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Home » 워드프레스 기본 » cafe24에서 계정 초기화 및 워드프레스 설치

Last Updated: 2018년 1월 4일 | 12개 댓글

국내에서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카페 24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것 같습니다. 개인 입장에서는 월 500원짜리나 월 1100원짜리 상품을 이용하면 테스트 복적으로 저렴에게 이용할 수 있어 좋은 것 같지만 트래픽이 증가하고 방문자 수가 많아지면 오히려 비용이 더 많이 드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Bluehost와 Siteground 등의 해외 호스팅에서 호스팅되는 블로그를 운영하거나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해외 호스팅만 이용하게 되네요.

이 글에서는 카페24에서 자료를 백업하고 계정을 초기화한 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이 글에서 워드프레스 설치는 카페24에서 설치하는 방법일반적인 상황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려면 아래의 "4. 일반적인 상황에서 워드프레스 설치하기"를 곧바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웹호스팅 서버가 아닌 로컬 컴퓨터에서 Bitnami, Xampp 등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경우 여기를 참고하세요. MAMP에서의 워드프레스 설치는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DB 및 데이터 백업

계정 초기화하기 전에는 가급적 자료를 백업할 것을 권장합니다. 자료 백업 방법은 Duplicator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다른 사이트로 이전할 때 매우 편리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카페24에서 제공하는 백업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uplicator를 사용한 백업 방법은 여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DB와 데이터를 백업하려면 먼저 Cafe24 사이트에서 로그인하고 나의서비스관리를 누릅니다. 그러면 왼쪽에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그림과 같이 두 가지 백업 모드가 있습니다. 아래에 있는 DATA&DB복원/백업은 매일 백업되는 자료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습니다. 별다른 작업을 한 적이 없다면 이 메뉴를 사용하여 백업하시면 되고, 오늘 사이트에서 새로운 작업을 한 적이 있다면 백업받기/올리기 메뉴를 사용하여 최근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백업받기/올리기 메뉴에서 백업을 하면 자료는 www 외부에 저장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DB는 www 바로 아래에 저장되고 데이터는 DataBackup 폴더에 저장됩니다. 백업한 파일을 로컬 컴퓨터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합니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FTP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FTP 사용법은 인터넷에 검색하면 많이 나오므로 생략하겠습니다. 저는 주로 Filizilla(파일질라)를 사용하고 있는데, 무료이면서도 기본 기능에 충실하여 괜찮은 것 같습니다.

2. 계정 초기화

계정 초기화는 DB나 데이터 또는 둘 모두를 최초 신규 설치된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입니다. 왼쪽 메뉴에서 "계정초기화"를 선택하면 계정초기화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세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DATA, DB 모두 초기화를 누르고 FTP 비밀번호와 DB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 초기화 신청을 누르면 계정이 초기화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초기화 후에는 데이터 및 DB 복구가 불가능하니 중요한 데이터와 DB는 반드시 별도로 백업을 한 후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반드시 비밀번호 옆의 확인을 눌러 "비밀번호가 확인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된 후에 "초기화 신청"을 눌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비밀번호를 확인하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제 FTP에 접속해보면 완전히 초기화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hosting_index.html 파일은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3. Cafe24에서 워드프레스 설치하기(업데이트)

Cafe24에서 프로그램 자동 설치를 통해 워드프레스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카페24에 로그인한 후에 "나의서비스관리"를 누르고 왼쪽 패널에서 계정관리 아래의 "프로그램 자동 설치"를 선택합니다. ("워드프레스 테마 설치"를 선택해도 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표시되는 화면에서 워드프레스 설치 경로를 선택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설치 경로는 www(루트)나 www/wp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둘 중에 아무거나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www/wp를 선택할 경우 워드프레스 경로가 www.abc.com/wp 형식이 됩니다. 이 경우 "워드프레스 주소 변경으로 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 해결" 글의 "워드프레스 사이트 주소를 하위 폴더에서 루트로 변경하기" 부분을 참고하여 수정을 해주어야 www.abc.com 형식으로 입력해도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설치 경로를 입력했다면 맨 아래의 "설치하기"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만약 설치되어 있는 워드프레스가 있다면 위에서 설명한 "계정 초기화"를 수행한 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4. 일반적인 상황에서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일반적인 환경에서 워드프레스 설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설치할 수 있습니다. (Cafe24의 경우 위에서 설치한 단계에 따라 설치해도 되고 이 단원에 설명된 단계를 통해 설치해도 됩니다.)

  • 워드프레스 파일 다운로드
  • 압축 해제한 워드프레스 파일 업로드
  • wp-config.php 정보 수정
  • 설치
  • 설치 후 작업

워드프레스 파일 다운로드

이제 본격적으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볼까요? 먼저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해야겠죠?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한글 버전은 https://ko.wordpress.org/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영문 버전은 https://wordpress.org/download/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원하는 언어 버전을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언어는 설치 후에도 변경이 가능합니다.)

압축 해제한 워드프레스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받은 파일은 zip 파일 형식입니다. zip 파일의 압축을 풉니다. (압축 해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리라 생각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반디집이나 7-zip을 추천합니다.)

