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VPN에 대해서 아시나요? 이건 ‘가상사설망’이라는 뜻인데요.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 입니다. 쉽게 설명 드리자면, 내 컴퓨터 (A)를 통해서 목적 사이트 혹은 프로그램 (B)에 접속하거나 사용을 해야 하는데, warning 페이지가 뜨거나, 혹은 중국 출장중이라서 구글 등 내가 사용해야할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지장이 있거나.. 회사에서 메신저, sns 등등 여러가지 쓰는데 문제가 있는경우에 이 VPN이란 공간을 통해서 접속 및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인터넷에서 나의 신분 즉 ‘IP 세탁’하는 것 입니다.

그 외에도 카페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무선랜 와이파이를 사용할때, 뭐가 좀 찝찝하고 내 정보가 새어나갈까 걱정된다 싶을때도 VPN을 통해서 좀 더 안전하게 까페 등에서 WIF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여기서는 우리집 공유기를 통해서 VPN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아참 미리 말씀드리는데, 우리나라에서 접속이 막혀버린 므흣 사이트의 경우에는 iptime VPN을 통해서 접속 할 수 없습니다. 그건 해외 VPN 서비스를 통해서 해야하는데, 그건 그냥 파이어폭스 혹은 크롬 브라우저를 다운받으신 후에 IP우회 플러그인을 통해서 원클릭으로 간단히 사용하시는게 낫습니다.

물론 해외 유료 VPN서비스를 사용하시면 속도도 빠르고 매우 좋습니다. 근데 돈이 든다는게 단점이죠. 전 로또되면 1년씩 결제해서 쓸거같아요.. 진짜 편하긴함..

조금 긴듯 하지만 이미지를 보면서 그대로 따라하시면 굉장히 쉽습니다.

아이피타임 VPN 설정 그리고 윈도우 혹은 스마트폰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우선 VPN을 설정하기 전에 DDNS부터 설정하고 가실게요~!

이게 뭐냐면요 우리가 집에서 쓰는 인터넷들은 주소가 한번씩 바뀌기 때문에 매번 바뀐 아이피를 확인하고 접속하자면 번거롭고 짜증이 나겠죠.

그냥 이름표 붙여놓고 매일 그걸로 접속하면 편하니까 naver.com, daum.net, google.com 같은 주소를 만들어놓는 것 입니다.

IP타임에서는 이 기능과 주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으로 들어가셔서

접속할 주소명과 아이디, 암호를 설정하면 됩니다. 사람들이 미리 만들어놓은게 많아서 좋은주소는 다 선점이 되어있을겁니다. ㅎㅎ

이렇게 해놓으면 울집 주소가 1번지이든 3번지이든 9번지로 바뀌든 그냥 ‘누구네집’ 이걸로 통일이 되는 겁니다.

이제 VPN 서버설정으로 들어갑니다.

동작모드 – 실행

암호화(MPPE) – 사용

계정과 암호는 알아서 설정해주시구요.

IP주소 – 192.168.0.xxx 뒤에는 쓰지 않는 내부 주소를 쓰시면 되는데 저는 99했는데 100~130 하라는 사람도있고.. 그냥 안쓸만한 뒷자리 하시면됩니다.

공유기 접속 관리 – 원격 관리 포트 사용 체크 – 포트번호는 잘 쓰지 않는 4자리~5자리 숫자로. 가끔 해커..라고 까진 할것없고 해킹툴 가지고 장난치는 애들이 포트별로 하나씩 쑤셔보는데.. 여튼 그냥 포트는 높은숫자 저는 5555했습니다.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저렇게 해주세요

규칙이름 – 알아서…

내부IP주소 : 192.168.0.1

프로토콜 TCP/UDP

외부,내부포트 5555

자 이제 iptime VPN 설정하기 끝!

저같은 경우에는 집에 24시간 돌아가는 서버 컴퓨터도 있고해서 다양한 자료를 저장해놓고 밖에서 꺼내쓰고 저장하기도 합니다. 잘쓰면 참 유용한 기능이지요. . 

직장생활 하시는 분들은 회사에서 특정 커뮤니티 사이트를 막아놓기도하고, 보안을 위해서 조금 과한 설정을 해놓아서 불편할 수 있는데요. 그런 경우에는 VPN을 통해서 우리집으로 들어가서 거기서 나의 공유기 IP를 통해서 접속을 할 수 있게 되는거죠

VPN에 접속을 해볼까요?

[윈도우 노트북, 스마트폰에서 공유기 VPN 접속하기]

VPN이란 내부 네트워크망을 구축할 때 자주 이용되는 기능으로, 외부의 장비들을 VPN 서버를 이용해서 손쉽게 하나의 네트워크에 묶을 수 있는 편리한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서 회사에 VPN 서버를 구축해 놓으면, 집에서 VPN을 이용해 회사 네트워크에 접속해 회사의 IP를 할당받아 마치 회사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또한 VPN 서버는 서버가 위치한 곳의 IP를 그대로 부여받아 연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국가적 단위의 IP 우회까지도 가능하단 특징이 있죠.
그리고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공유기에서도 손쉽게 VPN 서버를 구축해서 활용할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그 방법을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죠.

