba (1985)

자연적인 원리에 더욱 적용되는 대안적 용어 사용

신빙성

이전가능성

의존가능성

확증가능성

Eisner (1991)

질적 연구의 신빙성을 판단하기 위한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하는 대안적 용어 사용

구조적인 확증

합의된 타당성

창조의 적절성

Lather (1993)

네 가지 유형의 타당성 재개념화 사용

역설적 타당성

유사논리 타당성

근본적 타당성

상황적/내포된 도발적인 타당성

Wolcott (1994b)

타당성은 질적 연구를 안내하지도 정보를 제공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다른 용어 사용

타당성보다 이해

Angen (2000)

해석적 탐구의 맥락에서 타당성 사용

두 가지 유형: 윤리적 그리고 실체적

Whittemore, Chase, & Mandle (2001)

일차적 기준과 이차적 기준으로 구성된 타당성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 사용

일차적 기준: 신빙성, 확실성, 비판성과 정직성

이차적 기준: 명백성, 생생함, 창의성, 완전성과 민감성

Richardson & St. Pierre (2005) Linclon, Lynham, & Guba (2011)

수정(crystal)’이라는 은유적이고 재개념화된 타당성 형식을 사용

확실성(authenticity), 위반(transgression)과 윤리적 관계를 사용

수정: 자라고, 변화하고, 달라지고, 외부를 반영하고, 자신을 통해 굴절되는 것

관점을 나타내는 공정성, 자각과 행위, 숨겨진 가정과 억제, 많은 방식으로 바꿀 수 있는 수정, 연구참여자와의 관계

LincolnGuba (1985)는 내적 타당성(internal validity), 외적 타당성(external validity), 신뢰성(reliability), 객관성(objectivity) 등 대신에 자연주의자들에게 그에 해당하는신빙성(credibility), 확실성(authenticity), 이전가능성(transferability), 의존가능성(dependability), 확증가능성(confirmability)이라는 독특한 용어를 사용했음.

Angen (2000)은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은 연구물의 진실성과 훌륭함을 판단하는 것이라고 하였음. 그녀는 타당성을 윤리적 타당성과 실체적 타당성이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음. 윤리적 타당성은 모든 연구주제가 도덕적 가정,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함의, 다양한 목소리에 대한 균형적 처리를 기초로 하는지 질문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실체적 타당성은 자기 자신의 주제에 대한 이해, 다른 자료로부터 파생된 이해, 연구를 기록함에 있어 이 과정을 서면화하는 것을 의미함. 작성된 연구물은 잠재적 독자가 동조할 수 있어야 하며, 자기도 모르게 끌려 들어가야 하며, 강력하고, 수긍이 가야 함.

타당성에 대한 13개 연구를 분석하고, 이 연구들로부터 타당성 기준의 핵심을 정리한 Whittemore, ChaseMandle (2001)은 타당성에 대한 관점을 통합했음.

나는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와 참여자가 잘 기술한 결과들의 정확성정도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타당성이라고 생각함.

현장에서 오랜 시간 보내면서 만들어진 연구물, 구체적이고 풍부한 기술, 연구참여자에 대한 연구자의 친밀성 모두 연구의 가치나 정확성을 더한다고 봄.

질적 연구에 있어 타당성에 대한 나의 관점은 연구자가 연구의 정확성을 문서화하기 위해 수용된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임. 이것을 나는 타당성 전략이라고 함.

2) 타당성 전략

다원화를 통해 연구자는 복합적이도 다양한 자료원, 방법, 연구자와 이론을 이용해서 확실한 증거를 확보함(Ely et al,, 1991; Erlandson et al., 1993; Glesne & Peshkin, 1992; Lincoln & Guba, 1985; Merriam, 1988; Miles & Huberman, 1994; Patton, 1980, 1990).

동료 검토 혹은 보고는 양적 연구에서의 평정자 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와 같은 의도에서 연구 과정에 대해 외부의 점검을 가능하게 함(Ely et al., 1991; Erlandson et al., 1993; Glesne & Peshkin, 1992; Lincoln & Guba, 1985; Merriam, 1988).

