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평균 나이 - gang-aji pyeong-gyun nai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거요~"

반려견 키우는 사람에게 자신의 개에게 바라는 것을 물어보면 거의 다 이렇게 대답한다. 함께 하는 삶이 만족스러운 만큼 그들의 짧은 수명이 걱정인 것인데, 다행히 강아지 평균수명이 점차 길어지고 있다.

강아지 평균 나이 - gang-aji pyeong-gyun nai


그렇다면 요즘 개의 기대수명은 어떻게 될까? 또 기네스북에 등재된 최고령 장수견은 몇 살일까? 머릿속에만 맴돌던 궁금증을 풀어보고, 강아지 나이 계산법에 대해서도 정리해 볼까 한다.


< 순서 >

  1. 평균 수명
  2. 가장 오래 산 강아지
  3. 사람 나이 환산 계산법
  4. 마무리

강아지 평균 수명

예전에 비해 반려견 수명이 늘어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가족처럼 애지중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좋은 것을 찾아 먹이고 아플 때 병원 치료도 적극적으로 해주는 분위기가 되면서 우리 댕댕이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강아지 평균 나이 - gang-aji pyeong-gyun nai


사실 예전에는 정보가 부족해서 개가 먹으면 안 되는 음식을 먹고 급사하는 경우도 많았고, 대부분 실외에서 키우다 보니 뜻밖의 사고로 어린 나이에 죽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개의 만성질환에 대한 정보나 노령견 돌보는 방법, 스트레스 관리법 같이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들도 넘쳐난다. 아주 오래전부터 댕댕이를 키워왔던 사람으로서 정말 반가운 변화가 아닐 수 없는데 이런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개의 수명이 지금의 두배까지도 가능해지지 않을까?

행복한 상상은 이만 접고 강아지 평균 수명을 말하자면, 대형견 8-13살, 중형견 10-15살, 소형견 12-17살이다. 안타깝지만 대형견의 수명이 소형견, 중형견에 비해 짧고, 암컷보다 수컷이 조금 더 짧다. 하지만 대형견이나 수컷을 키운다고 속상해할 게 없는 것이 이는 평균치일 뿐 견종의 차이도 있고 환경에 따른 차이가 꽤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좋은 음식을 먹고 건강 관리를 잘 받으며, 매일 산책을 통해 스트레스를 잘 풀고 지내는 수컷 대형견이 좁은 케이지에 갇혀 형편없는 음식을 먹으며 사는 암컷 소형견보다 오래 살 가능성이 훨씬 크다. 잘 돌보면 수명은 길어진다. 다른 걱정 없이 이것만 알고 실천하면 된다.

가장 오래 산 강아지는 몇 살?

기네스북에 등재된 최고령 장수견은 호주에 살았던 블루이라는 강아지다. 견종은 목양견의 일종인 오스트레일리언 캐틀 도그로 1910년 6월에 출생, 1929년 11월에 생을 마감해 무지개다리 건널 때까지 29년 5개월을 살았다. 사람 나이로 환산해보면 대략 186세 정도다.

기네스북에 등재되지 못한 장수견들도 있다. 1986년에 출생해 2016년까지 30년을 살다가 무지개다리를 건넌 메기라는 개로, 이 친구는 출생 기록을 증명할 길이 없어서 기네스북에 등재되지는 못했다.

메기도 블루이와 같은 견종으로 낙농장에서 양 떼를 모는 일을 했는데, 세계 최고 장수견 1,2위가 모두 양치기 개였다는 점에서 강아지가 오래 사는 방법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강아지 평균 나이 - gang-aji pyeong-gyun nai

우선 목양견들은 하루 종일 농장을 뛰어다닌다. 엄청난 운동량으로 신체가 단련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농장에서 살았기 때문에 사료 대신 우유, 고기, 채소, 과일 등 각종 신선한 재료로 만든 음식을 먹을 수 있었다. 이들을 키웠던 견주들의 인터뷰를 보면 음식과 운동, 이 두 가지 외에는 별다른 비법이 없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강아지 장수의 비결은 의외로 간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네스북에 오르지는 않았지만, 앞의 친구들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오래 산 것으로 추정되는 개가 우리나라에 있다. 2009년 당시 36살이었던 흰둥이가 주인공인데, 날짜가 찍힌 어릴 적 사진이나 흰둥이를 돌본 수의사와 마을 사람들의 증언이 일치하고 있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강아지 나이 계산법 (사람 나이 환산법)

대형견, 중형견, 소형견 상관없이 2세까지는 사람 나이 24로 똑같이 계산하면 된다. 하지만 2세 이후로는 계산법이 각각 다르다.

