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없는 애니 - ingi eobsneun aeni

인기 없는 애니 - ingi eobsneun aeni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통칭 와타모테)는 

학교에서 뭔가 인싸적이고 활발하며 타인과도 완만하게 지내는 행복하고 평범한 고교생활...

과는 일억광년 멀어져 학교에서 혼자 동떨어져있는 쿠로키토모코라는 

평범한 여고생...? 이 보내는 일상물..을 다루고있는 좀 안습한 만화로

암울한 분위기와 엉뚱한 옆그레이드노력으로 매번 삽질을 하는 

안쓰러운 주인공덕분에 국내에서도 약간 인지를 얻고있는 작품이다

저작자표시

'애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화가 심각해지고있는 요즘 애니 작품들  (3) 2019.03.05
버추얼 유튜버가 이젠 애니로, 버추얼씨는 보고있어 리뷰  (5) 2019.02.24
[와타모테] 이 작품은 어쩌다 이리되었나  (5) 2018.11.08
애니메이션에서의 전설이라 불리는 양배추 사건  (3) 2018.10.25
이번 신작 애니 분기를 걸러야하는 이유.jpg  (7) 2018.10.18
[일하는 세포] 혈소판이 귀여워서 살수가 없다.  (9) 2018.08.26

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편집 및 토론 내역은 언제든지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준일 : 2022년 9월 25일 오전 3시 45분

문서 조회수 확인중...


1. 개요

2. 주제가

3. 회차 목록

5. 패러디 일람


1. 개요[편집]


만화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간간 온라인에 한때 의문의 카운트다운이 올라가 있어 이 작품 관련으로 뭔가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설이 돌았다가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그런데 애니화 소식에 환호하기보다는 슬퍼하는 사람이 더 많은 괴현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이후 애니메이션 특설 페이지도 개설되었다. #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도 개장했다.

감독은 오오누마 신, 제작사는 실버 링크. 해당 캐스팅은 아래 등장인물 참조. 2013년 7월 방영되었다. 국내에선 애니플러스에서 방영.

국내 방영작이든, 일본원판이든 일본 애니메이션 저작권 관련 '집중단속작'으로 선정된 바 있으니 주의하자.

원작의 경우 시간의 흐름은 있으나(2학년으로 진급하는등), 구체적으로 나타나진 않고. 또 화 별로 분량도 꽤 제각각인 편이다. 애니메이션에선 이러한 각 화 마다 원작을 알맞게 재구성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표현이나 대사 등이 원작에 비해 순화된 감이 있다.

BD판매량은 1200장대. 현지 내에서도 본방 때의 반응에 비하면 판매량이 매우 저조하다는 평가. 화제와 판매량이 꼭 연관되는 건 아니라는 걸 보여주었다.

이에 대해서 "다시 보기에는 안타까워서'' 안 팔린다는 주장도 상당히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사실 이런 개그 애니는 화제가 되기엔 좋지만 1회적으로 소모되는 경향이 있어서 소장용 상품인 BD는 잘 팔리기는 힘든 편이다. 일상 같은게 그 예.

최근에 원작 만화의 인기가 다시 오르게 되면서 2기 제작을 기대하는 팬들도 많아지고 있지만 바로 위에 언급했다시피 저조한 판매량으로 2기가 제작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

2. 주제가[편집]


오프닝 곡은 제목 그대로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스즈키 코노미가 키바오브아키바와 연합해서 부른 곡이다. 코어 장르 특유의 음산한 곡조에 어울리는 듯 아닌 듯 처절한 가사가 일품이다. 오프닝 영상은 웬만한 액션 스릴러 뺨치는 구성을 자랑한다. "오프닝만 떼어놓고 보면 다른 애니인 줄 알았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

10화와 OVA에서는 쿠로키의 절규 장면과 오프닝을 절묘하게 잇는 도입으로 참신한 연출을 선보였다.

마지막 화(12화)에서는 이 노래로 화려하게 엔딩을 장식했다.

엔딩 곡은 〈아무리 생각해도 내 탓이 아니야(どう考えても私は悪くない)〉. 토모코 역의 킷타 이즈미가 부른 곡이다. 엔딩 영상은 스마트폰으로 추정되는 토모코의 휴대폰을 이어가며 토모코의 안습한 일상을 그린다. 마지막에 손이 삐끗해서 액정에 흠이 가는 장면이 일품. 여담으로 이어폰 꽂이에 음소거용으로 꽂혀 있는 캐릭터는…[1]

그리고 다크서클만 지운 버전도 있다

풀버전으로 들어보면 어느 시점에서부터 토모코의 목소리가 울먹이는가 싶더니 나중에 가서는 아예 절규. 가사 내용도 뒤로 갈수록 더욱 암울해지고 토모코가 거기에 맞서 정신승리하려는 듯 하는 내용이 압권이다.

