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싸게 구입하는 방법 페이백

100만원을 호가하는 휴대전화. 반값에 샀다는 이들의 자랑이 심심찮게 들려옵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페이백’ ‘공짜폰’ 등으로 소비자들을 유혹하는 판매자가 수두룩합니다. 동시에 “뒷돈을 주겠다던 판매자가 잠수를 탔다”며 하소연하는 이들의 글도 보입니다. 편법과 꼼수가 판치는 휴대전화 시장에서 어떻게 하면 ‘호갱’을 피할 수 있을까요? 더스쿠프(The SCOOP)가 휴대전화 판매 사기에 당하지 않는 법을 소개합니다.

스마트폰 싸게 구입하는 방법 페이백
최근 스마트폰을 바꾸려는 이들이 늘면서 대리점의 불법보조금도 횡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최근 휴대전화를 바꾸는 소비자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지난 4월 3일 5G가 국내에 상용화하기 시작하면서 더 그렇습니다. 5G를 이용하려면 5G 전용 스마트폰을 써야 하기 때문이죠. 상용화한 지 69일 만에 100만명을 넘어선 것을 보면 그 수준을 짐작할 수 있겠네요.

국내의 5G 전용폰은 현재까지 삼성전자의 ‘갤럭시S10 5G’와 LG전자의 ‘LG V50 ThinQ’가 유일합니다. 가격은 각각 139만7000원(256GB), 119만9000원(128GB)으로 비싼 편입니다. 5G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이통3사들이 파격적인 공시지원금(이통사에서 의무적으로 공개하는 할인액)을 내놓은 이유입니다.

가령, SK텔레콤 가입자가 삼성 갤럭시S10 5G(256GB)를 무제한 요금제(8만9000원)로 구입하면 공시지원금이 72만4500원에 이릅니다. 정부 정책의 일환인 선택약정요금할인(25%·24개월 기준 53만4600원)을 적용했을 때보다 18만9900원이 더 쌉니다.

이통3사의 경쟁은 대리점까지 퍼졌습니다. 대리점 업계에 불법보조금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는 건 이를 잘 보여줍니다. 대상은 대부분 4G폰입니다. 한 온라인 대리점에선 출고가 89만9800원인 ‘삼성 갤럭시 S10e’를 9만원에 팔고 있습니다. 공시지원금 41만4480원 외에 대리점이 추가로 45만원을 지원하기 때문에 가능한 가격대입니다. 100만원대 폰을 공짜로 파는 곳도 숱합니다. 법적으로 대리점의 추가지원금은 이통사 공시지원금의 15%를 넘을 수 없지만 이를 제대로 지키는 대리점은 많지 않습니다.

불법보조금이긴 하지만 여기까진 소비자가 ‘뒤통수’를 맞을 확률이 적습니다. 주목할 점은 지금부터입니다. ‘비싼 최신폰을 값싸게 주겠다’는 은밀한 유혹엔 무서운 리스크가 숨어 있습니다.

첫째는 ‘페이백(pay back)’ 리스크입니다. 페이백은 판매자가 휴대전화 할부금의 일부를 소비자 계좌로 돌려준다고 약속하고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폐쇄성이 짙은 온라인 카페나 커뮤니티에서 단기간에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서류부터 밀어 넣는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폰을 싸게 살 기회를 놓칠까봐 걱정돼서입니다.

스마트폰 싸게 구입하는 방법 페이백
페이백은 판매자가 잠적할 우려가 있어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사진=더스쿠프 포토]

문제는 판매자가 돈을 돌려주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입니다. 판매자가 잠적한다면 소비자는 혜택없이 정가에 스마트폰을 구입한 셈이 됩니다. 페이백 사기를 당했다면서 신고하더라도 보상을 받는 게 무척 어렵습니다. 대리점이 소비자를 상대로 사기를 쳤다는 것을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김광석 변호사(법무법인 송현)의 설명을 들어보시죠. “페이백을 주겠다는 대리점은 대부분 구두로 약속하거나 ‘ㅍㅇㅂ(페이백)’ ‘ㅎㅇ(현금완납)’ 등 증거로 활용하기 힘든 용어를 쓴다. 게다가 소비자 상대로 대리점이 부당한 이익을 취한 것이라고 보기도 힘들다. 표면적으로는 제값을 받고 판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가개통폰’ 리스크입니다. 가개통은 대리점이 개통실적을 채우기 위해 대리점 또는 제3자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하는 행위입니다. 일부 대리점은 가개통한 폰을 “싸게 주겠다”면서 헐값에 판매하기도 합니다. 이런 사실을 모르는 소비자 입장에선 최신폰을 싸게 샀다며 좋아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가개통폰은 엄연히 ‘중고’라는 점을 잊어선 안 됩니다.

