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2021학년도 우편발송 서류봉투 표지(부착용) 양식


원서 우편접수 및 제출서류를 등기우편 발송하실 때,
작성 후 대봉투 겉면에 붙여서 발송 바랍니다.


복수지원일 경우 우편을 각각 발송할 필요없으며,
서류 2부를 한 봉투에 넣어 표지에 복수지원 정보를 모두 기입하여 발송하시면 됩니다.


반드시 등기우편으로 발송바라며,
우편 도착 후 서류확인까지 3~5일정도 소요됩니다. (토·일요일, 공휴일 제외)

제출완료여부는 [조회서비스 > 지원자 > 제출서류조회]에서 가능합니다.


※ 양식을 임의로 수정하지 마십시오.

 
※ 잘못된 정보 기입으로 인한 불이익은 본 대학교에서 책임지지않습니다.

업무를 보다 보면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우편을 발송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DM발송을 전문으로 하거나 우편 업무가 많은 곳이라면 우편물 인쇄에 많은 공을 들이겠지만 

일반 업무다 보니 가끔 우편물을 발송해야 할 때 마다 자필로 직접 쓰거나 주소 양식을 찾아 

라벨지를 이용한 폼 인쇄 후 우편을 발송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주소 출력을 위한 라벨지가 없을 경우에는 우편용 소봉투에 주소를 바로 인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 봉투 인쇄가 가능 한 프린터가 있다면 별도의 라벨지 없이 바로 출력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첨부파일 양식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소봉투라벨.hwp

파일을 다운로드 후에 한글을 실행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그리고 사무실 프린트에 아래처럼 봉투를 넣고 인쇄를 누르면 됩니다. 

기존 A4지를 공급하는 트레이에 A4용지를 제거하고 

트레이가드를 소봉투에 맞게 고정 하시면 인쇄가 가능 합니다.

아무런 인쇄가 없는 봉투였다면 더 깔끔하게 보였겠지만 

기존 사무실에 있는 봉투가 기본 사항이 인쇄가 되어 있어서 우편번호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 미세조정을 했지만 완벽하게 맞추기가 힘드네요.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 후 보관하셨다가 본인에게 맞게 수정하신 후 

아쉬울 때 찾아 쓰시면 유용할 것 같습니다.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편지를 쓰는 일이 없어지다 보니 편지봉투에 우편 양식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보내는 사람을 위에 적는 것인지 아래에 적는 것인지 또 우편번호는 어디에 적어야 하는지, 아니면 안 적어도 되는지. 한번 알아두면 다음번엔 잊어먹지 않을 것 같지만 자주 접하지 않다 보니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적혀있지 않은 봉투를 접하게 되면 다시 헷갈리고 만다. 그럼 일반적인 우편 봉투에서 주소를 적는 방법과 더 나아가 국제우편의 주소작성 양식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국내우편 봉투 작성 양식(편지 봉투 양식)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일반적인 우편봉투의 규격은 210mm x 110mm의 사이즈이다. 규격봉투를 사용하면 비규격봉투보다 저렴하게 우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통 다이소에서는 우편봉투를 대량으로 판매하고 있는데 무지형 일반봉투의 경우 100매에 1,000원으로 저렴하게 판매를 하고 있다. 이런 규격봉투에는 2019년 11월 기준으로 350원의 일반 우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문방구에서 파는 예쁜 디자인 편지봉투는 비규격이므로 470원짜리 우표를 사용해야 한다. 참고로 우편의 중량이 5g 초과되었을 경우에는 우표를 추가해야 할 때도 있다. 

국내 우편 및 엽서 요금 정보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출처 : 우정사업본부'통상우편물요금'

우편봉투에 주소를 작성할 때에는 보내는 사람의 정보를 왼쪽 상단에 적고, 받는 사람의 정보를 오른쪽 하단에 적는것이 사회적으로 약속된 우편 규정이다. 또한, 우편을 보낼때에는 상대방의 우편번호를 반드시 알아야 하는데 만일 내가 받는사람의 주소만 알고 우편번호를 모를 때에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우편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우체국 우편번호 검색 바로가기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우정사업본부에서 관리하는 우편번호 검색 사이트로 지번이나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면 우편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국내 우편봉투 주소 및 우편번호 작성 예시

우편봉투에 주소를 제대로 적으면 위 이미지와 같이 우편봉투에 주소쓰기가 완료된다. 그런데 만일, 주소 적는 위치가 잘못되거나 우표값이 맞지 않을 때에는 보낸사람의 주소로 우편이 반송되거나 받는사람이 편지를 못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이 규정을 지켜서 소중한 편지가 잘못전달되는 일은 없도록 하자.

국제우편 봉투 작성 양식

국제우편이라고 하면 보통 테두리에 빨간색과 파란색이 교차로 되어 있는 우편봉투를 생각할 수 있는데, 해당 우편봉투는 항공우편 디자인으로 딱히 항공으로 보낼 이유가 있는게 아니면 일반적인 우편봉투를 사용하면 된다. 우편봉투의 규격은 기본적으로 최대 110x220mm / 최소 90x140mm / 중량 5g 이하가 기준이되며, 우편엽서의 경우 최대 120x235mm / 최소 90x14mm 사이즈라면 제한 없이 발송할 수 있다.

국제우편주소를 적는법은 국내우편을 적는것과 마찬가지로 좌측상단엔 보내는사람을 적고 우측 하단엔 받는사람을 적으면 된다. 그러나 주소를 적을 땐 한국 주소 쓰기와는 반대로 '나' 부터 시작해 작은 단위부터 큰단위인 '나라'를 맨 마지막으로 적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성남시청에 101호에 있는 박써니가 미국 하와이 호텔에 있는 친구에게 우편을 보낸다고 가정 하자. 보내는 사람의 주소가 한글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997, 박써니 (우편번호 : 13437)' 라고 한다면 영문으로는 'park sunny, 101, 997, Seongnam-daero, Jungwon-gu, Seongnam-si, Gyeonggi-do, 13437, Rep. of KOREA' 라고 적어야 한다.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Rep. of KOREA 또는 Republic of Korea가 아닌 KOREA만 적을 경우 반송 시, 내가 쓴 우편이 북한으로 반송되어 영영 찾을 수 없게 된다.

국제 우편 및 엽서 요금 정보(배편)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배편을 이용한 통상 요금은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그러나 국제 항공 우편의 경우 중량 뿐만 아니라 거리에 따라서도 요금이 측정되기 때문에 지역별 요금에 알파 비용이 추가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국제 우편 및 국제 소포 우편 가격은 '사업본부 > 우편 > 국제우편 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우정사업본부 바로가기 

참고로 영문주소를 작성하기 어려울 경우 우체국 우편번호 검색에서 한글로도 영문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우편번호 검색 페이지에서 더보기 버튼을 누르면 자세한 영문주소 확인이 가능하다.

우체국 우편번호 검색 바로가기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등기우편 봉투 양식 - deung-giupyeon bongtu yangsig

영문 주소 쓰는 방법

참고로 일반 우편은 배달과정 확인 및 수령 확인이 불가능하다. 그만큼 분실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적은금액으로 수령확인을 하고 싶은 경우 준등기나 등기를 이용하면 된다. 다만, 등기는 본인 수취의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준등기 이용이 편할 수 있는데 준등기는 기본 250g 1500원 정도이고 보낸사람의 핸드폰번호로 수취 확인이 가능하다.

※ 참고 사이트 : 인터넷우체국, 우정사업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