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구글호주 들어가기 링크를 찾으시나요? 여기서 바로 확인하세요! 그리고 안 보면 후회하는 구글우회 다른 2가지 방법도 꼭 확인하세요!

 해외 구글 사이트 우회 방법은 다양하게 알아둘 수록 좋습니다. 왜냐하면 언제 막힐 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 들어온 김에 겸사겸사 다른 인터넷 우회 방법들도 알아둡시다.

 방법도 아주 간단하고, 한번 알아두면 다른 곳에도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호주구글 들어가기 링크와 무료 VPN 등 유용한 방법들을 하단에서 확인하세요!

무료 vpn 크롬 우회

추천 포스팅

👉 영국구글 링크 막힘 우회 사이트 바로가기 들어가기


구글호주 들어가기 방법 3가지 

 왜 우회를 할까요? 넷플릭스, 유튜브 등에서 국가별 검색 결과를 다르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검색 결과만 다르 면 모르겠지만, 공개하는 콘텐츠 자체가 다른 경우 때문입니다.

검열이나 판권 문제 등의 이유죠. 예를 들면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영화가 있습니다. 또는 멀쩡한 검색어에 연령 제한이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말끔하게 타파하는 구글 우회 방법 3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구글호주 들어가기 링크 사용하기

 호주구글 들어가기 주소는 국가 도메인에 au가 들어가고 그 뒤에 webph?hl=en이라는 문자가 들어갑니다. 호주 구글에 정상적으로 진입하면 메인 페이지 왼쪽 아래에 '오스트레일리아'라고 적혀 있을 겁니다.

 그런데 궁금하지 않으세요? 똑같이 au가 들어가는 링크를 제가 왜 2개나 준비했는지. 이 2개가 뭐가 다른 지 모른 채 그냥 넘어가 버리면 분명히 다음에는 고생합니다.

 첫 번째 링크에 들어가 보면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지만 더이상 쓸모가 없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멀쩡히 작동했지만 말이죠.

👉 https://www.google.com.au/webhp?hl=en

두 번째 링크는 아직까지는 사용할 수 있지만 언제 막힐 지 모릅니다. 그러니 미리 다른 방법을 알아 두는 게 중요합니다.

👉 https://www.google.com.au/?gl=AU

구글 우회 성공? 실패? 1초만에 확인하는 꿀팁

구글 우회 링크를 반드시 클릭해서 이동해야 합니다. 그리고 왼쪽 하단의 국가명이 우회하고자 하는 곳으로 바뀌었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면 한 번에 이해될 겁니다.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구글호주-막힌-우회-주소

 위의 두 링크 중 첫 번째 링크를 통해 진입한 경우입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들이 영어로 바뀌었다고 해서 우회가 성공한 게 아닙니다. 왼쪽 아래 박스에는 여전히 south korea라고 나오거든요. 그러면 실패한 겁니다.

 두 번째 예시로, 아래처럼 링크를 복사해서 주소창에 붙여넣기 해도 실패합니다.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구글호주-주소창-붙여넣기-결과

이 경우에는 아예 한국 구글로 자동으로 연결되버립니다. 그러니, 정상적으로 우회에 성공하려면 두 번째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야만 합니다.

정상적으로 우회에 성공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보여야 합니다.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호주구글-우회-성공

 다른 글자들이 한글이건, 영어이건 상관 없습니다. 왼쪽 하단의 국가명이 오스트레일리아로 표시되면 성공입니다.

 우회 성공 실패 판별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았으니, 이제 다른 우회 방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나중에 고생하고 싶지 않다면 지금 확인해 두세요!


2.  구글 번역기로 우회하기

 오랫동안 아는 사람들은 써 온 방법이지만, 지금은 막혔습니다. 아직도 이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 블로그들이 많은데, 업데이트가 안 된 거죠.

 그렇다면 막히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요? 있습니다! 아래에서 바로 만나보죠.