외부 감사(audit)(Erlandson et al., 1993; Lincoln & Guba, 1985; Merriam, 1988; Miles & Huberman, 1994)는 외부의 자문가, 감사자들이 이 연구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검사하고 정확성을 평가하도록 함.

3) 신뢰도에 대한 관점

우리는 신뢰도에 있어 필사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여러 명이 코딩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코딩 담당자 간의 합의에 초점을 두었음.

2. 평가 기준

1) 질적인 관점

2) 내러티브 연구

3) 현상학적 연구

4) 근거이론 연구

5) 문화기술지 연구

6) 사례연구

3. 다섯 가지 접근별 평가 표준 비교

11이야기 전환하기와 결론

질적 연구가 한 가지 유형으로 특징지어질 수는 없으며, 오늘날 질적 연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담론도 무성함. 이러한 담론과 더불어 철학적, 이론적,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의 관점도 다양하게 존재함. 좋은 질적 연구의 핵심을 잡아내기 위하여, 나는 그런 연구를 상호 연관된 세 개의 원으로 구성된 그림으로 나타내고자 하였음. [그림 1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원들은 연구접근방법, 연구설계 과정, 철학적이고 이론적 틀과 가정을 포함함.

1. 이야기 전환하기

2. 사례연구

3. 내러티브 연구

4. 현상학

5. 근거이론 연구

6. 문화기술지

7. 결론

질적 연구는 전반적으로 해석을 지향함. 우리는 비켜 날 수 없으며, 우리가 보고 기록한 것에 대해 객관적일수도 없음. 우리가 선택한 단어는 우리의 개인적인 경험, 문화, 역사 그리고 배경으로부터 나온 것임. 결과적으로 우리의 기록은 사건, 사람 그리고 활동에 대해 우리가 내린 해석이며, 그것은 오직 우리만의 해석임. 우리는 현장, 독자, 우리의 이야기를 읽은 다른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해석을 한다는 사실을 반드시 인식해야만 함. 이런 관점에서 우리의 기록은 담론, 잠정적인 결론 그리고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것으로 여겨짐.

부록 A

1. 내러티브 연구

발현(epiphanies): 이것은 한 개인의 인생에서 전환점이 된 특별한 사건을 뜻함.

순행-역행 방법(progressive-regressive method): 이것은 연구자가 대상자의 인생에 있어서 주요한 사건으로 시작해서 그 사건의 앞뒤로 오가며 작업하는 전기 글쓰기 접근임(Denzin, 1989a).

2. 현상학

의미군(clusters of meaning): 이는 연구자가 중복되고 반복적인 진술을 제거하면서, 진술들을 주제 혹은 의미 단위로 묶는 것으로서 현상학적 자료분석의 세 번째 단계임(Moustakas, 1994).

수평화(horizonalization): 현상학적 자료분석의 두 번째 단계로, 연구자가 주제와 관련된 모든 의미 있는 진술을 나열하고 동일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임(Moustakas, 1994).

상상적 변형(imaginative variation) 혹은 구조적 기술(structural description): 조직적 기술을 따라, 연구자는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는가를 다루면서, 경험을 구조적으로기술함. 이것은 가능한 모든 의미의 추구, 다양한 관점의 추구, 현상에 대한 준거틀의 변형 혹은 상상적 변형 등을 포함함(Moustakas, 1994).

3. 근거이론

구성주의 근거이론(contructivist grounded theory): 이는 질적 연구의 해석학적 전통에 정확하게 맞는 근거이론의 한 형태임. 그래서 이 형태는 근거이론의 전통적인 접근들보다 덜 구조화되어 있음. 구성주의 접근은 연구자들의 관점을 통합하며, 숨겨진 네트워크와 상황, 관계들을 가지고 경험을 드러내며, 권력과 의사소통, 기회의 가시적인 위계를 구성함(Charmaz, 2006).

이론의 생성 또는 발견(generate or discover a theory): 근거이론은 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이지 이론을 검증하는 것은 아님.

