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복리계산기 엑셀 - il-ilbogligyesangi egsel

CMA 통장에 돈을 넣으면 일 복리로 돈이 불어나는데,

그것과 정기 예금 등을 비교하고 싶었다.

인터넷을 찾아봐도 일복리 계산기는 없길래~

내가 한번 만들어서 블로그에 써본다!

일복리계산기.xlsx

0.33MB

10년까지 계산 가능하게 해두었다.

노란색 부분을 바꾸면 결과가 나온다.

참고하시라고 이자과세율을 적어뒀으니 원하는 조건으로 비교가 가능할 것 같다.

일일복리계산기 엑셀 - il-ilbogligyesangi egsel

요즘은 네이버페이 CMA통장이 쏠쏠 한 것 같다

  • 금융 & 재테크/주식
  • 2021. 1. 23.

일일복리계산기 엑셀 - il-ilbogligyesangi egsel
I made a thumbnail for free in website "www.forcre.co.kr"

복리의 마법

주식 투자, 또는 CMA는 "복리의 마법"을 누릴 수 있는 대표적인 재테크 수단입니다.

보통 재테크를 시작하면 "1년안에 2천만원 모으기", "3년안에 1억 모으기" 등의 목표를 세우죠.

그런데 복리를 계산하기란 상당히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들을 위해 엑셀을 이용한 "복리 계산기"를 만들어보았습니다.



복리 계산기(백수's 금융 & 재테크).xlsx

0.01MB

일일복리계산기 엑셀 - il-ilbogligyesangi egsel

복리 계산기 사용법

위의 이미지는 "복리 계산기(백수's 금융 & 재테크).xlsx" 파일을 캡쳐한 모습입니다.

이미지의 왼쪽 부분을 보시면 빨간색 테두리로 되어있는 칸이 있습니다.

빨간색 테두리로 되어있는 칸의 (투자금, 수익률, 투자기간)값을 직접 입력하시면, 오른쪽 부분에 (최종 금액, 최종 수익률)결과값이 나오게 됩니다.

위에서 부터 "일", "월", "연" 순서로 복리를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 모두 부자되세요!

여러분 모두 주식 투자, 또는 CMA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꾸준한 수익률, "복리의 마법"을 통해 부자되시길 바랍니다.

CMA 통장? : 종류별로 다양한 이자율!▼

CMA 통장? : "RP형", "MMF형", "MMW형", "발행어음형"

"CMA" 이름만 보면 무언가 어려워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알아보면 굉장히 쉽고 매력 있는 금융상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를 조금이라도 해보신 분들이라면 모두 가지고 있

i-am-baeksu.tistory.com

일일복리계산기 엑셀 - il-ilbogligyesangi egsel

금융문맹, 복리의 마법, 주린이

댓글

<복리계산기>엑셀 복리 계산기, 한번 사용해 보자!

정보 서비스의 45번째 글

안녕하세요? 강파홍입니다.

여러분께서 직업적으로 돈을 버시는 것 말고, 어떤 방법으로 돈을 쉽게 얻으실 수 있을까요?

바로 은행을 이용하면 되십니다.

그렇다면, 단리 이자, 복리 이자 중에 어떤 것이 장기적으로 효과가 더 클까요?

당연히 복리 이자가 효과가 더 클 것입니다. 

복리 이자의 효과, 여러분께서 한 번쯤 알아보시고 싶으셨던 적 있으신가요?

엑셀로 만들어진 복리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여러분께서도 쉽게 여러분의 복리 이자의 효과를 아실 수 있으십니다. 다운받으셔서 사용하실 수 있으십니다.

복리 계산기, 어떻게 사용하는지 한 번 알아볼까요?

복리 계산기를 사용하시기 전에, 사용법을 알아 두시면 더욱 편리합니다.

위의 화면이 바로 복리 계산기의 첫화면입니다.

맨 위에는 원금, 목표액, 수익률, 거래 주기를 입력하실 수 있는 칸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위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원하시는 대로 입력하시면 복리 계산이 됩니다.

단, 목표액은 계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메모용으로 쓰시는 칸입니다.

원금은 1000원이고, 목표액이 10000원일 경우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입력하시면 되십니다.

수익률은 5%이고, 1년에 한 번 거래가 됩니다. 이 때, 수익률에 따라 복리 이자가 붙게 됩니다.