3. VPN 사용하기

 자주 해외 구글로 인터넷 우회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가장 편하고 확실한 방법은 vpn을 사용하는 겁니다. 언제 막힐지 모르는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성도 훨씬 낫습니다.

 vpn이란? 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 망의 약자입니다. 자신의 정보를 암호화 해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망을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거죠. 예를 들면 한국의 집에 앉아서 미국에 있는 컴퓨터로 검색하는 겁니다. 따로 우회 링크를 찾아다닐 필요가 없죠?

 vpn에는 무료와 유료가 있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분명하니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3-1. 무료 vpn

장점은 무료라는 것. 끝입니다.

단점은 2가지가 있습니다. 보안이 허술하다는 것, 속도가 느리다는 것. 그리고 단점 중에서도 특히 보안이 상상 이상으로 허술하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vpn 업체들은 자선 단체가 아닙니다. 운영하는 데 돈이 드는데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가 뭘까요? 뒤에서 따로 이익을 챙기기 때문입니다.

 어? 우리는 무료로 쓰는데 그러면 이 업체들은 이익을 어디서 챙기지? 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이 챙기는 이익은 바로 우리의 개인정보입니다. 전 세계의 온갖 업체에 나의 아이디, 비밀번호, 계좌 정보 등을 뿌리는 대신 무료로 vpn을 이용하는 겁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많이들 쓰는 무료 vpn 중 크롬 확장프로그램의 touch vpn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의 이용 약관에는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다른 업체에 제공한다는 문구가 있습니다. 솔직히 약관 한 줄이라도 읽어 보고 동의하는 사람 얼마나 있나요? 이들은 그걸 노립니다.

 나는 개인정보 도용이든 해킹이든 털려도 상관 없으니 무료로 쓰는 게 더 중요하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3-2. 유료 vpn

단점은 유료라는 것. 장점은 보안이 뛰어나고 속도가 빠르다는 것.

 무료 vpn과 정 반대죠? 돈을 낸 만큼 안전하고 성능이 뛰어납니다. 유명한 유료 vpn들은 정기적으로 보안 테스트를 받고 그 결과를 발표합니다. 국가 수사기관이 정보를 요구해도 고객들의 정보를 넘기지 않으며, 강제로 넘긴다고 해도 암호화 되어 있기 때문에 볼 수가 없도록 조치합니다.

 유료 vpn 기업의 수익은 보안 능력을 믿는 고객들의 신뢰에서 오기 때문에, 타 업체에게 개인 정보를 유출하지 못합니다. 한 번이라도, 한 건이라도 유출 되었다면 바로 고객들로부터의 신뢰를 잃어버려서 망할 테니까요.

 가장 좋은 유료 vpn은 expressVPN입니다. 보안, 성능 두 가지 면에서 오랫동안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expressVPN은 30일 100% 환불 정책을 사용합니다. 사용해 보고 마음에 안 들면 언제든지 환불하면 됩니다.

이상 구글호주 들어가기 우회 링크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Skip to content

  • Home
  • 우회
  • 이미지 검색

해외 구글 우회 접속 방법에 대해 나름 심도 있게 알아 보겠음.

HarshLife2022-07-21T19:52:55+09:00

  •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구글 우회 방법이라고 해서 보면 이미 뒤진 방법들인지 대부분 안됨. 그래서, 왜 안되는지 구글의 기본적인 구조부터 알아보고 현시점에서 사용가능한 구글 우회 접속 방법 및 설정에 대해 알.아.보.자.

#1. 왜 구글 우회 안됨? 구글의 구조부터 알아보겠음.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글 우회 검색을 하도록 만든 근본적인 원인, 세이프서치>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사용자 성인인증 없이 구글 검색을 하게 될 때 즈그 맘대로 정상적인 문서들까지 필터링하는 세이프서치라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사용자들에 비해서 굉장히 제약적인 검색결과만 볼 수 있음. 별 거 아닐 수도 있지만 성인인증이라는 게 생각보다 요래조래 거슬리는 부분이다 보니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이 성인인증 우회를 목적으로 해외 구글 주소로 접속하는 방법을 쓰는 사람들도 꽤 있었으나 구글의 기능 업데이트로 인해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 되었음.

