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한국 신흥국에 어떻게 충격주나

미국 금리인상 한국 신흥국에 어떻게 충격주나
Ȳ���� Ű�÷��� �Ѱ� ���Ͱ� 28�� ���ǵ� �ܷ��� ���£�� ���� �Ӵ������� ���� '2022 Ű�÷���'���� '�Ҿ����� ���� : ���� ����ũ�� ����ȭ'�� ������ ��ǥ�ϰ� �ִ�. /����=���ּ� ���� hwijpg@

�۷ι� ���÷��̼� ������ �̱��� �ް��� �ݸ��λ� ������ ������ ���⿡ ������. ���ħü�� ���ݵǴ� ���±��÷��̼��� �Ͽ��� ���� ������ �ﴩ����. ���þ�-��ũ���̳� ���� ���Ŀ� �߱��� ����������� ������ ����ũ�� ���ôٹ������� ���踦 ��ģ��. ���ѹα����� ������ �İ��� �ż�����.

�Ӵ������� �۷ι� ���۷��� '2022 Ű�÷���'(K.E.Y. PLATFORM 2022)�� �Ѱ����� Ȳ���� �Ӵ������� �α����� 28�� ������ȸ���� ��ǥ�� '�۷ι� ���� ����ũ �ó�����'��. Ȳ �α����� '�Ҿ����� ����: ���� ����ũ�� ����ȭ'�� ������ �� ��ǥ���� ���� ����ũ�� ���� ���� ���ѹα��� �� ���� 'õ��'���� ���ѱ��� 3�� ü�� ��ȭ �⵿������ ������ ���� �������� ������ڡ�����缺�� �����ߴ�.

�̱� ���÷��̼ǡ��ݸ��λ� ���ﱹ ���� ���� ���ɼ�

Ȳ �α����� �̱��� ���÷��̼ǰ� �̷� ���� �ް��ϰ� �������� �ݸ��λ�, ���ﱹ ���� ���� ���ɼ� ���� ¤����. �״� "�̱��� �ݸ��λ� ���� �۷ι� �ݸ� �߰� ���, ������ ��ҿ� ���� ���ڽɸ� ����, ������ ���� ����� �մ޾� �����Ǹ� �۷ι� ���±��÷��̼����� �̾�����"�� "�� �߰� �������� �� �� �ִ� �ܰ谡 ���ﱹ ���� ����"��� ���ߴ�.

1994�� �̱��� �ް��� �ݸ��λ�� �̾��� �ѱ� ��ȯ���� �� ���ƽþ� ���ﱹ �ں� ���� ���¸� ��ʷ� �����. Ȳ �α����� "�̱��� ���������� �ݸ��� �λ��ϰ� �ڻ� ��Ҹ� �����Ѵٸ� ���� �ݴ������� ����� ���ﱹ���� ����Ʈ�� �߻��� ��"�̶�� "���ﱹ ����Ʈ ���̳밡 �ᱹ �۷ι� ���� ����� �̾��� ��"�̶�� ����ߴ�.

�״� ���� �������� �������� ������ �ߴ� �߱��� ������ �۷ι� ���� ����ũ�� �� �� �ִٰ� �����ߴ�. �� ���� 'ȸ���ڻԼ�'�� �Ҹ��� �ε��� ��ǰ, �׸��� ����, ���� ���� ��ä�� �߱� ���������� ������ź�� �� ���̶�� �����ߴ�. �̱� �ݸ��λ�� �ڻ���ҷ� �߱��� ��ȯ���⸦ ���� ���� �ִٰ� �ߴ�.

Ȳ �α����� "�߱��� ��ȭ �������� dz���ϱ� ������ �������� �߻��� ��ƴٴ� ��ȭ�� �־����� �̹� �߱� ��ȯ�������� �ʿ��ȯ������ �� ���̴� ���� ��ҵǰ� �ִ�"�� "��ȯ������ ��ü �Ը� �߿��� ���� �ƴ϶� �ʿ��ȯ�������� ä��� �ִ��İ� �߿��ϴ�"�� �����ߴ�.

�߱��� ��ģ �ڷγ�19(COVID-19) ������ ���⵵ �����ߴ�. Ȳ �α����� "������ �ڷγ� ���� ��ġ�� Ư�� �۷ι� ���޸� �Ѽ����� �̾�����"�� "�������� �� ���� ȸ���ڻԼ� ������ �̷� �������� �������ٸ� �߱��� ����Ʈ ������ �� ���� �ִ�"�� ���ߴ�.

�׷��鼭 "�ѱ��� ��ü ���� 4���� 1�� ������ ��ŭ �������� ���� �߱� ������ �ΰ��� ���ۿ� ����"�� "�̷� �߱��� �̱��� ġ���ϰ� ���̴� �б� ���ﵵ �츮���� Ŀ�ٶ� ����ũ"��� �����ߴ�.