더 큰 문제는 대리점이 가개통폰의 명의를 실제 구매한 소비자로 바꿔주지 않았을 경우입니다. 기존 명의자가 분실신고를 한다면 폰이 ‘먹통’이 될 수도 있습니다. 구매 현장에서 해당폰이 가개통폰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최신폰을 지나치게 싼 값에 팔고 있다면 일단 의심해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미 구매를 했다면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기기고유번호를 입력한 다음 개통이력을 조회해보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싸게 구입하는 방법 페이백

셋째 리스크는 ‘할부기간’에 있습니다. 휴대전화 판매자가 36개월 또는 그 이상으로 할부기간을 늘리려 한다면 의심부터 하는 게 좋습니다. 가령, 100만원짜리 스마트폰의 36개월 할부금은 월 2만7777원으로, 12개월 할부금(8만3333원)보다 부담이 덜합니다. 이통사 요금제에는 휴대전화 할부금도 포함되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선 요금이 저렴해졌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할부금을 총액으로 따지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이통3사의 할부수수료는 연 5.9%~6.1%로 고정돼 있습니다. 36개월 할부 시 소비자는 총 5만847원의 할부수수료(5.9% 기준)를 부담해야 합니다. 더구나 장기 할부는 위약 수수료도 셉니다.

대리점 관계자는 “판매자가 할부기간을 늘려 마치 요금제를 확 낮춰준 것처럼 교묘하게 포장할 수 있다”면서 “온라인에서 기기를 샀다면 수수료율이 얼마인지도 꼭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신용카드 제휴 할인이 포함됐는지 사전에 물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신용카드 제휴 할인은 월 몇십만원씩 특정 카드로 결제하는 것을 전제로 요금제 할인을 받는 것인데, 일부 대리점은 계약서를 쓰기 직전에 카드 제휴 할인이 포함돼 있음을 알립니다. 긴 시간 복잡한 설명을 듣느라 지쳐있는 소비자는 이를 거부하기 힘들죠.

인터넷결합이나 가족결합 등의 할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마치 자신의 대리점에서만 주는 혜택인 것처럼 포장하는데, 나중에 온라인에서 신청하면 언제든지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넷째 리스크는 ‘할인 조건’입니다. 일부 대리점에선 “우리가 제시한 수준의 할인을 받으려면 고가요금제를 몇개월간 이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는 엄연히 불법입니다. 의무사용기간으로 소비자를 묶어 고가요금제를 받아내려는 꼼수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한 대리점 관계자는 “비싼 요금제로 가입자를 유치할수록 이통사로부터 받는 장려금이 커진다”면서 “불법보조금으로 인한 손실을 메우려고 고가 요금제 얘기를 꺼내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스마트폰 싸게 구입하는 방법 페이백

마지막으로 확인해야 할 건 사은품 가격입니다. 대다수 대리점이 라면부터 자전거까지 다양한 상품을 혜택으로 내놓는데, 사은품의 실제 판매가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윤철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국장은 “대리점의 추가지원금이 불법보조금으로 막히자 사은품 위주의 마케팅이 활발해졌다”면서 “대단한 사은품인 양 꾸미는 경우가 많아 스마트폰 구매 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혁기 더스쿠프 IT전문기자

[쓰마트폰 싸게 사는 법]페이백,ㅍㅇㅂ,전산/요금수납에 대한 모든것 정리

페이백이란

'페이백'이란 정상가로 휴대전화를 개통해준 뒤 가입자의 통장에 보조금 성격의 돈을 송금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순수한 페이백이나 전산수납, 요금수납 전부 유사한 의미의 페이백입니다

정부에서는 통신망법에 의거하여 27만원이 넘는 보조금은 불법보조금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법 보조금 사태가 게속되면 지난 3월처럼 이통사에게 영업정지 명령을 내리지요.

그런데 어제도 보면 LG G3와 삼성 갤럭시S5가 할부원금 0, 즉 완전 공짜폰으로 판매가 되었습니다. 아마 보조금이 90만원정도는 쓰였겠지요?.

이럴 때 쓰는 밥법이 [페이백], 또는 암호처럼 [ㅍㅇㅂ]이라고도 합니다

유사한 말로 [전산수납] 또는 [요금수납]이라고도 합니다

전부 불법보조급 사태를 피하고자 하는 판매 현장에서의 어쩔 수 없는 선택입니다

왜냐하면 방통위가 시장조사할 때 고객드의 할부원금을 다 뒤져서 법정보조금을 넘는 것들을 찾아내기 때문에 판매정책 가이드라인에 보면 법정보조금만 적용할 때의 할부원금 하한가들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어기게 되면 몇십만원이  벌금이 판매점이나 파매원에게 떨어지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페이백을 할수밖에 없죠

페이백의 예

할부원금 70만원, '익월말 페이백 45만원' 또는 'ㅍㅇㅂ45'라고 하면

매달 요금고지서에는 할부원금이 70만원이 분할되어 할부기간동안 청구가 되고

개통후 익월말에 명의자 통장에 45만원을 입금시켜주는 것을 말합니다

할부원금이 줄어드는것이 아니죠

전산수납의 예 

전산수납은 할부원금을 그만큼 할인해서 다시 조정하는 것입니다 

할부원금 70만원,전산수납이 45만원이라고 하면 개통시에는 70만원으로 할부원금을 넣고는 3개월후에 45만원을 할인하여 25만원으로 할부원금을 조정합니다.