사실, 구글의 세이프서치 런칭 이후로 사람들이 새로운 구글 우회 방법을 찾고 기능 업데이트로 인해 못 쓰게 되는게 주기적으로 반복이 되다 보니 나중의 변경사항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또 단순 세이프서치 해제의 목적이 아니라 특정 해외 지역에서 구글 검색결과가 어떻게 보여지는지 제대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단순하게 지금 사용은 가능하지만 언제 못 쓰게 될 지 모르는 영국, 호주, 캐나다 구글 우회 링크 등 뭉탱이로 몇 개 던져 놓고 짤막하게 글을 끝맺는 것 보다는 기본적인 구글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나서 앞으로도 꽤 오랫동안 사용 가능할 만한 우회 방법과 영영 뒤져버린 방법에 대해 나눠서 알아보겠음.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좌측은 한국 구글, 우측은 일본 구글 우회 접속. 검색결과와 문서 수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음.>

먼저, 사용하는 입장에서 대부분이 딱히 생각해 본 적은 없겠지만, 구글은 국가별 구글을 별도로 운영하고 나라별 구글마다 등록된 웹문서에 대한 DB 또한 별개임. 물론, 외형적으로나 기능적으로나 크게 차이는 없어 보여 동일한 하나의 구글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각 국가의 구글마다 동일한 키워드로 검색하게 되었을 때 위 이미지처럼 DB로부터 반환된 문서들의 수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고 검색결과도 다른 것을 볼 수 있음. 게다가, 국가별로 운영하는 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구글 세이프서치 런칭 초창기에는 한국 구글에만 적용되어 해외 구글로 접속할 수만 있다면 세이프서치가 해제되는 이유이기도 했음.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예시로 일본 구글에 접속한 뒤 우회 구글이라고 검색해보면, 위치정보부터 한국임.>

허지만, 현시점의 구글은 과거처럼 한국 구글에 접속한 사용자에 한해서 세이프서치를 강제 적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떤 국가의 구글로 접속한다고 해도 한국을 비롯한 법적/사회적으로 까탈스러운 국가/지역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모두 디폴트 값으로 적용해버리는 방식이라 앞에서 말했던 해외 구글 주소로 어찌어찌 접속하던 방법들은 모두 쓸모없게 되어 버림.

게다가, 내가 한국에 있다고 해도 단순하게 Google.co.uk, Google.co.jp와 같은 해외 구글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한 뒤 검색한다면 그 나라의 검색결과를 온전하게 볼 수 있던 옛적과는 달리, 요즘은 위 이미지처럼 해외 구글 URL은 변동이 없어 보여도 내 한국 IP 주소가 반영된 위치정보 값에 의해 자동적으로 한국 구글의 DB로부터 반환되는 그저 한국 구글의 검색결과를 볼 수 있음. 따라서, 예전의 구글 우회 접속 방법이라고 하던 것들이 어찌어찌 해외 구글로 접속하기만 하면 해결되는 문제였다면, 지금은 IP 주소에 의해 반영되는 위치 정보 값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만이 유효하다고 볼 수 있겠음.

