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서론 예시 - geulsseugi seolon yesi

© jakobowens1, 출처 Unsplash

논설문의 구성

1. 서론 - 본론 - 결론 3 단 구성

- 서론 0.2 / 본론 0.6 / 결론 0.2 분량 배분

2. 문장이 새로 시작할 때 첫 칸도 글자수에 포함

- 문장 부호나 한 단락의 끝 문장 뒷부분도 글자수 포함

3. 20칸 짜리 원고지에 60줄 분량 (6장, 1200자)

- 평소 글을 쓸 때도 원고지에 써보면 분량 체크 가능

- 600자의 경우, 서론 120자, 본론 360자, 결론 120자로 작성

- 분량을 정하면 글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4. 학생 개인 파일에 자료 넣어 놓고 글쓰기 향상 관리

© myke_simon, 출처 Unsplash

서론 쓰기

1. 서론은 글의 첫인상이며 앞으로의 글 전개를 암시한다.

2. 읽고싶은 분위기를 내야 한다.

3. 본론에서 다룰 문제의 예비적 상황을 나타낸다.

4. '실상, 현실, 의의' 를 작성한다.

5. 동기유발, 문제 접근, 문제 제기의 내용을 쓴다.

6. 짧게 핵심 내용을 쓰는 곳으로, 본론보다는 쉽다.

(예)

ㄱ. 문제제기 위한 동기 유발 (악법도 법이다)

ㄴ. 문제에 대한 접근 (법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ㄷ. 문제제기 (소크라테스와 우리의 법 정신을 생각해보자)

© jeremyyappy, 출처 Unsplash

서론 시작하는 방법

1. 최근에 있었던 일을 언급

2. 쓰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한 최근의 사건

-관심도가 높아집니다!

3. 주제와 관련된 체험이나 일화를 예로 시작

-호감을 주고 사실감을 나타냅니다.

4. 물음으로 시작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가치는 무엇일까요?

5. 강한 인상이나 한 단어의 문장 제시 (단어, 유명구)

- 세계는 1등만 기억합니다.

6. 속담과 격언을 인용하며 시작

- 뜻을 정확히 알고 사용해야 해요

7. 주제를 언급하며 시작

※ 서론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어요. 꼭 들어갈 내용을 빠뜨리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특히 예시를 많이 보여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kristsll, 출처 Unsplash

서론 작성 시, 주의할 점

1. 거창하게 시작하지 않는다.

2. 잘 모르는 내용은 언급하지 않는다.

3. 상투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4. 주제와 관련된 내용만 쓴다.

5. 한 단락 분량으로 잡고 길어지지 않도록 한다.

6. 문제제기는 필수다.

7. 자신없는 말투를 사용하지 않는다.

- '내가 어려서 그런지....'

- 내 주장을 당당히 쓰고 변명하지 않는다!

© imnoom, 출처 Unsplash

본론 쓰기

1. 본론은 핵심이다.

- 지도할 부분이 많아요!

2. 본론은 소주제로 문단을 짜는데, 문단간 대등해야 한다.

3. 첫째~셋째 로 쓰는 것이 좋다.

4.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쓰면 좋다.

5. 반대의견을 비판하면 좋다.

- 생각이 힘든 과정이기에 사고력 훈련을 많이 해야 해요.

(예)

텔레비전의 긍정적 영향 1-2-결론

텔레비전의 부정적 영향 1-2-결론(제안)

© Media Castle미디어캐슬, 출처 OGQ

본론을 쓰는 다양한 형식

1. 단순 논증형

- ~에 대해 논하라

2. 관계 분석형

- 인과 분석

3. 찬반입장형

- 글쓴이의 입장 묻는 질문

- 모호한 입장을 갖지 않는다

- 찬성 반대가 명확해야 한다

- 양쪽 모두 일리있다고 하면 일관성과 통일성을 해친다

4. 방안제시형

- 대안을 제시하라는 문제

- 분석, 통찰, 종합력 점검

5. 양자대비형

- 장단점을 밝혀 비교하고 대조

© Media Castle미디어캐슬, 출처 OGQ

본론 쓸 때 주의할 점

1. 몇 문단으로 짤 것인지 결정

- 3~4개 문단이 적당

2. 서론의 흐름과 자연스럽게 연결

3. 소주제의 재료로 어떤 진술방식을 할 것인지 결정

4. 통일성과 완결성, 일관성 고려하여 작성

5. 다양한 생각을 제시

© za]-[ra, 출처 OGQ

결론 쓰기

1. 간결하고 분명하게 써야 한다.

2. 성급하게 결론을 맺지 않는다.

3. 1~2줄로 끝내지 않는다.

4. 시간 안배를 잘 해서 마무리를 잘 한다.

5. 과장법을 쓰는 실수를 범하지 않는다.

결론 쓰는 형식

1. 본문 요약

- 작은 주제들을 모아서 단 몇줄로만 작성

- 새로운 주장을 하거나 다른 소리 하지 않도록 지도

- 요약을 하면 글에 안정감을 준다

2. 본문정리 + 제안

-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과제를 제시

- 또는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행동 촉구

3. 본문 강조 + 전망

 

- 요약과 전망, 가능성을 작성

- 가장 선호하는 결말 구성

- 짧은 글에서는 쓰지 않는다

4. 속담, 명언, 고사성어 인용

- 직접 서술이 가장 좋지만, 잘 알고 있는 것들이 딱 부합할 때만 인용

- 적당한 양만 사용하는 것이 좋음

© dmjdenise, 출처 Unsplash

결론 쓸 때 주의할 점

 

1. 간단 명료 하게 작성

2. 서론과 본론을 연결해 힘 있게 마무리

3. 새로운 내용을 작성하지 않는다.

4. 한 문단 분량의 양만 작성

5. 비약을 해서 도덕적으로 서술하려 하지 않는다.

6. 자신감 없는 말을 쓰지 않는다.

- '남들은 달리 말하겠지만...'

7. 초등학생들이 또래 대상으로 제인하는 방식이 좋다.

- 실천가능한 방식을 제안하면 좋아요!

© imnoom, 출처 Unsplash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Thanks, Blessing, and love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설문 쓰기 | 개요작성과 자료수집이 핵심! #논설문쓰기과정#토론내용정리#논술문개요작성#논술과정#자료수집정리#구성및개요작성#집필및퇴고#퇴고의원칙#논술후자기평가​​  (0)2020.07.08토론의 주제 | 논제와 필수쟁점 #디베이트코치#토론의논제#논제선정3단계#토론단계#논제란무엇인가#논제의정의#논제의조건#논제의유형#논제분석#토론의구성원리  (0)2020.07.082020 고1모의고사 | 일정, 시간표 #학력평가#평가원모의고사#6월평가원#9월평가원#2021수능#2020모의고사#2020고1모의고사#모의고사#모의고사연기#수능#국어#국어영역시간표  (0)2020.07.08[고등 국어 문법] 문장의 성분, 문장의 구조 l 문장과 문법 단위, 주성분, 부속 성분, 독립 성분, 문장의 짜임새, 안은 문장, 이어진 문장  (0)2020.07.08지학사 고1국어 l 5.나,너,우리의 말과 글-(1) 점검하며 읽고 쓰기 (논리 너머의 낯선 세계가 깨어난다_이주헌) #데페이즈망의개념과기능#창조적파괴#데페이즈망기법활용사례#마그리트그림의특..  (0)2020.07.08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