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을 좋게 하는 방법

현재 위치

눈 을 좋게 하는 방법

2. 카페인과 매운 음식을 차단한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한의학에서 눈 질환은 대개 영양이 부족하거나 염증이 생겨서 생기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때문에 안구 건조증이나 따끔거리는 통증, 충혈(充血) 등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지요. 이러한 증상들은 대개 눈이 메마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기에 이를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강한 이뇨작용으로 눈을 마르게 하는 카페인이나 열(熱)을 올리는 매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지요. 실제로 카페인과 매운 음식 차단만으로도 가벼운 안구 건조증, 충혈은 어렵지 않게 호전됩니다.

3. 피곤한 눈은 쉬게 한다

하지만 아무리 눈에 좋은 것을 먹어도 너무 많이 쓰면 역부족입니다. 때문에 애초에 눈이 피곤할 정도로 만들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요. 이것이 어렵다면 틈틈이 눈이 쉬는 시간을 가지기라도 해야 합니다.

눈에 가장 좋은 휴식은 잠입니다. 숙면하는 사이에 간음혈(肝陰血)이 만들어지고 공급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바쁜 현대인은 충분히 잠을 자기도 어려우니 딜레마입니다. 또한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을 안 보고 살 수 없으니 이 또한 딜레마지요. 때문에 학업과 업무를 무시한 채 이것들을 마냥 피하라고 말씀드리기도 어렵습니다.

어쩔 수 없이 눈이 피곤해지는 상황이 생길 수 밖에 없다면 눈을 쓰면 잠깐 쉬는 것이 좋지요. 컴퓨터 앞에서 1시간 일한다면 45분은 일하고 15분은 쉬는 것입니다. 15분 동안 눈을 감고 있거나 먼 곳을 바라보는 것이지요. 아니면 눈알을 돌리면서 모니터에 집중하느라 긴장했던 눈 근육을 푸는 것도 좋습니다.

4. 눈 마사지와 눈 운동을 한다

이때 눈 마사지를 함께 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손가락 끝으로 눈썹 주위를 지그시 누르면 눈의 피로가 풀리는 것을 느낄 수 있지요. 눈을 감은 채로 눈 주위부터 앞과 옆 이마까지 누르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이는 긴장된 눈 근육을 풀어주고 눈으로 공급되는 혈액 순환을 도와 눈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 효과도 있지요. 또한 근래 많이 소개된 안구 운동법을 꾸준히 실천하여 눈 근육을 직접적으로 단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5. 전신 운동을 한다

끝으로 전신 운동입니다. 한의학에서 눈은 간(肝)과 밀접하고 근육과 연관되기 때문이며 온몸을 쓰는 운동을 통해 혈류 순환을 좋게 한다는 의미도 있지요. '짝눈'이라 부르는 좌우 시력이 현저히 차이나는 부등시(不等視)나 약시(弱視)는 특히 그러한데 전신의 근육과 관계된 경우가 많습니다. 어린이의 경우 눈에 영양을 공급하는 음식과 함께 온몸의 대근육과 소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을 하면 교정 효과가 탁월하지요. 걷기나 가벼운 등산부터 먼 곳의 물체를 보는 테니스와 같은 구기 운동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한의사 정택화의 한방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