그런데, 처음 10번째의 거래로는 목표액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언제쯤 목표액에 도달하게 될까요? 좀 더 아래로 내려 보시면 되십니다.

아래로 내려 보니, 48번째 거래에서 목표액(증가된 원금 기준)에 도달하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십니다.

즉, 이 경우 1000원이 10000원이 되기 위해서는 48년이 걸린다는 것을 뜻합니다.

48년이면 너무 길지 않을까요? 그러니 거래 주기가 좀 더 짧거나 이자율이 더 높은 은행이 좋은 것입니다. 이 복리 계산기의 경우 96번째 거래까지 나타나 있으니 목표액 도달 예정일을 충분히 아실 수 있으십니다.

또한, 복리 계산기에 보시면 위와 같이 '연 거래 횟수' 와 '연간 수익률' 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연 거래 횟수는 12를 거래 주기(개월)로 나눈 것입니다. 이에 따라 연간 수익률도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여러분께서 원하시는 편리한 기능, 더 제안해 주세요.

여기서, 엑셀 복리 계산기의 또 다른 편리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바로 원금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그래프로 보실 수 있는 기능입니다. 50번째 거래까지 원금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실 수 있으십니다. 아래쪽에 있는 수는 거래 횟수를 뜻합니다.

위의 경우는 처음 원금이 100만 원이고, 이자율(수익률)이 7.5%인 경우의 그래프입니다.

또한, 여러분께서는 복리 계산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 드리는 기능 말고도 몇 가지의 기능을 추가로 더 설정하실 수 있으신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틀 고정입니다.

먼저, 셀 B5를 클릭하신 후, 엑셀의 메뉴 중 '창' 에서 '틀 고정' 을 클릭하시면 위와 같이 틀 고정이 됩니다. 틀 고정 시 아래로 계속 내리셔도 구분선 위의 내용은 보이게 됩니다.

또한, 복리 계산기에서 위와 같이 선이 그려진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그것은 10 회의 거래마다 그린 구분선입니다. 구분선을 통해 거래 횟수를 좀 더 쉽게 알아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또한, 50 회의 거래마다 위와 같은 굵은 선을 그렸습니다.

96회의 거래 결과까지 나타나므로, 굵은 선은 한 번 그린 것으로 충분합니다.

복리 계산기에 사용된 함수

복리 계산기에는 함수가 사용되어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복리 계산기에 사용된 함수를 알아봅시다.

먼저, 가장 중요한 함수는 POWER 함수입니다. POWER 함수는 지수 계산 함수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 '밑' 은 1+D2, 즉 107,5%입니다. 또한, 지수는 G2, 즉 연간 거래 횟수입니다. 즉, 위의 경우 연간 수익률은 107.5%를 네 번 곱한 값에서 1, 즉 100%를 뺀 값이 됩니다.

결과는 약 33.55%가 됩니다.

그렇다면, 거래 주기를 8개월로 하면 어떨까요? 그 때는 연 거래 횟수가 1.5가 됩니다.

즉, 연간 수익률은 110%를 1.5번 곱한 값인 15.37%입니다. 1.5번 곱한다는 것이 이상하지만 그것은 제곱근을 이용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십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거래 주기가 8개월, 10개월 등과 같이 1년의 약수(?)가 아닌 은행은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복리 계산기를 응용해 보자!

자, 이제 여러분의 복리 계산기를 응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원금이 100,000원이고, 목표액이 5,000,000원입니다. 해당 은행의 이자율은 10%, 거래 주기는 3개월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언제 목표액에 도달할 수 있을까요?

위와 같이 원금 란에 10만 원, 목표액 란에 500만 원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수익률에 10%를 입력하신 후 거래 주기 란에 '3' 을 입력하시면 위와 같이 계산 결과가 나타납니다. 계산 결과를 훑어 보시면 목표액에 도달하는 때가 보이실 것입니다.

와, 연간 수익률이 46.41%입니다. 장기적으로 본다면 대박일 것입니다.

결과는 42번째 거래, 즉 거래를 시작하신 후 10년 반 만에 목표액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렇게, 복리 이자의 효과를 보시려면 먼 미래를 생각하셔야 하십니다.

먼 미래를 생각하시지 않고 복리 이자의 효과를 활용하시지 않으신다면, 나중에 후회하시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 사이에 지구가 멸망할 일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십니다.

여러분, 강성파워넷 정예 서비스 센터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행복하세요.

아래에 있는 손가락을 클릭하시면 추천하실 수 있으십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