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이번 시간에는 한글 2018에서 글자의 장평, 자간, 글자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요즘에 포스팅을 하기 위하여 한글 2018 프로그램을 하루 종일 붙잡고 하나하나 기능들을 확인해보는데 참 잘 만든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전에 쓴 한글 2018 기능에 대한 포스팅도 참고해보면 참 좋을 것 같다. (※ 매일 업데이트 중)

2021.12.27 - [에듀의 도전/한글 2018 배우기] - 한글 글자 모양 설정 창의 "상대크기"는 무엇일까?(한글 2018 배우기)

한글 글자 모양 설정 창의 "상대크기"는 무엇일까?(한글 2018 배우기)

계속해서 한글 2018의 기능들을 하나씩 파헤쳐보고 있다.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워낙 다양한 기능들이 많아서 모든 것을다 다루려면 2022년 대부분의 시간을 투자하여야 무언가 결론이 나지 않을

ksdao.tistory.com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한글에서 장평, 자간, 글자위치 설정하는 방법

장평, 자간을 설정하는 방법은 아마 대학생들이라면 잘 알고 있을 것 같다. 내가 쓴 리포트가 조금이라도 더 풍성해보이게 만드는 마법같은 설정이기 때문이다. 물론 너무 남용을 하면 교수님들도 다 알아채시지만...그래도 살짝만 건들여줘도 리포트가 꽉 차 있는 듯한 느낌이 나는 것은 사실이다. 

필자가 대학생 시절에도 이런 팁들이 많이 있었기에 어떤 교수님은 아예 폰트 크기, 장평, 자간 등 규격을 제시하고 규격을 어기면 감점을 한다는 교수님도 계셨다.

① 장평, 자간, 글자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일단 글자를 작성하기 전이나 후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글자모양(단축키 : Alt + L)을 클릭하여 설정을 해주면 된다. 오늘 배울 세 가지 설정 모두 이 글자모양 안에 있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글자 모양 메뉴

② 장평 설정하는 방법

필자는 '장평'이라는 단어가 한자어인줄 알았다. 근데 다음에서 검색을 해보니 한자사전에 등록되어 있지는 않는 용어였다. 일단 장평이라는 단어의 뜻은 글자의 가로와 세로 비율을 의미한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장평이란 글자가 얼마나 넓적한지를 설정한다고 보면 된다.

그러면 한글에서 어떻게 변하는지 한 번 알아보자. 먼저 장평 변경 없이 기본값인 상태에서 '안녕하세요'를 쳐봤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기본값 100%의 장평

그리고 장평을 200% 수치로 입력하여 설정을 눌러봤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장평 200%로 설정

장평을 200%로 설정하니 상당히 넓적해진 글자를 볼 수 있다. 참고로 글자의 크기는 기본값인 10pt로 동일하다. 다만 장평의 수치를 크게 입력하니 글자의 가로 비율이 넓어져서 넓적해진 글자를 볼 수 있다. 반대로 수치를 작게 하면 글자의 가로 비율이 줄어들어서 홀쭉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넓적해진 글자 모양

③ 자간 설정하는 방법

이번에는 자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자간은 한자로 字間이라는 뜻으로 글자와 글자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자간은 글자 모양에서 -50% ~ 50% 사이의 값을 입력할 수 있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글자모양의 자간

그렇다면 자간을 50%로 설정하면 어떤 모양이 나올까? 아래 그림을 보면 자간 사이의 간격이 많이 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장평과는 달리 글자 크기(10pt)는 변함이 없고, 글자 사이의 간격만 차이가 난다. 자간 수치를 0%이라고 작성을 하면 글자가 다닥다닥 붙어서 보기가 안 좋기 때문에 실제 업무에서는 잘 쓰이지는 않는 것 같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기본값과 자간을 50%로 설정한 값

④ 글자위치 설정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이번에는 글자위치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글자위치는 한글에서 글자를 기본값을 기준으로 하여 좀 더 위쪽으로 위치시키거나 아니면 아래쪽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글자 위치도 글자 모양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글자 위치

글자위치를 -50%로 설정해보았다. 마이너스(-) 값을 입력하면 글자가 기본설정 값보다는 위쪽으로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글자위치 -50%

이번에는 글자위치를 +50%로 설정해보았다. 플러스(+) 값을 입력하면 글자가 기본값보다 아랫쪽으로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글 자간 기본값 - hangeul jagan gibongabs
글자위치 +50%

보통 글자위치는 수학적 기호나 특수 기호의 위치를 입력할 때 쓰이지만 이런 특수 기호의 경우에는 이미 한글에서 입력값들이 다 지정되어 있기에 그냥 기본지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이렇게 오늘은 장평, 자간, 글자위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용어가 낯설어서 그렇지 막상 실제로 해보면 별 거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다음 시간에는 글자모양 - 기본 - 속성 편을 다뤄보도록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