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화플러그 교체 주기 - jeomhwapeulleogeu gyoche jugi

자동차를 제대로 관리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알아두어야 할 것이 많습니다. 각 부품의 교체에 대한 것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부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교체주기와 비용은 얼마인지 알아야 현명한 차량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오늘은 자동차 점화플러그 교체비용과 교체 시기, 그리고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고장증상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점화플러그 교체시기



간단히 설명하자면 점화플러그는 엔진에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불꽃을 만들고 시동이 걸린 이후에도 엔진이 멈추지 않고 출력을 다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계속해서 손상을 입고 소모되므로 주기적인 점검과 교체는 필수입니다. 점화플러그 교체시기는 부품의 재질에 따라 다른데 대표적인 내구도가 가장 높은 이리듐 점화플러그는 16만Km, 백금 점화플러그는 8만Km, 니켈합금 점화 플러그는 3만km 주행이 교체시기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점화플러그는 엔진을 이용할 때 계속해서 손상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주행 습관이나 운전 방식 그리고 주행 환경에 따라서 권장되는 점화플러그 교체시기가 더욱 길거나 짧아질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육안으로 살펴보고 플러그가 검거나 짙은 색으로 변했거나 녹슬었거나, 찌꺼기가 쌓여있다면 주행거리와 상관 없이 점화플러그 교체를 염두에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점화플러그 교체비용



점화플러그 교체 주기 - jeomhwapeulleogeu gyoche jugi


※ 공임나라 바로가기

https://gongim.com/


그렇다면 비용과 소요 시간을 살펴보겠습니다. 점화플러그 교체비용은 차종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우선 4기통은 27,000원에서 55,000원 수준입니다. 소요시간도 30분에서 최대 90분까지 달라지는데 뉴 SM3/SM5/SM6/SM7 등은 가격대와 소요시간이 모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직렬 6기통 차량인 매그너스L6, 토스카L6, 체어맨 등의 점화플러그 교체비용은 대략 45,000원 수준이며 작업에는 50분이 소요됩니다. V6형 6기통 차량은 이보다 높은 8만원의 공임비와 90분의 소요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부품비를 제외한 순수 공임비용으로, 공임나라의 자료입니다.




점화플러그 교체 주기 - jeomhwapeulleogeu gyoche jugi


참고로, 공임나라의 공임비용은 순수 작업비용이자 기본 금액이므로 차량의 상태와 필요 작업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실제 정비 시 정비소에 따라 요구되는 가격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위 비용은 참고용으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점화플러그 교체 주기 - jeomhwapeulleogeu gyoche jugi


※ 다나와 자동차 바로가기

http://auto.danawa.com/


그렇다면 부품 가격은 얼마인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차종별로, 세트 상품인지 개별 상품인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풀세트 또는 개별 판매에 따라서도 가격은 달라집니다. 개별 가격으로는 가장 내구성이 높은 이리듐이 개별 12,000원 수준으로 가격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백금은 개별 6,000원, 니켈 합금이 3,000~6,000원 수준의 순서입니다. 위 부품 가격과 공임비용을 더하여 점화플러그 교체비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점화플러그 고장증상



점화플러그 교체 주기 - jeomhwapeulleogeu gyoche jugi


마지막으로 점화플러그에 이상이나 고장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을 살펴보겠습니다. 점화플러그는 엔진 기통 수에 따라 4기통이면 4개, 6기통이면 6개 이상이 들어가 있는데 점화플러그 중 한개라도 고장이나 이상이 있을 시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엔진이 일시적으로 멈춰 시동이 꺼질 수 있으며 운행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기도 합니다.




점화플러그 교체 주기 - jeomhwapeulleogeu gyoche jugi


점화플러그 고장증상은 이 외에도 운전자가 체감할 수 있는데 차량에서 그르릉거리는 소리가 나기도 하며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차가 울컥거리면서 움직이거나, 차량 전반에서 진동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같은 양을 주유해도 연비가 줄어든 것이 느껴지기도 하는 등 이상증상은 다양합니다. 직접 자가교체 하는 경우도 크게 늘었지만 위험부담이 큰 작업이므로 안전하게 전문가를 통해 체크 및 교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자동차의 출력이 잘 나오지 않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여러가지 원인 중 대표적인 증상은 점화플러그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가 있다. 점화플러그는 이와 같이 엔진 내에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가 폭발을 일으켜 불꽃을 발생시켜 주는 장치가 점화 플러그(spark plug)다.