나루세 유우 성우인 하나자와 카나가 부른 버전도 있다. 유우 본인도 중학교 때까지는 토모코와 비슷한 캐릭터였다는 설정이 있어서 그런 듯.[2]

2화에선 엔딩곡으로 Velvet.kodhy가 부른 〈몽상연가(夢想恋歌)〉가 나왔다. 유우짱의 남친선언으로 충격을 받은 토모코가 얀데레CD로 현실회피를 하며 집으로 돌아가는 안습적인 장면에 삽입, 그대로 엔딩으로 이어진다.

5화의 엔딩곡은 <밤의 장막이여 안녕(夜のとばりよ さようなら)>, 2화와 마찬가지로 Velvet.kodhy가 불렀다. 호스티스가 되기 위해 밤거리에 나갔다가 컬쳐쇼크를 받은 모콧치가 엄마의 전화를 받고 집으로 돌아오는 꽤나 훈훈한 장면에 삽입. 엔딩씬은 일본의 아동 애니메이션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의 엔딩인 인간이란 좋겠네의 패러디. 노래 중간에 뜬금없이 지나가는 아헤가오가 압권이다.# 함대 컬렉션의 유명 동인작품인 '밤의 오룔 크루징 안녕'에 패러디 되었다.

6화의 엔딩곡은 일본의 밴드 JITTERIN'JINN에서 1990년 발매한 싱글 수록곡인 일본의 국민가요 <여름 축제(夏祭り)>의 커버곡. 오늘의 5학년 2반에서도 3번째 엔딩으로 커버한 적이있다. 노래에는 특이하게도 보컬로이드 하츠네 미쿠를 사용했다.

엔딩곡은 아니지만 10화 마지막 부분에는 <일상의 반짝임(日常キラリ)>이라는 곡이 삽입되었다. REMI가 불렀다.

11화의 엔딩곡은 <(そこらの着ぐるみの風船と私)>, 2, 5화를 부른 Velvet.kodhy가 μ(뮤)와 함께 불렀다. 엔딩 영상은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나쁘지 않아'에서 스마트폰안의 내용과, 분위기를 바꾼 것.

3. 회차 목록[편집]


회차
제목[3]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TVA
喪1
モテないし、ちょっとイメチェンするわ
인기도 없고 조금 변해볼까

요시오카 타카오
(吉岡たかを)

오오누마 신
후루카와 히데키
(古川英樹)
쿠스모토 유코
(楠本祐子)
타카하라 슈지
(高原修司)
하세가와 미치오
(長谷川亨雄)

日: 2013.07.09.
韓: 2013.07.11.

喪2
モテないし、昔の友達に会う
인기도 없고 옛날 친구나 만나볼까

히라바야시 사와코
(平林佐和子)

진보 마사토
하세가와 미치오
혼다 타츠오
(本田辰雄)

日: 2013.07.16.
韓: 2013.07.18.

喪3
モテないし、悪天候
인기도 없고 악천후

세키네 아유미
(関根アユミ)

타마무라 진
(玉村 仁)

핫토리 켄지
테라오 켄지
(寺尾賢治)

日: 2013.07.23.
韓: 2013.07.25.

喪4
モテないし、ちょっといい夢見るわ
인기도 없고 좋은 꿈이나 꿀까

이카미 타카요
(伊神貴世)

토쿠모토 요시노부
(徳本善信)

사이토 케이코
(齊藤佳子)

日: 2013.07.30.
韓: 2013.08.01.

喪5
モテないし、スキルアップしてみる
인기도 없고 스킬업 할까

니시타 마사요시
(西田正義)

이와모토 야스오
(いわもとやすお)

미야지마 히토시
(宮嶋仁志)
金子国邦

日: 2013.08.06.
韓: 2013.08.08.

喪6
モテないし、花火に行く
인기도 없고 불꽃놀이 간다

세키네 아유미
나가오카 치카
(永岡智佳)

오가와 이치로
(小川一郎)
카츠마타 히로시
(勝亦 祥)

日: 2013.08.13.
韓: 2013.08.15.