선택코딩(selective coding): 이것은 정보를 코딩하는 마지막 단계임. 연구자는 중심 현상을 결정하고, 그것을 다른 범주들과 체계적으로 관련짓고, 관계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더 정밀하게 개발될 필요가 있는 범주를 채우게 됨(Strauss & Corbin, 1990). 나는 상호관계를 보여주고, 범주들을 서술하는 이야기를 개발하는 것을 선호함(Creswell & Brown, 1992 참조).

실체이론(substantive-level theory): 이것은 상황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낮은 수준의 이론임. 이 이론은 하나의 특정한 상황 맥락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전개되는 것임(Strauss & Corbin, 1990, p. 174). 연구자들은 이 이론의 형태를 중간 수준의 이론, 거대 이론, 공식적 이론이라고 불리는 더 추상적이고 적용가능성이 큰 이론과 구별함.

4. 문화기술지

내부자 관점(emic): 이 용어는 연구자가 참여자의 관점을 보고할 때 문화기술지에 보고되고 작성된 정보의 유형을 말함. 연구자가 자신의 개인적 관점을 보고할 때 사용되는 용어가 외부자 관점(etic)’(Fetterman, 2010).

문지기(gatekeeper): 이는 자료수집과 관련된 용어이며 연구자가 한 집단이나 문화적 현장에 들어가기 전에 방문해야 하는 사람을 말함. 현장에 접근하기 위해, 연구자는 이 사람의 승인을 얻어야 함(Hammersley & Atkinson, 1995).

5. 사례연구

주제 분석(analysis of themes): 기술에 이어서, 연구자는 정보를 아이디어들의 커다란 군집으로 모으고 주제들을 뒷받침하는 세부사항들을 제공하면서, 구체적인 주제들을 위한 자료를 분석함. Stake (1995)는 이러한 분석을 이슈 개발이라고 부름.

주장(assertions): 이는 분석의 마지막 단계로서, 여기에서 연구자는 자료를 이해하게 되고 개인적인 시각 또는 문헌에 제시된 이론이나 구성체로 표현되는 자료에 대한 해석을 제공함.

사례 주제(case themes): 사례연구의 주요 결과물 가운데 하나임. Stake (1995)의 표현을 빌면, 이것은 범주 집합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더 큰 범주들은 자료 분석 동안에 도출되며 다양한 사건들이 모여서 구성됨.

도구적 사례연구(instrumental case study): 이는 사례연구의 한 유형으로 사례 자체보다는 특정한 하나의 이슈에 초점을 둠. 그러고 나서 사례는 그 이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 됨(Stake, 1995).

본질적 사례연구(intrinsic case study): 이는 사례연구의 한 유형으로 사례에 연구의 초점을 두는데, 그 이유는 사례가 본질적인 또는 독특한 관심을 끌기 때문임(Stake, 1995).

6. 일반적인 질적 용어

면접 지침서(interview protocol): 면접 지침서는 연구자의 면접 활동을 안내하고 면접 대상자가 제공한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질적 자료수집 양식임.

호혜성(reciprocity): 좋은 자료수집이라는 측면에서, 연구자가 연구참여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참여자에게 보답하는 것임.

반영성(reflexivity): 질적 연구를 작성할 때 연구자는 자신의 편견, 가치, 경험을 의식해야 함. 반영적 구절을 작성할 때, 연구자는 중심 현상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연구자가 제공하는 해석에 미쳤을 가능성에 대해 논해야 함.

수사학적(rhetorical): 이 가정은 질적 연구자가 질적 접근에 독특한 용어들과 내러티브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함.

실질적 기여(substantive contribution): 작품이 사회적 삶에 대한 이해에 기여할 때, 현실에 깊게 기반을 둔 사회과학적 관점을 제시할 때 그리고 진실로 보일 때, 실질적 기여를 하는 셈임.

주제(theme): 질적 연구에서 주제(범주로 불림)는 공통된 아이디어를 형성하기 위해 종합된 여러 개의 코드로 이루어진 정보 단위임.

진실성(verisimilitude): 이는 글을 사실적이고’, ‘살아 있는것으로 보이게 하는, 즉 독자들을 연구하는 세계 속으로 직접 이끄는 것으로, 훌륭한 문학적 연구를 판단하는 기준임(Richardson,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