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 ���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Ȯ�� ���� ����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Ȯ�� ���� ����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Ȯ�� ���� ����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Ȯ�� ���� ����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Ȯ�� ���� ����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Ȯ�� ���� ����

[����Ź� ���촺��]��տ�¡���� ��� �ൿ�� ���� ������ ������ �����ƴ�. 12�� ���������� ���̾𽺾˷�Ʈ�� �������ؾ������ �������� ��� ó������ ��տ�¡��(�и� Architeuthis dux) ��� �ൿ�� ī�޶� ��� �� �����ߴٰ� ���ߴ�. 2013�� �Ϻ� �������� ���� ���ʷ� ���ؿ��� ��� ���ġ�� ��տ�¡� �Կ��� ���� ������, ��� �ൿ�� �������� ��ϵ� �� �̹��� ó���̴�.

�������ؾ������ ���� �κ� �ڻ簡 �̲��� �������� 2019�� 6�� �̱� �ٶ�踶 ���ī��Ƽ �߽��ڸ����� ��տ�¡���� ��� ����� �Կ��ϴ� �� �����ߴ�. ���� 759m ���ؿ��� ������ ������ 4m¥�� ��տ�¡��� �������� �̳��� �޾� �������� ������ ���� �÷��� ������ 6�а� �ɵ��� ���İ��� �� �ٸ��� ���� �̳��� �ְ��Ҵ�.�̴� ��տ�¡� ���������� ���̸� ã�ƴٴϱ� ���� �ź����ִٰ� ����ä�� ������� ����� �Ŷ�� ������ �ھ��� �����. �������� ����տ�¡� �ź� �������� �Ŷ�� ���� ������ ��ġ�ȴ١��鼭 ����տ�¡���� ���� ������ ���� �߿��� �ܼ������ �����ߴ�.

������ �ٴٱ��� ��ũ���ˡ����� ���ϴ� ��տ�¡��� 1874�� ij������ �� ��ΰ� �쿬�� ��ȹ�ϸ鼭 �� ���簡 ���� �˷�����. �ڿ� ���������� ��� �����̴� ��տ�¡� ó�� �������� ��ϵ� �� 2004�⿡������. �þ� Ȯ���� ����� ���ؿ��� ������ �ߵ�鼭 ���� ������ �ΰ��� ��տ�¡� �����ϴ� �� ���� ���� �ƴϱ� �����̴�.�������� ���׹��̳� ���������, ���ݹ��������(ROV) ���� �������� ���� Ž�� ���� �ַ� ������ �����̴� ����ü�� �����ϴ�. ��տ�¡�� ���� ������ �������� �Ѱ谡 �־��١��� ������. �� ������ �ذ��ϱ� ���� ������ ī�޶�� ���� ������, ��ü �߱� ���ü�� ž��� ���� �÷����� ������ Ž�翡 �����ߴٰ� �����ߴ�.

�������� ��տ�¡� ª�� ������ ���� �������Ʈ�� ����ȭ�Ǿ� ������ ����, ������ �� ���ܼ��� �̿��� �Կ��� ���ߴ�. ���� ��������ĸ�ó�� Ǫ������ �վ�� ��¥ ���ĸ��� �̳��� ��տ�¡� �����ߴ�. �������� ����������ĸ��� ��տ�¡���� ���հ������� �˷����� �ʾ�����, ��� �߱�ü�� ��տ�¡� ������ ���̶�� �����ߴ١��� ���ߴ�.�������� �÷��� ����ȭ�� ���� 2004��� 2005�� ������ 1m¥�� ��տ�¡� �����ϱ⵵ �ߴ�. 2013�⿡�� ��ü�Ҹ��� ���� ��¡� Ȯ���ߴ�. ������ ��տ�¡�� ��ü�� �����ϴ� ���� �� ���� �ð��� �ɷȴ�. �׸��� 2019�� 6��, ��ħ�� ��տ�¡� �� ����� �巯�´�.

������ �����ڴ� ������ ���� ��¥ ���ĸ��� ��տ�¡�� ���� �������� �����ϴµ� ȿ������ ������� ���� �˰� �ƴ١��鼭 ������ ���������� ���� �ٸ� ������ ����, ������ ���� ���� ���� �������� �����ϴ� �� � ���̰� �ִ��� ���� �� ���� �͡��̶�� ���ٺô�.