喪7
モテないし、夏休みを満喫する
인기도 없고 여름방학을 만끽하다

코시바 준야
(小柴純弥)

타케모리 유카
(竹森由加)
하세가와 미치오

日: 2013.08.20.
韓: 2013.08.22.

喪8
モテないし、見栄をはる
인기도 없고 허세 부리다

히라바야시 사와코
타마무라 진
오오시마 미와
(大島美和)
혼다 타츠오
핫토리 켄지

日: 2013.08.27.
韓: 2013.08.29.

喪9
モテないし、夏が終わる
인기도 없고 여름이 끝나다

이카미 타카요
토쿠모토 요시노부
사이토 케이코
日: 2013.09.03.
韓: 2013.09.05.

喪10
モテないし、二学期が始まる
인기도 없고 2학기가 시작되다

요시오카 타카오
니시타 마사요시
토쿠모토 요시노부
쿠루베 히로코
(空流辺広子)

日: 2013.09.10.
韓: 2013.09.12.

喪11
モテないし、文化祭に参加する
인기도 없고 학교축제에 참가하다

나가오카 치카
타케모리 유카
오가와 이치로
핫토리 켄지

日: 2013.09.17.
韓: 2013.09.19.

喪12
モテないし、将来を考える
인기도 없고 장래를 생각하다

진보 마사토
후루카와 히데키
하세가와 미치오
혼다 타츠오

日: 2013.09.24.
韓: 2013.09.26.

OVA
喪13
(OVA)

モテないし、謎めいてみる
인기도 없고 망설여보다

요시오카 타카오
타니가와 니코
[각본원안]
(谷川ニコ)

토쿠모토 요시노부
나카니시 카즈야
(中西和也)
사이토 케이코

日: 2014.10.22.
韓: 미방영


  • 에피소드별 원작
    • 喪1: 1화, 2화, 4화
    • 喪2: 3화, 7화, 9화
    • 喪3: 23화, 5화, 25화
    • 喪4: 26화, 24화, 8화, 9.5화(특별편)
    • 喪5: 10화, 22화, 28화
    • 喪6: 6화, 11화, 12화
    • 喪7: 13화,17화, 1권 보너스 페이지
    • 喪8: 14화, 15화, 16화
    • 喪9: 29화, 32화, 18화
    • 喪10: 19화, 27화
    • 喪11: 20화, 21화
    • 喪12: 22화(앞부분), 31화, 34화, 3권 보너스 페이지, 1화
    • 喪13(OVA): 오리지널

4. 엔드 카드[편집]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엔드 카드 문서 참고.

5. 패러디 일람[편집]


사실은 결혼 못하는 남자의 패러디 버전이라고한다,,,

원작에서도 기존의 매체를 패러디하고는 했지만, 애니화되면서 패러디의 강도가 한층 심화되었다.