이제 다시 FTP에 접속하여 방금 압축을 푼 파일들을 웹호스팅 서버에 업로드합니다. (추가: /www 폴더 아래에 업로드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위에서 다운로드받은 WordPress 파일(예: wordpress-4.1.1-ko_KR.zip)의 압축을 해제한 폴더 내에 위치한 모든 파일들을 Root 디렉토리(또는 원하는 경우 하위 디렉토리)로 업로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저는 wordpress-4.1.1-ko_KR/wordpress 폴더 내의 모든 파일을업로드했습니다. (그리고 www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hosting_index.html 파일은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wp-config.php 정보 수정

(참고로 이 부분에 설명하는 wp-config-sample.php 파일의 이름 바꾸기 작업과 아래에 설명하는 wp-config.php 파일 수정 작업은 워드프레스 파일들을 FTP로 업로드하기 전에 수행하셔도 됩니다.)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면 wp-config-sample.php 파일의 이름을 wp-config.php로 변경합니다. 파일 이름 변경 방법은 이 파일을 마우스로 선택한 후에 다시 한번 마우스로 클릭하면 이름을 변경할 수 있도록 바뀝니다. 또는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이름 바꾸기"(또는 "Rename") 등의 메뉴를 선택하여 바꾸시면 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wp-config.php를 편집해야 합니다. FTP에 접속한 상태에서 wp-config.php를 선택한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상황 메뉴(Context menu)가 표시되는데, "편집"(영어로는 "Edit")과 관련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파일질라에서는 "보기/편집"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면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서 wp-config.php 파일이 실행됩니다. 많은 경우 메모장이 실행될 것입니다. (해당 FTP 클라이언트에서 에디터 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위에 그림에서 노란색으로 하이라이트된 부분을 수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 DB 이름
  • DB 사용자 이름
  • DB 사용자 비밀번호

이 세 가지 정보가 필요합니다(이 정보들은 웹호스팅을 신청하면서 받는 이메일에 나와있을 것입니다). 정보를 수정한 후에 저장하고 서버로 업로드하면 설치 준비가 완료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이제 인터넷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합니다(예: www.abc.com 또는 www.abc.com/wordpress). 그러면 워드프레스 설치 화면이 표시됩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만약 설치 화면이 안 나오는 경우에는 http://사이트주소/wp-admin/install.php를 입력해보시기 바랍니다.
위 화면에서 사이트 정보와 관리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관리자 계정을 만듭니다. 그리고 다음을 누르면 설치가 완전히 완료됩니다. (혹시 데이터베이스 연결중 에러와 같은 오류가 나오면 wp-config.php에 입력한 정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설치 후 작업

설치가 성공적으로 끝났으면 "로그인"을 클릭하여 관리자 화면(대시보드/알림판)으로 진입하여 원하는 작업을 하실 수 있습니다. 테마를 변경하거나 설치하고 필요한 플러그인을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추가:
설치 후 기본적인 작업(테마/플러그인 설치/메뉴 만들기 등)에 대한 내용은 "워드프레스 설치 후 기본적인 작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마치며

워드프레스 설치는 컴퓨터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분명 큰 도전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작정 설치하고 삭제하는 작업을 반복했던 것이 기억이 나네요. 설치 작업을 위해서는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압축을 풀고 FTP에 올려서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경험있는 사용자에게는 기본적인 것이지만, 컴퓨터에 대해 전혀 모르는 분들이라면 녹록치 않은 작업일 것입니다. 그래서 많은 웹호스팅 업체에서 신청 단계에서 워드프레스 설치를 옵션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 카페24의 경우 워드프레스는 www 또는 www/wp 하위 폴더 중 하나에 설치하도록 옵션을 제공합니다. 잘못하여 www/wp를 선택한 경우, www.abc.com 형식이 아니라 www.abc.com/wp 형식으로 입력해야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1) 계정 초기화를 하고 위의 작업을 통해 워드프레스를 다시 설치하시거나, 2) /www/wp/ 아래에 있는 index.php 파일을 ftp를 통해 컴퓨터로 다운로드한 후에, index.php에서 경로를 수정(아래 그림 참조)한 다음 루트 디렉토리(/www/)에 업로드하면 재설치 절차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wp/를 붙이지 않고 접속이 가능합니다. (추가: 워드프레스 사이트 주소를 하위 폴더에서 루트로 변경하기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afe24 트래픽 자동 리셋 방법

이상으로 카페24에서 계정을 초기화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워드프레스로 나만의 사이트를 만들어보실 차례입니다.

참고: Windows 7 64비트 컴퓨터에 Xampp를 설치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니 워드프레스의 글(Post) 링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Bitnami에서는 동일한 컴퓨터 환경(Windows 7 64비트)에서 워드프레스가 제대로 작동합니다. Xampp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Bitnami를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 Bluehost 공유호스팅에서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가 실패하는 경우
  •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Multisite) 설치하기
  • 하나의 DB에 여러 개의 워드프레스 설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