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갤러리 본문 영역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케이시모드 공략모바일에서 작성

withcow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2022.03.29 22:17:07

사마귀신 덱으로 시작해서 이분공격달고 2코이상만 뽑는거

딜 6이상만 찍으면 곰러쉬는 그냥 곰인형되고

아니여도 대충 딜올리는 모닥불 한번만 들려도 옆에 즉사두면 넘어갈 수 있음

그 외 버짐은 구타유발자있어서 도장합치는데에서 처리할수도 있고

첫패에 사마귀 고정이라 일반전투에서 억까당할일도 없음

첫턴에 다 끝내다보니 시간도 덜 들어서 자주쓰는것같음


추천 비추천

0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0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내부 검색

오른쪽 컨텐츠 영역

https://youtu.be/wfJ91KzaAa4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인스크립션


잘만들어진 메타픽션 로그라이크 카드게임이다.

결말에 대해선 의견이 많은 열린 엔딩이다만

중요한건 엑트 1이 너무 잘만들어져서 많은 사람들이 무한 모드를 원했고
 

공식적으로 무한 모드인 케이시 모드가 나오게 되었다.

자체 제약을 걸고 계속해서 보스를 처치하는

슬더스 라이크의 덱빌딩 카드 로그라이크라 보면 되겠다.

이곳에서 카드는 효과를 가진 도장을 새길 수 있다.

그중 도장이 있는 카드를 희생하여 다른 카드에 부여할 수 있는데

도장들이 조합되면서 손패에 잡히기만 하면 치트키가 되는 카드들이 존재해

생각보다 쉽게 챌린지 등반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이야기 하자면 카드 운빨이 안좋으면 못깬다는 뜻이지만

그건 덱빌딩 로그라이크에서 기본으로 세팅된 난이도의 한 종류이다.

개인적으로 느낀 사기 도장 조합은 다음과 같다.

1) 토끼 도장 + 생식력 도장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무한 제물, 무한 뼈 토큰

이보다 완벽한 노가다 카드는 없다.

3피 코스트 유닛과 4개 이상의 뼈 코스트 유닛을 자리만 있다면 공짜로 낼 수 있게 된다.


2) 불사 도장 + 시체먹이 도장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전투중에 이 도장이 조합된 카드가 상대의 공격을 받아 사망할 경우

불사 효과로 손에 복제품이 만들어지고 그 뒤에 시체먹이 효과로 다시 필드에 나오게 된다.

즉, 전투중 사망하지 않는 카드가 된다.

불사 도장은 생식력 도장으로도 대체 가능하다. (이 조합에 한에 생식력+시체먹이가 더 상위 호완)

3) 축적가 도장 + 헐거운 꼬리 도장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헐거운 꼬리로 만들어지는 꼬리는 본체가 가진 헐거운 꼬리 이외 도장을 그대로 복사한다.

즉, 이 도장이 조합된 카드를 낼때 축적가가 1번 발동하고

전투중 꼬리가 생성될때 축적가가 또 1번 발동한다.

한 카드로 2개의 원하는 카드를 드로우 할 수 있게 되어 승리 플랜을 빠르게 완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말 좋은 도장 조합들이 있으나

직접 하면서 찾는게 더 즐거울 것이다.

220 챌린지까지 돌파할때까지 우린 그것을 반복 할 것이다.

인스크립션 케이시모드 공략 - inseukeulibsyeon keisimodeu gonglyag

인스크립션 무한모드를 추가해 달라는 요청이 계속되어 베타 버전으로 추가된 케이시 모드 하는중입니다.

케이시 모드는 클리어할 때마다 "챌린지 레벨"이 올라가는데(승천 개념), 방금 레벨 3 챌린지까지 깼습니다.

특이한 점이라면 챌린지 레벨이 오를 때마다 슬더스의 승천처럼 정해진 페널티가 부과되는 방식이 아닌, "챌린지 포인트"의 요구량이 늘어나고 플레이어는 게임이 제공하는 챌린지를 원하는 대로 선택해서 포인트의 요구량을 채우는 방식입니다. 때문에 챌린지 레벨이 오르면 새로운 카드들(일부 카드는 원본 게임에 없는 카드)과 더불어, 새로운 스타터 덱과 새로운 챌린지도 해금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갈고리 없이 시작하면 +5점, 클로버 없이 플레이하면 +5점, 아이템 인벤토리를 2칸으로 줄이면 +5점, 모든 전투에서 한 대씩 맞고 시작하면(내 쪽 저울에 이빨 1개가 올라간 상태로 시작하면) +15점 등등으로 챌린지 레벨 3이라면 30점을 채우는 형태입니다. 챌린지를 충분히 올라가면 게임에서 필드 8칸을 전부 곰으로 채우던 것으로 각 보스의 2페이즈를 교체하는 챌린지도 있다고 합니다(+45점).

해보니까, 원본 인스크립션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근데 재밌어요. 단점이라면 아직 베타 버전이라서 그런지 챌린지 레벨이 항상 최고 레벨로 고정되는 점이나(수정: 챌린지는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고, 챌린지 포인트를 전부 채우지 않거나 아예 챌린지 없이 시작하는 게 가능하고 이 경우 추가 컨텐츠가 해금되지 않는 방식이네요.) 추가적인 해금 요소가 있다는 점 정도를 들 수 있겠습니다.

사진은 토끼굴(피 1, 이 카드를 내면 토끼 한 장과 이 카드의 복사본을 패로 가져옴)과 우로보로스를 이용해 무한루프를 만든 건데...

저 뒤에 루트 실수로 우로보로스를 희생해야 진행이 가능하게 되서 그냥 리셋함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