개통후 3개월간은 할부원금이 수정않되도록 해놓았거든요.

3개월이라는 거치 기간이 있어 구매자도 별로 않좋아하는 케이스입니다

그래서 요금수납을 더 선호합니다

요금수납의 예

할부원금 70만원,익월말 요금수납이 45만원이라 하면

익월말에 판매자가 구매자명의로 45만원만큼 요금선납을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구매자는 통신사 고객센터에 확인하면 선납내용을 확인할 수 있죠

전산수납보다 자주 쓰이고 더 간단합니다

페이백 받는 방법

페이백을 못받는 경우는 거성모바일 사건처럼 아예 작정하고 페이백 먹튀 사기를 친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거성모바일의 페이백 보조금 먹튀 사건(자세한 뉴스는여기참조)

2013년에 약 4천명으로부터 보조금을 나중에 준다고 하고서는 페이백을 제대로 해주지 않고 먹튀한 거성모바일 사건이 있었습니다. 보도상으로는 약 23억원에 해당하는 큰 페이백 먹튀사건이었는데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휴대폰을 판매하면서 불법보조금(정부의 가이드라인을 벗어난 보조금)을 구매시 직접 지급하지 않고 일정기간 이후에 지급한다고 약속하고는 실제로 이를 이행하지 않은 사건이었습니다

또는 판매점이 폐업하거나 판매원이 고의로 페이백 사실을 숨기고 이를 편취하고 퇴직하는 경우등이 있습니다

2003년 거성모바일 사건이후 아직까지 인터넷상에서의 그런 대규모 페이백 먹튀는 일어나지 않고 있습니다만 소소한 먹튀 사례들은 역시 발생하고 있습니다

페이백시 유의해야 할 페이백 유형

3년 할부약정에 2년 도래시 페이백 : 실제 제게 TM으로 온 어느 업체가 제시한 페이백입니다

할부약정기간 분할하여 매달 페이백

페이백 규모가 큰 경우 : 거성모바일의 경우 페이백이 65만원에 이르렀습니다

정상적인 페이백 기간은 익월말에서 3개월 이내가 가장 많습니다

페이백으로 구매시 확인해야 할 사항

먼저 인터넷이나 홈쇼핑, TM,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입시 페이백에 대한 조건들을 분명한 증빙을 확보해놔야 합니다

인터넷의 경우 화면 캡쳐나 TM의 경우 녹취, 패이백에 대한 지급일정 등의 사진등이 필요합니다

페이백으로 구매시 어느정도 신뢰성이 확보된 업체에서 구매하는것이 좋습니다. 이터넷의 경우 자유계시판등을 확인해보면 그 히스토리들을 잘 알수 있죠

페이백 지급이 늦추어지는 경우 또는 연락이 않되는 경우

27만원이 넘는 불법보조금으로 구매했다고 해서 구매자까지 범법자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페이백은 불법보조금 무관하게 사인간 계약으로서 판매점은 구매자에게 이를 지급하여야 할 의무가 있죠

약속한 기일보다 3~4일동안 입금이 되지 않으면 미래부에 바로 민원제기하면 됩니다

(미래부 민원제기홈페이지)

미래부에 민원이 접수되면 미래부는 통신사에 이관을 하고 통신사는 대리점에 통지를 합니다. 대리점은 해당 판매점에 이 사실을 통지하여 지급을 하도록 하죠

따라서 사전에 페이백에 대한 증거를 확실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스마트폰 싸게 구입하는 방법 페이백

여러가지 방법으로 페이백이 해결이 않되어 페이백 먹튀의 피해가 확실해지는 경우에는

·         판매시 약속한 회선유지기간(최근에는 6개월)이나 요금제 의무사용기간(3~4개월)을 지키지 않고

·         요금제를 낮은 요금제로 바로 낮추거나

·         의무유지기간내에 타 통신사로 번호동하거나 유심기변하여 중고폰으로 판매할수도 있습니다

·         페이백의 피해가 없이 일상적으로 이러한 약속 위반을 하게 되면 판매자가 소액재판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페이백은 대리점이나 판매점의 어쩔 수 없는 선택입니다

페이백은 정부와 통신사의 정책 미스를 대리점이나 판매점에 전가하는 행위의 결과입니다

정부가 정말 법정 보조금을 초과하는 불법 보조금을 지급을 금지하려면 확실하게 해야 합니다

삼척동자도 보조금 27만원만 쓴다고 하면 웃을 지경이지요

현실성이 없는 법정 보조금 단속을 할수 없다면 규정도 폐기해야합니다

또한 보조금 대란을 이으키는 원천은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아니죠

바로 이동통신사입니다

어제 저녁에 G3와 갤럭시 S5에 보조금을 90만원을 쓰고는  개통은 할부하한가 이상 가이드 개통하라고 지시하고, 페이백이나 보조금 파파라치에 걸리면 30만원에서 500만원에 이르는 벌금대상이 되게 만드는 이게 바로 문제입니다

페이백은 스마트폰을 싸게 사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구매하실 때 잘 판단하여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