 

점화플러그는 가솔린 차량에만 장착되어 실린더 내에서 압축된 혼합 가스에 불꽃을 튀겨 발화를 일으키는 부품으로서 디젤 차량의 경우 예열 플러그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점화플러그에 대한 모든 것

 

 

요즘 출시되는 차량들의 점화 플러그의 경우 대부분 백금으로 제조되어 점화 플러그의 수명이 길어졌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카본에 의한 오염 및 마모가 발생하는 것과 엔진이 노후되는 것은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점검 및 교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에 문제가 생기면 적절한 시점에 점화가 되지 않아 차량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해당 부품들은 연료의 폭발과 연관이 있으므로 공회전을 하고 있을 때도 발생하지만, 특히 고속 주행 시에 발생하는 엔진 부조 현상의 원인이 된다.

 

양호한 상태의 점화 플러그라면 가솔린 엔진 차량은 전극 표면이 회백색 또는 황갈색을 보이고 LPG 차량의 경우 갈색으로 나타나며 혼합비, 점화 시기 등이 정확하다. 하지만 엔진 실린더의 내부는 폭발 행정마다 엄청난 고온의 열과 순간적인 불꽃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점화 플러그의 손상을 피할 수 없다.

 

 

점화플러그 손상 증상과 원인 3가지

 

이전 글에 정리한 바 있지만, 다시 한번 점화플러그의 주요 손상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① 절연체 표현, 전극, 점화 플러그 몸체에 검은색 그을음이 부착된 상태라면 카본에 의한 오염 의심

증상: 출력 저하, 불꽃이 안 터짐, 동절기 시동 불량의 증상이 나타남

원인: 혼합비 불량, 에어 클리너 막힘, 급제동이 빈번한 주행에서 낮은 열가가 의심되는 상황

해결: 혼합비 조정, 에어 클리너 교체, 경우에 따라 높은 열가로 교체, 동절기 시동장치 점검

 

※4기통 기준 2개 이상 검게 변해 있다면 모두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개만 불량이라면 고운 사포나 줄로 점화플러그 주위를 깨끗하게 청소하면 된다.

 

② 엔진오일이 유입되어 전극부위에 오일 퇴적물이 부착된 상태

증상: 출력 저하, 실화(불꽃이 안 터짐), 시동 불량의 증상이 나타남

원인: 연소실에 과도한 윤활유의 유입이 원인이며 엔진 오일이 너무 많거나 피스톤 링, 실린더의 과대 마모가 의심되는 상황

해결: 마모 부품(피스톤 링, 밸브가이드, 오일씰 등)을 교체하거나 점화 플러그를 교체해야 함

 

③ 전극이 부분적으로 녹거나 파손

증상: 실화, 엔진 출력 손실, 엔진 손상, 완전히 녹았을 경우 절연체 표면 균열 가능

원인: 조기 점화에 의한 과열, 연소실 내 카본 퇴적, 밸브 및 배전기(Distributor) 불량, 옥탄가 낮은 연료 사용, 간혹 너무 높은 열가의 플러그 사용이 의심되는 상황. 인젝터 후적에 의해 연료실로 엔진오일 유입

해결: 엔진 점검, 점화 및 혼합기 계통 점검, 열가가 맞는 점화 플러그로 교환 필요

 

반응형

 

점화플러그 점검 교환 주기

 

일반적으로 점화플러그 점검 주기는 약 2만 km 운행 후 주기적으로 점검해 주는 것을 권유한다. 또한 점화플러그 교체주기는 다음과 같다.

 

① 일반 점화 플러그(니켈합금) 교환주기 3~4만 km

② 백금 점화 플러그 교환주기 8만 km

③ 이리듐 점화 플러그 교환 주기 16만 km

 

그리고 점화플러그 점검 시 플러그 전극 간극을 측정하여 플러그의 간극이 0.7~0.9 mm 이상으로 벌어져 있을 경우 마모로 인하여 유격이 발생한 경우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정확한 발화를 일으키지 못하여 시동 지연이나 주행 중 엔진 부조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니 반드시 교체하시기 바란다.

 

#CHECK THIS BELOW OUT

점화플러그 네이버 지식백과 의미 알아보기

 

점화플러그

가솔린엔진 따위에서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장치. 점화전(點火栓)이라고도 한다. 내연기관의 실린더헤드에 장착되어 있다. 전지(電池)를 접속한 1차코일을 단속하고 2차코일에서 발생한 고압전

terms.naver.com

 

#CHECK THIS BELOW OUT

 

오일 누유 증상과 점검 방법 간단하게 체크리스트로 확인하자

한국소비자원의 중고차 매매관련 피해사례 조사에 따르면 총 807건중 성능상태 점검 내용의 피해 유형이 602건으로 74.6%로 가장 많았고 그 중에서도 성능 상태 불량이 369건(45.7%) 이중 오일 누유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