미국 금리인상 한국 신흥국에 어떻게 충격주나
Ȳ���� Ű�÷��� �Ѱ� ���Ͱ� 28�� ���ǵ� �ܷ��� ���£�� �Ӵ������� ���ַ� ���� '2022 Ű�÷���' ��ȸ���� '�Ҿ����� ����: ���� ����ũ�� ����ȭ'�� ���� ��ǥ�ϰ� �ִ�. /����=�̱�� ���� leekb@

"���þơ��߱� �߶��� ������ �������� ���ѹα� �������� Ȯ������"

Ȳ �α����� ���þ�-��ũ���̳� �������� ���� �������� ���⸦ ����ߴ�. ��ũ���̳��� �ڹ��� ����ȭ�� ���þ� ħ�� ��ʸ� ��� ������ �� ������ �ѹݵ� �� ������ �� Ŀ�� ���̶�� �����ߴ�.

����� �ߡ��� �������� ������ �븳 ��ȭ, ���� ���� ��ȭ �� �ڱ��߽����� ��ε� ����ߴ�. ������ ���� ���� �뼱 �ĺ� ��ʸ� ��� "�ؿ� ���� ������ �ص��� �۷ι� ���÷��̼� �ñ⿡ ���ο� ������ ��ȭ���� �� ��"�̶�� �����ߴ�.

Ȳ �α����� "�� ���踦 �����ϴ� ���ħü�� ������ �ѹݵ� �տ��� ���� ���� �� ���� õ���� �����ߴ�"�� �۷ι� ���� ����ũ�� �¼� �ѱ��� ������ �����ߴ�.

�켱 ���� �� ������ �¼� �ѱ��� 3�� ü���� �ѹ̵����� ��ȭ�ؾ� �Ѵٰ� �����ߴ�. �״� "���� ���߿� ���� ��Ģ�� �������� ������ �ѹ̵��� ��ȭ, �ѡ��� ����ü�� ������ �����ϰ� ������ �ݵ�� �����ؾ� �Ѵ�"�� ���ߴ�.

�� ��° ������ �ѱ��� ��ȣ���� ������ ��������� ������ �����. �״� "���þ�-��ũ���̳� �������� ����(NATO)�������� �ݷ��þơ��߱� �������� ��ġ�������� ���Ľ��� ��Ҵ�"�� "���þƴ� ���� ���� �߱��� ���������� ��ȣ �� �浹�� ���� ������ �پ�� ���ɼ��� ũ�� ������ �� �پ�� �ڸ��� ���ѹα� ���, ��ǰ, ���񽺸� ä�����ν� ���� ���並 Ȯ���ؾ� �Ѵ�"�� �����ߴ�.

������ �� ��° õ���� ����, �ķ���, ������ �� �� ���谡 ������ ������ �ѱ��� ���������� ��� ���ڿ� ���� ������ �ϴ� ���̴�. Ȳ �α����� "źź�� ���� ��� ������ ������ ���� ����� ������ K-���Ĵ��带 Ȯ���Ѵٸ� �� ���� �پ��� ����, ���� �о߿��� �츮 ����� ��ǰ, ���񽺸� �ڿ������� �޾Ƶ��̴� '�ƹ�'(BTS ��)��� �����ϰ� �� ��"�̶�� ���ߴ�.

(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한국 금리가 반드시 오르지는 않는다는 의견이 나왔다. 미국 금리인상이 한국 채권시장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박하일 경희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는 21일 한국은행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전망과 국내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강의는 기자단 뿐만 아니라 강의에 관심있는 한국은행 직원들도 참석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박 교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신흥국의 주가, 환율, 금리 등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금융위기 전과 후로 나눠서 비교한 결과 한국은 금융위기 이후 미국 통화정책 충격에 있어서 금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응이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반면 주가는 하락하고 환율은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비대칭 상황에서 발생가능한 최대손실을 추정하는 'Asymmetric VAR-X' 모형을 이용했을 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미국 통화정책 긴축 시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이 완화시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미국 통화정책 긴축에 주가가 1% 정도 하락하는 반면 완화시에는 0.6% 상승에 그쳤다"며 "환율 역시 긴축시 환율상승이 완화시 환율 하락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신흥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나라별, 금융변수별로 차별화된다고 박 교수는 설명했다.

박 교수는 "거시경제 펀더멘털이 견조할수록 미국의 통화정책 충격의 파급효과가 적다"며 "펀더멘털은 신흥국의 환율과 금리 반응에 중요하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펀더멘털 취약국이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반응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대외채무 비율이 높을수록 환율 및 금리의 반응이 확대되며, 대외부채가 많은 나라의 금리가 상승했다. 외채비율과 주가의 상관관계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개방도는 금융위기 이전에는 환율에 주로 영향을 미쳤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금리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국가 신용부도스와프(CDS)는 높을수록 금리 민감도가 확대됐다.

박하일 교수는 "최근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인상 여부는 결국 고용과 물가 등 경제지표에 달려있다"며 "미국 금리인상은 완만하고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다"고 말했다.

한 한국은행 직원은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시의적절한 주제로 좋은 내용의 강의를 들었다"며 "재미있었고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