#2. 옛적에나 쓰던, 뒤지신 구글 우회 방법

결국, 한국 사용자라면 한국 IP 주소에 의해 영국, 호주, 캐나다, 러시아, 일본 등의 구글에 인위적으로 접속한다고 해도 검색결과는 한국 구글로부터 받게 되니 IP 주소로부터 반영된 위치정보 값을 변경하지 못하는 방법은 모두 뒤지신 구글 우회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Google NCR 파라미터 사용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흔하게 볼 수 있는 URL 파라미터들. ‘독일 구글 우회’라는 검색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검색환경도 포함하고 있음.>

별도의 문서에 더 자세하게 쓴 적이 있지만 간단하게 알고 넘어가자면, Google.com/ncr과 같이 특정 국가의 구글 주소 뒤에 /ncr이라는 URL 파라미터(또는 매개변수라고 함)를 인위적으로 붙여 사용하던 방법임. 여기서 URL 파라미터는 위 이미지처럼 검색엔진이나 대형 서버에서 사용자의 검색설정/사용환경을 기록 및 활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URL 뒤에 보여지도록 만들어진 것이라고 이해하면 그나마 좋을 것 같고, 역으로 사용자가 이 파라미터들이 뭘 의미하는지 알고 있다면 브라우저에서 URL만 약간 수정하여 검색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음.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NCR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영국 구글 접속. 응, 404 페이지>

그 중, NCR 파라미터는 No Country Redirection의 줄임말로 IP 주소에 의해 사용할 구글의 국가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최근의 구글 환경을 무시하는 역할을 하여, 한국 사용자라고 해도 브라우저에 Google.com/ncr을 입력하기만 한다면 미국 구글 접속과 검색결과를, Google.co.uk/ncr을 입력한다면 영국 구글 접속과 검색결과를 볼 수 있었음. 허지만, 얼마 전의 구글 업데이트 이후로 구글에서 불필요한 URL 파라미터라고 생각해 삭제했는지 일부 영미권을 제외하고 모든 국가의 구글에서 404 페이지를 보여주기 시작했고 나머지도 시간차를 두고 동일하게 404 페이지를 보여주고 있음. 결국, 구글 자체적으로 파라미터를 제거했다고 보면 되니 이미 뒤진 우회 방법이라고 보면 되겠음.

#HL 파라미터 사용

위 URL 같은 경우가 구글 우회 설정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방법의 예시인데, 각 파라미터들이 뭘 의미하는지 알면 전혀 근거 없는 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당연히 우회하는 역할도 하지 못 함. 먼저, Google.co.jp 뒤에 바로 붙는 webhp는 구글의 Web HomePage의 약자로 imghp와 같이 사용자가 어떤 경로로 검색했는지 구글이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사용자에게는 전혀 불필요한 파라미터이므로 굳이 붙여 쓸 필요가 없음.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좌측: 한국 구글 / 우측: Google.co.jp에 hl=en 값을 붙여 검색. 검색결과/위치정보 모두 동일>

그 뒤에 ‘?’와 함께 붙는 HL 파라미터hreflang의 약자로 유래부터 설명하면 복잡하니 간단하게 문서의 언어 설정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임. 다시 말하자면, 일본 구글에서 HL 파라미터 값으로 영어를 의미하는 ‘en’으로 바꾼다고 영미권 구글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 구글을 사용하되 보여지는 인터페이스만 영문으로 바뀌는 역할을 함. 게다가, 앞에서 주구장창 말했던 것처럼 한국 IP를 사용하고 있다면 일본 구글 주소로 접속한다고 해도 자동으로 전환되어 한국 구글로부터 검색결과를 반환 받게 되니 영문 인터페이스의 한국 구글 검색결과를 보는 것과 같음. 결국, 그냥 해외 구글 주소로 접속하는 방법에 쓸 데 없는 미사여구만 붙여 놓은 뒤지고도 한참 지난 방법이니 전혀 쓸모 없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3. 지금도 사용 가능한 구글 우회 접속 및 설정

계속 말한 것처럼 해외 구글 주소로 접속하려고 호들갑 떠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므로, IP 주소로부터 반영되는 위치정보 값에 따라 사용될 구글의 국가가 정해진다는 것을 알고 이 위치정보 값을 덧 씌울 수 있는 방법들을 보면 해결책이 되겠음.