VPN 서버 구축하기

공유기를 이용해 VPN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 먼저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 주어야 합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우선 검색 메뉴를 이용해서 'cmd' 또는 '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켜 주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현재 컴퓨터에 할당된 내부 IP 정보들이 쭉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 주셔야 할 것은 저 '기본 게이트웨이'에 쓰여져 있는 항목인데, 저 기본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잘 기억해 두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아까 명령 프롬프트에 나왔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인터넷 주소창에 치고 접속해 봅시다.
그럼 위 사진처럼 공유기 모델명과 함께 설정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맨 왼쪽에 있는 '관리도구'를 눌러주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그런 다음, 왼쪽의 사이드 메뉴에서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VPN 서버설정]을 차례대로 클릭해 주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여기서 먼저, 위쪽의 '동작 모드' 란에서는 [실행]에, '암호화(MPPE)' 란에서는 [암호화 사용함]에 체크를 해 주시고, 최종적으로 밑의 [적용]을 눌러 마무리해주시기 바랍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이제 VPN 서버 접속을 위한 계정을 만들 차례입니다.
VPN 접속 계정과 VPN 접속 암호를 임의로 설정해 주시고, 할당될 IP 주소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4번째 칸만 임의대로 채워주시고 나머지 칸들은 그냥 그대로 놔두시면 됩니다. (4번째 칸은 2~254까지 설정 가능)
참고로 4번째 칸의 주소를 설정할 때, 되도록 200번대 이후로 설정해 두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너무 앞번대의 주소로 설정하게 되면 다른 앞번대의 주소를 할당받아 연결된 기기들과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최종적으로 목록에 생성했던 계정이 표시된다면, 이렇게 VPN 서버 구축은 완료되었습니다.
그런데 아직 여기서 끝난 것이 아닙니다.
뒤에서도 다루게 되겠지만 공유기의 외부 IP 주소를 입력하여 VPN 서버에 접속을 하게 되는데, 숫자투성이인 IP 주소는 영 익숙치 않죠.
그래서 DDNS 기능을 이용해, 익숙치 않은 IP 주소 대신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공유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DDNS 도메인 설정하기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관리 도구의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을 차례대로 클릭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공유기 설정 화면에 접속하는 법을 찾고 계시다면 윗부분를 참조하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그런 다음, 윗부분에서 원하는 호스트 이름과 등록에 필요한 사용자 ID, 사용자 암호를 채워주시고, [추가]를 눌러 마무리해주세요.
호스트 이름은 '(name).iptime.org'의 형식으로 써주셔야 하며, 사용자 ID는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나중에 잊어버린 암호를 찾을 때 도움이 됩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추가를 완료하고 아래의 목록에서 [갱신] 버튼을 눌러 등록한 호스트의 접속상태가 '정상 등록'으로 표시되는 것을 보셨다면, DDNS 설정까지 성공적으로 끝난 것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VPN 서버에 연결하기

이제 VPN 서버를 구축했으니, 남은 일은 외부 기기에서 구축한 VPN 서버에 연결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여기서는 여러분이 자주 사용하시는 윈도우와 안드로이드로 나누어서 연결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윈도우에서의 연결 방법입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검색 메뉴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검색해서 실행해 주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그런 다음, [새 연결 또는 네트워크 설정]을 클릭해 주세요. 설명 중에서 'VPN 연결'이라는 대목도 보여서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그러면 이렇게 설정 창이 나옵니다. VPN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일 밑의 [회사에 연결]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그리고 [내 인터넷 연결 사용(VPN)]을 눌러주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VPN 서버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를 요구하는데, '인터넷 주소' 란에는 공유기의 외부 IP 주소나 위에서 설정해 주셨던 DDNS 도메인을 입력해 주시면 되고, '대상 이름' 란은 의미를 파악하기 쉬운 임의의 이름으로 채워주시면 됩니다.
Windows 7에서는 이후 VPN 계정 로그인 단계로 바로 넘어가게 되지만, Windows 10에서는 위 단계가 완료되면 곧바로 창이 닫히면서 VPN 서버 추가만 완료되기 때문에, VPN 계정에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수고스럽지만 또 한 번의 과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설정] 앱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범주를 눌러주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범주의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VPN' 항목을 눌러주시고, VPN 목록에서 방금 전 추가했던 서버를 찾아 클릭해서 연결을 시도합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그럼 로그인 창이 나오게 되는데, 위의 VPN 서버 구축 과정에서 만들었던 VPN 계정의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면,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VPN 서버에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으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의 VPN 연결 방법입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각각 스마트폰마다 VPN 설정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지만, 보통은 핫스팟 설정과 같은 범주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VPN 설정 메뉴에서 먼저 [VPN 네트워크 추가]를 누르고, '서버 주소' 란에 공유기의 외부 IP나 위에서 설정했던 DDNS 도메인을 입력해 주시고, 'PPP 암호화(MPPE)'에 체크를 해 주세요.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Iptime vpn 외부 접속 방법

그런 다음 목록에서 아까 생성한 네트워크를 찾아 선택하고,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란에 위에서 설정해 주셨던 VPN 계정의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해주시고 연결해 주시면 정상적으로 VPN에 연결됩니다.


이렇게 iptime 공유기에서 VPN 서버를 구축하고,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제 공유기에 VPN 서버를 구축해 놓아 외부에서 가끔 집의 IP로 접근해서 해야 하는 일이 생길 때 VPN 기능을 요긴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상은 그냥 학교 컴퓨터실에서 우리 집으로 VPN 연결해서 유해사이트 우회접속)
하지만 공유기에서 외부로 VPN 서버를 개방해 놓고 있으면 외부 해킹에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VPN 서버 주소나 계정을 믿을 수 없는 사람에게 함부로 알려주지 않는 등 보안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네요.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tw5780264&logNo=220709302011&categoryNo=37&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