전체
엔딩에서 등장하는 토모코의 휴대폰 이어폰 꽂이에 야루오.
다음 화 예고는 비밀결사 매의발톱단풍 그림체로 진행된다.
喪1
JK라는 글자가 뜨는 장면과 연출이 은하선풍 브라이거의 오프닝에서 J9 로고가 뜨는 장면.
토모코가 인터넷을 검색하는 장면은 데스노트 애니판에서 야가미 라이토가 처음으로 노트로 사람을 죽여나가는 장면과 구도가 일치한다.
즐겁게 떠드는 클래스메이트들을 보면서 토모코가 하는 소리가 "간츠의 성인이나 기생수의 시마다 히데오가 나타나서 다 죽여버렸으면 좋겠다." 이후 등장하는 토모키가 읽고있는 만화책은 아라크니드다.
喪2
토모코의 망상 소재는 어떻게 봐도 Fate 시리즈. 원작에서도 언급되지만, 애니판에서는 망상 내용까지 디테일하게 묘사되었다(…) 마력 공급 직후의 모습은 야무치의 사망씬 패러디.
하츠시바가 쌀쌀맞게 대한 후, 토모코는 교실로 "싫은 녀석, 싫은 녀석, 싫은 녀석…" 하면서 돌아가다가 하츠시바가 모는 자전거를 타고 언덕 위까지 올라가게 되는 거 아닌가? 하는 망상을 한다. 주제가까지 틀어주는데, 아무래도 뚱보인 하츠시바가 자전거를 몰다 보니까 등에서 수증기가 피어오르고, 그와 같이 가속하는 주제가가 압박스럽다.
유우와 토모코가 만화책을 보는 장면에서 토모코가 보는 책은 월간순정 노자키 군.[4][5]
하츠시바가 있는 만화 연구부에 걸린 포스터의 일러스트는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6권의 표지 일러스트이다.
喪3
초반에 교과서 놓고 온 것을 숨기려고 할 때 사키 -Saki-의 스텔스 모모 패러디이다.
"농구 만화처럼 땀을 흘린다"는 언급에서의 자료화면은 슬램덩크.
체육시간에 존재감이 없는 나머지 쿠로의 농구 드립이 나온다. 환상의 식스맨 드립에, 본인까지 자료화면으로 등장하여 확인사살.
토모코는 체육 시간에 저격수가 되는 망상을 하는데, 그 모습이 묘하게 이름의 글자 순서만 다른 모 중령님을 닮았다.
감기에 걸린 쿠로키의 방에서 계속 있어주겠다고 하는 장면은 엔젤비트의 히나타 히데키의 패러디.
喪4
H한 꿈을 꾸는 방법의 설명문이 우주를 배경으로, 위가 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올라간다.
귀여운 팬티를 사자고 결심했을 때의 묘사가 드래곤볼. 저의 팬티는 5300엔입니다 드립에, 애니판 방영 당시의 TV 화면 비율인 4:3까지 그대로 재현하였다.
토모코가 집에서 하다가 쓰러져 잠든 게임은 어떻게 봐도 알몸집사.
喪5
아방 부분에서 토모코가 보는 프로에 등장하는 '이런이런'이라는 말버릇을 가진 남학생과 말수가 적고 무뚝뚝한 말투를 구사하는 무표정 외계인 여자아이는...
토모코가 망상하는 캬바쿠레에서 혼자 못난 자신은 각각 AKIRA의 실험체 아이들과 야무챠 사망씬의 패러디. 야무치 장면은 2화에 이어 또 나왔다.
喪6
토모코가 플레이한 오토메 게임은 노래의☆왕자님♪의 패러디.[6]
잡지를 보면서 내용을 읽는 장면의 배경에 니코니코 동화의 코멘트가 날아다닌다.
오토메 게임에 열중하는 토모코가 중간에 샤프度를 시전한다.
"내 옆에, 머리에 개미를 기르는 여고생이 있어…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고 생각하겠지만… 나도 모르겠어"토모코가 도서관에서 읽던 책의 제목은 분노의 오렌지. 노벨 문학상 수상자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를 패러디했다.
집에 돌아가는 길에 캔콜라를 마시는 동작은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카츠라기 미사토가 맥주 마시는 모습을 패러디.
옥상에 올라가면서 흑백무늬의 계단을 올라가는 연출과 문을 열은뒤 카메라워크. 그리고 독백부분 연출은 틀림없는 이 작품.
喪7
토모코가 자주 시청하는 동영상 사이트 헤라헤라 동화.
TV에서 틀어 주는 애니는 각각 1일째 마녀 배달부 키키, 2일째 명탐정 코난, 3일째 키테레츠 대백과.
喪8
'모모코'라고 불리자 기뻐하는 토모코의 정신상태가 니코니코 동화의 코멘트로 표현된다. '모모코' 탄막이 점점 두꺼워지는 것이 포인트. 토모코가 도서관에서 도게자하는 장면에서 키이짱이 책장 사이를 달려가는 모습은 영락없이 마마마의 오프닝 커넥트의 장면 패러디.
토모코가 하는 카드 게임은 매직 더 개더링. 토모코의 덱은 순수 흑덱이며, 사용한 카드 중에 소린의 복수를 마나 비용과 일러스트 구도까지 그대로 패러디한 카드가 있다. 거기에 텍스트는 상대는 죽는다(…)[7] 참고로 토모코가 상대하던 아이가 사용하던 덱은 그룰(RG)덱으로 추정된다.