���� ������ �������� ������ ���� 1 ; �ؾ��п��������� �ֽ�ȣ�� �����ƴ�.

������ ���� [email protected]

[ ���ñ�� ]

�� ��(Ը) �Ѹ� ����, ��޿� �Ƶ��� ��� �԰� ������������� ���� ����
�� [����] ���ӽ��� ���ڡ� ������Ȳ ������������ ��� �ı����
�� ���ɼ��� ���� ��Ȧ�� 4�⡦��� �Բ� ������ ������ �ⱸ�� �翬
�� ������ �� ���ص˴ϴ١� 17�� �ҳ��� ��Ȯ�� ���� ����
�� ��� �� �ӿ��� �߰ߵ� ��� �� ������ �Ʊ� ��� (����)


���촺��(nownews.seoul.co.kr) [���̽���] [���硤����] [��������] [���õ�� �߱�]
- ���۱��� �� ����Ź��� -

1870년에 출간된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의 ‘해저 2만리’에도 대왕오징어가 나온다. 고래보다 훨씬 크고 빠르며 번쩍번쩍 빛을 내는 대왕오징어는 네모선장의 잠수함을 공격한다. 2005년 소설가 박민규의 단편 ‘대왕오징어의 기습’에도 주인공이 어린 시절 ‘소년중앙’이라는 잡지에서 읽은 산더미만한 대왕오징어에 관한 얘기가 나온다. 크라켄 같은 대왕오징어는 실제로 존재하는 걸까.

크라켄같이 어마어마한 크기는 아니지만 심해(深海)에는 길이 10m가량의 ‘대왕오징어’라는 큰 오징어가 산다. 지금까지 보고된 가장 큰 대왕오징어는 길이 18m, 무게 1t이 넘는 것으로, 1800년대 말 뉴질랜드 해안에서 죽은 채 발견됐다. 현대에 들어서는 2001년 미국 과학자들이 몸길이 7m에 달하는 거대한 오징어를 목격했다고 발표했다. 2004년엔 일본 과학자들이 수심 900m에서 길이 8m의 살아 있는 대왕오징어 사진을 찍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1월 부산 해운대에서 길이 1m의 날개오징어가 발견됐다. 어린아이 키만한 이 오징어는 현재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표본으로 전시돼 있다.

그런데 빛이 거의 없는 심해에 사는 대왕오징어는 어떻게 먹이를 잡아먹을까. 지난 2월 일본 연구팀은 그 비밀을 알아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대왕오징어는 사냥 대상에 빛을 발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거대한 몸집에 걸맞지 않은 재빠른 동작으로 다리의 촉수에서 강력한 빛을 발사해 먹잇감을 꼼짝 못하게 한다는 것. 특히 대왕오징어의 빛은 깜깜한 심해를 밝히는 조명 장치 기능까지 갖고 있어 사냥감과의 거리를 계산하는 데도 유용하다. 이번에 연구팀이 발견한 대왕오징어는 열대지방의 대양에 서식하는 종(種)으로 알려졌으며, 가장 큰 것은 길이 2.4m에 몸무게가 64kg까지 나간다고 한다.

바다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고 깊다. 인간이 바다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과학자들 중에는 대왕오징어보다 몸집이 훨씬 큰 ‘초대왕오징어(Colossal Squid)’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jpg" exif="{}" id="A_99D95F375A65319837F1E3"/>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15세기~16세기 무렵 대항해시대

과거부터 오징어나 문어 종류를 두려워하고 혐오하는 서양인들의 성향때문인지

크라켄은 바다괴물의 대명사로 자리잡고 있었어

간혹 해안가로 떠밀려오는 대왕오징어의 시체는 그 존재의 여부를

신빙성있도록 만들어주었고

오죽 했으면 외딴 섬들은 다 크라켄의 몸체 위에 만들어진 것이다 라는

썰까지 만들어질 정도였다고 해!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사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루머중에

짬뽕 등에 들어가는 오징어가 대왕오징어의 살이라는 썰인데

이 말은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해!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이 홈볼트 오징어라는 녀석의 살로 만들어졌는데

이녀석도 크기 2m 정도로 크다면 큰걸수도 있지만

대왕오징어의 분류로는 들어가지 않는다고 하나봐!