대형견

강아지 평균 나이 - gang-aji pyeong-gyun nai

대형견은 2세 이후 1년을 각 6세로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10세 골든 리트리버는  2세 (24세) + 8세 (6*8=48세)를 더해 사람 나이로 72세가 된다.

중형견

중형견은 2세 이후 1년을 각 5세로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10세 코카스파니엘은 2세 (24세) + 8세 (5*8=40세)를 더해 사람 나이로 64세가 된다.

소형견

소형견은 2세 이후 1년을 4세로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10세 치와와는 2세 (24세) + 8세 (4*8=32세)를 더해 사람 나이 56세가 된다.

마무리

강아지 평균 수명과 가장 오래 산 강아지에 대해 알아보고,  사람 나이로 환산하는 법도 알아보았다. 자료를 보다 보니 강아지 나이 계산법은 여러 가지가 있고 꽤 차이도 난다. 그래서 추정하는 정도로만 활용하는 게 좋을 것 같다. 

강아지 평균수명은? 가장 오래 산 강아지는 몇 살?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인데

요즘은 티브이 광고에서 강아지용 사료나 간식 선전을 심심치 않게 보게 됩니다.

3집당 1집이 애견 가정이라고 하지요. 

이렇게 강아지를 키우는 집이 많아지면서 

내가 키우는 강아지를 더 건강하게, 더 행복하게 키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렇다 보니 이런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자연스럽게 생겨난 변화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이렇게 우리 댕댕이들이 더 좋은 케어를 받게 되면서

강아지들의 평균 수명도 늘어나고 있는 듯합니다.

저희 첫째 강아지는 17년의 수명으로 무지개다리를 건넜는데요.

그 아이가 떠난 지 벌써 7-8년이 되었는데,

그때만 해도 17살의 생을 살다 떠나가는 것은,

오래 잘 살다가는 편이었었지요.

그 아이가 태어난 지가 지금부터 20년도 훨씬 전인데 정말 딱 그때쯤부터

강아지를 좀 더 대우해주고 가족으로 챙겨주는 분위기가 조금씩 생겨났었던 것 같습니다. 

정확 치는 않지만 반려견이란 단어도 그때쯤 생긴 것 같네요.

강아지 평균 나이 - gang-aji pyeong-gyun nai
&nbsp;

생활수준이 좋아지면서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있듯, 

우리 댕댕이의 수명도 늘어나고 있는 것은 정말 좋은 현상이라 생각됩니다.

강아지와 함께 하시는 분들은 정말 공감하실 텐데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소중해지는데, 너무 금방 떠나가는 것...

그게 강아지를 키우면서 가장 마음 아픈 첫 번째 일이니까요.

그럼 통계상의 강아지 평균 수명은 어떻게 되는지 알려드릴게요. 

강아지의 평균 수명은

소형견은 12-17세, 중형견은 10-15세, 대형견은 8-13세라고 합니다.

그러고 보면 이게 언제 적 통계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저희 강아지는 대단히 장수한 것도 아니고 그냥 좀 오래 산 편에 속하네요. 

좀 더 잘해 주었다면 더 오래 살았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그냥 저 수치가 최근에 다시 집계된 계산이길 바라봅니다. 

각설하고, 강아지들의 시간은 사람보다 몇 배는 빨리 간다고 하죠. 

그래서 한 살이 되면 청소년기가 되고,

두세 살 정도면 제일 에너지가 왕성한 청년기가 됩니다. 

그만큼 강아지들이 지루해하지 않고

하루하루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잘 챙겨줘야 할 것 같아요.

사실 장수하는 강아지들의 비결 중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해 주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고 합니다.

언젠가 티브이에서 장수견의 비결에 대해서 나오는 걸 봤었는데요.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이고, 주기적인 운동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정말 최소로 받게 보살펴주는 것.

이게 비법의 전부라고 하더군요. 

그럼 마지막으로 퀴즈 하나 내고 끝마칠까 합니다.

문제 :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강아지의 나이는 몇 살일까요?

강아지 평균 나이 - gang-aji pyeong-gyun nai
&nbsp;

정답 : 기네스북에 등재된 기록으로는 레브라도 레트리버로 29살을 살았다고 합니다.

대형견은 소형견보다 훨씬 평균수명이 짧아서 8-13세인데 정말로 아주 오래 산 셈이지요.

아마도 이 강아지는 사랑을 아주 많이 받으면서 행복하게 살다 가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기록되지 않은... 이보다 더 오래 산 강아지들이 훨씬 많기를 바라봅니다.

더불어 우리 댕댕이들도 오래오래 우리 곁에 함께 하길...

간절히 소망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