주관 방송국이 해당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테레비 도쿄다보니 부정행위를 자제하자는 경고문을 친절하게 넣어주기까지 하였다! 게다가 경고 문구는 마약 관련 광고의 유명한 캐치프레이즈를 패러디.
천사로 각성하는 키짱의 내면에 나타난 황금알 장면은 퍼즐앤드래곤의 패러디.
喪9
유우와 영화 보러 가는 약속을 묘사할 때 일본의 모 배급사 로고의 패러디가 등장.
초반 유우에게 받는 전화 화면은 두말할 것도 없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제레 패러디. 깨알같이 사과가 섞여 들어간 것이 개그.
토모코 어머니가 토모코를 혼내는 장면은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거신병 장면의 패러디.
토모키에게 열폭하는 토모코는 라노베 주인공처럼 "에? 뭐라고?"로 일관할 거냐는 드립을 친다. 그 라노베라 함은 당연히…
"남동생 주제에 바보 취급하고 말야! 뭐가 수험이냐, 청소해라 임마!" 원작의 구도까지 완벽 재현.
동생을 갈구다가 엄마한테 혼나고 자기 짐을 정리하러 갔을 때 누나보다 뛰어난 동생이 어디있냐며 켄시X를 언급한다. 배경에 나오는 북두칠성과 모 작품 풍으로 등장하는 토모키는 덤.
방 청소 중 캐스터네츠를 발견한 토모코는 모 밴드 만화의 모 니트를 패러디한다.
토모키가 친구와 천문대에 갔다는 얘기를 들은 토모코의 반응은 "새벽 2시에 건널목에 가는 거야? 보이지 않는 것을 보러 가는 거야?"
喪10
쿠로키가 담임이 교실에 들어오며 "오늘부터 여러분은 서로를 죽여줘야겠습니다"라는 선언을 하는 망상을 한다. 이후 배틀로얄법 같은 걸 선포해 버리면 좋을텐데… 하고 덧붙이면서 확인사살. 그리고 깨알같은 "여자라고 방심할 때 낫 같은 무기로…"
스쳐지나가는 "그거 언제 먹을거야?" "지금이지!" 꽁트는 일본의 입시 학원 강사 하야시 슈가 광고에서 한 대사 "언제 할 거야? 지금이지!"의 패러디.[8]
문화동에 대한 토모코의 감상은 "입학 전에는 SOS○이나 이웃사촌○ 같은 게 있어서, 방과 후에는 항상 거기 모이는 망상을 했었지. 참고로, (휘잉)하야 군과 만나는 망상은 리얼리티가 없어서 중 1 때 관뒀고."
토모코가 일상부 생활을 망상할 때 배경이 민폐단장님의 부실과 똑같다. "비교사진"
喪11
중학교 시절 토모코가 준비한 유령의 집 소재는 오쵸모토씨.
경음부에 대한 토모코의 감상은 모 유명 라노베의 바니걸 단장님… 이었다가 모 밴드 만화의 쳐묵부. 이번에는 후배 시점이다.
문화제의 경음부 공연은 한 때 화제가 되었던 어느 단장님의 그것이다.
유우가 토모코가 소개시켜 준 애니메이션을 봤다고 하는데, "중간에 그 아이가 죽을 줄은 몰랐어" "거기서부터 재밌어지니까"라든가, "이번에 극장판 나온대"라든가 하는 점에서 보아 아마도…[9]
喪12
아방 체육관 씬에서 여학생 셋이 추는 춤은 어느 애니의 엔딩에 나온 춤
망상 속에서 찍은 스티커사진에 이번 분기의 모 작품에서 익숙한 경례법을 표현해보고 있다.
중학생 시절 일본 최초의 여성 무기상인이 되겠다는 토모코의 말에 유우는 어느 고전게임[10]의 무기상인을 떠올린다. 이름을 떠올릴 때 토르야옹이라는 효과음과 함께 저쪽에 모자이크된 캐릭터가 숨어있다가 나온다.
극중 갑자기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면서 모 작품의 그것과 비슷한 구도라고 착각한다. 바퀴벌레를 밟아 죽이면서 "인류의 힘을 보여주겠어!"라며 이 만화 드립을 친다. 바퀴벌레 모습도 인간형으로 나온다.
喪13
초반 장면은 아예 대놓고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제레와 이카리 겐도가 회의하는 장면의 패러디. 토모코가 겐도의 깍지 낀 포즈를 짓고 있고, 똑같은 안경까지 쓰고 있다. 주면에 제레의 비석과 같은 구도로 창 비슷한게 떠 있고, 제레 로고의 일곱 눈 대신에 갈매기 일곱 마리가 그려져있다. 토모코 핸드폰에도 대놓고 제레의 로고가 그려져있다. 아마 배경화면이나 통화중 화면으로 설정해놓은 듯하다.



분류

  •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
  • 일본 애니메이션/ㄴ
  • 2013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 SILVER LINK.

관련 문서

  • 사쿠라자키 제3고등학교
  • 시럽(아픈 건 싫으니까 방어력에 올인하려고 합니다.)
  • 필요한 건 시간일 뿐
  • 버스터 아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