실제 대왕 오징어로 분류되는 녀석은 잘 발견되지도 않을뿐더러

살자체에서 오줌지린내가 심하게 나서 제정신 아닌이상 먹을수도 없다고 해

우리가 흔히 보는 피둥어꼴뚜기에서 부터

귀요미 주머니귀오징어, 홈볼트 오징어, 콜로살오징어, 한국남자, 대왕오징어, 갑오징어 등등

여러 종류의 오징어가 있지만

대왕오징어로 검색했을때 나오는 녀석은 딱 두놈뿐이야!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고문당하는 외계인아님

대왕오징어

표본개체가 그리 많지 않아 따로 종류 구분없이

13m 가량의 초대형 오징어를 대왕오징어과로 분류하는듯 해!

심해1000m아래 가량에 사는 녀석들로

사실 표본은 해안가에 떠밀려오거나

향유고래의 위장에서 나온거 외에는 발견된 적이 없고

2013년 디스커버리에서 처음으로 대왕오징어의 촬영영상을 방영한 적이 있었어!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표본은 이런식으로 떠밀려온 시체로만 발견됐을뿐....

여담으로 오징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심해 깊이에 따라

생김새가 조금씩 변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비교적 깊지 않은 심해에 사는 이 대왕오징어와 달리

심해저층에 살고 있는 대왕오징어는 어떻게 생겼을까?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계속 쳐다보면 한대 팰듯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오징어와 문어의 큰 차이점이라고 하면

문어는 다리가 8개고 오징어는 10개라는 점을 드는데

(문어가 대머리의 대명사인 특징도 있지만)

사실 오징어도 따지고 보면 발이 8개라고 해!

10개중 가장 긴 다리 두개는 다리가 아니라 일종에 촉수로

먹이를 잡아먹을때 쓰인다고 하네!

이때까지 발견된 대왕오징어중 가장 큰 것은 약 13m 정도이고

저 촉수 길이를 포함한 길이라고 하니

어쩌면 실제 몸체는 훨씬 작다고 할수 있을듯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콜로살 오징어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로 발견된 녀석 중 가장 큰 녀석이 14m라고 하니

앞서 소개한 대왕오징어보단 더 큰놈이야

이름처럼 지느러미가 하트모양인것이 특징이고

다 자란 녀석의 경우 몸무게가 2톤에 달할정도로 클거라네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가장 큰 무척색동물인 콜로살 오징어는

향유고래의 위장에서 발견되는 시체 조각 일부로 그 존재를 짐작만 하고있었지

확신은 하지 못하다가 2007년 남극에서 생포되었고

생포 당시 이 오징어는 사냥 성공후 밥을 먹고 있던 중이었다고 하네

방심했나봄 ㅠㅠ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대왕오징어 다리 / 콜로살오징어 다리)

대왕오징어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느러미 모양도 있겠지만 빨판의 모양에도 차이점이 있어!

콜로살 오징어의 빨판에는 맹수들의 손톱과도 같은 이빨이 있는데

이게 믹서기처럼 돌아간다고 하니

영화 미스트에 나오는 빨판괴물의 실사판이라고 생각하면 될듯

하지만 콜로살오징어는 뇌 옆에 식도가 있어서

너무 큰 먹이를 먹으면 뇌가 짓눌려 사망할수 있는데다

신진대사가 아아아아아주 느려서

하루에 먹이를 30g만 먹어도 충분히 살아간다고 하네!

사람으로 치면 밥한톨 한번 핥은걸로 하루 먹을거 다먹은셈

대왕오징어 크라켄 - daewang-ojing-eo keulaken

여담으로 앞서 소개한 짬뽕 오징어 홈볼트 오징어의 빨판도

저렇게 날카로은 가시같은 발톱이 빨판에 달려있어서

실제 사람이 바다에 빠져 저 홈볼트 오징어의 빨판에 곤죽이 되었다는 얘기가 있어

치악력이 상어보다 훨 센데다가

성격도 엄청 더러우니 다들 바다에서 만나게 되면

짬뽕 생각하고 덤비지 말고 도망가기로 하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