#GL 파라미터 사용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아래 호주 구글 링크로 접속. 메인 페이지의 구글 기념일 로고부터 다른 것을 볼 수 있음.>

앞에서 본 HL 파라미터와 비슷하게 사용되는 URL 파라미터로 GL 파라미터가 있음. HL 파라미터가 언어 설정을 의미한다면, GL 파라미터Geolocation의 약자로 위치정보 값을 말함. 일반적인 구글 검색 시, URL에 보이지는 않는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IP 주소로부터 GL 파라미터 값이 반영되고 이 위치정보에 의해 검색결과를 반환할 국가 DB가 정해진다고 보면 좋겠음.

따라서, 불필요하게 해외 구글 주소를 사용할 필요 없이 범국가적 도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Google.com 뒤에 ‘/?gl=XX’의 형태로 두 자리의 국가코드를 포함해 추가로 입력한 뒤 평소 검색하듯 사용해 보면, 실제 사용자의 위치와 상관없이 설정한 국가의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볼 수 있고 세이프서치도 적용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음. 게다가, GL 파라미터는 HL 파라미터와 함께 못 해도 구글에서 10년 이상은 유지되고 있는 근본 URL 파라미터이니 구글의 변경사항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극히 드물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음. 물론, 앞으로 어떻게 될 지는 구글 맘임.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같은 호주 구글에 좌측은 한국어, 우측은 영어로 GL/HL 값을 반영. 언어 설정의 차이만으로 배치가 달라짐.>

참고로, 같은 국가의 구글로부터 받는 검색결과라고 해도 그 안에서 사용자의 언어 설정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다르게 분류되기 때문에, 단순 세이프서치 우회 목적이 아니라 해외 국가의 검색결과를 제대로 확인하는 것이 목적인 사람이라면 위 URL처럼 GL 파라미터와 함께 HL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해당 국가의 주요 사용 언어를 지정하는 것이 더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음. 그리고, GL 파라미터를 포함한 국가별 간편 링크는 글 하단에 따로 첨부했으니 편한 거 좋아하는 사람은 그 짝 가서 보셈.

#구글 검색 설정에서 국가 변경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좌측: GL 파라미터 사용 / 우측: 지역 옵션을 변경한 구글 우회 설정. 동일함.>

놀랍게도,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구글 검색 설정에서 지역 설정을 변경하는 것 만으로도 GL 파라미터 값을 임의로 바꿔준 것과 동일한 검색결과를 볼 수 있음. 위 이미지처럼 GL 파라미터에 ‘jp’를 반영한 좌측 검색결과와 검색 설정에서 일본으로 지역을 변경한 우측 검색결과가 동일한 것을 볼 수 있고, 당연히 세이프서치 또한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음. GL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게 복잡하다고 느낀다면 그냥 이 짝과 같은 구글 우회 설정만으로도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으니 내키는 취향에 따라 사용하면 되겠음. 설정 방법은 링크된 글에 자세하게 써 놨으니 다시 언급하지는 않겠음.

#VPN 또는 프록시와 같은 우회 서버 사용

구글 우회 안 막힌 방법

<Nord VPN. 구글만을 위한 우회 프로그램이라기 보다는 여러 서비스에서 우회할 필요가 있다면 추천.>

위 두 방법이 외부의 우회 프로그램 없이 구글 자체에서 지정되어 있는 위치정보 값을 변경하는 방식이라고 한다면, VPN과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것은 외부의 중계 서버 IP 자체를 빌리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가장 큰 장점은 물리적으로 해외 IP 주소를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구글의 자체 업데이트로 인한 특이사항이 발생한다고 해도 절대 뒤지지 않을 구글 우회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물론, 무료의 경우 대부분이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해서 동시에 쓰는 형태이다 보니 속도면에서 불편하기 짝이 없고, 구글만을 위해 굳이 유료 서비스를 사용하기엔 돈이 아까우니 필요한 사람만 쓰면 되겠음.

Page load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