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레일 종류 - cheoldo leil jonglyu

우연철강,중고레일,철도레일,기차레일,레일,신재레일,중국산레일,

레일,중고레일,철도레일,기차레일,중고빔,H빔,강관파일,쉬트파일,복공판,철판,철근,앵글,찬넬,우연철강,아름다운철을움직이는사람들,중국산철근,중국산철판,중국산레일,중국산앵글,중국산찬넬,중국산레일,중국산철강재판매,철재,steel,중고빔,H형강,철판,중고쉬트파일,중고강관파일,철재,철강재,s...

www.youtube.com

레일종류의 변천

30kg레일, 37kg레일

미국토목학회(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A.S.C.E)1893년에 제정한 것으로 형식의 특징은 레일높이와 저폭이 같다. 각부의 단면비율은 어느 것도 두부 42%, 복부 21%, 저부 37%로 되어 있다.

50kg레일

미국의 펜실바니아 철도가 1910년항 제정한 P.S(Pennsylvania Section)형이다. 두부가 크고 저단부가 두꺼워 마모, 부식에 대해 유리한 단면이다.

40kg N레일, 50kg N레일, 50kg T레일

40kgN레일, 50kgN레일은 그때까지 사용된 37kg 레일 50kg레일의 개량단면이다. 이 신레일 단면형상의 특징은, 두부형상이 2심원으로부터 3심원으로 되었고, 상수부 하수부의 곡률이 크게 되었고, 저부경사가 2단으로되어 종방향 단면 2Moment가 크게 되어 있다.

60kg레일

일본의 신간선건설에 맞춰 장래의 통과 ton수의 증가 250km/h 운전을 예상, 보수작업의 경감 및 레일수명의 연장을 위해 1967년 제정되었다. 50kg T레일에 비해 종방향 횡방향의 단면2Moment35%크고, 두부높이가 차륜 flange 높이 5mm 증가를 예상해서 높였다. 50kg T레일은 1972년부터 생산을 중지했고, 60kg레일로 교환되었다. 1974년부터 재래선에도 60kg레일이 쓰여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같은 해부터 경부선, 경인선 등 주요선에 교환되었다.

레일의 기호

평저레일의 측면은 각국마다 여러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국철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레일단면을 채택하고 있으며 표준단면과 기호는 다음과 같다.

A.S.C.E or A.S형 레일

미국토목학회(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가 설계하여 1893년 결정한 기호

A.R.A or R.A형 레일

미국철도협회(American Railway Association)1905년 설계했고 1908A형과 B형으로 나누어졌다.

A.R.E.A or R.E형 레일

미국철도기술협회(American Railway Engneering Association)에서 결정한 단면

P.S형 레일

미국의 Pennsylvania 철도에서 1907년 설계한 Pennsylvania section의 기호이며 50kg레일이 대표적인 기호이다.

N형 레일

일본 국철에서 1961년 규격화한 것으로 다른 레일보다 높이가 커서 단면2차 모멘트(moment of inertia)를 효율화한 것으로 레일의 강도 증대에는 효과적이었으나 두부와 복부에 살이 적어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에 불리하다.

특수레일(special steel rail)

레일은 궤도재료 중 가장 값비싼 재료로 마모에 의한 갱환레일의 비용은 선로보수비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종래보다 내마모성이 강한 레일을 고안하였다. 보통레일보다 고가이나 선로의 중요한 부분이나 마모가 심한 개소에 사용된다.

고탄소강레일

탄소강레일의 탄소함유량을 증가시켜, 내마모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탄소함유량을 0.85%정도까지 쓰여지고 있다.

쏠바이트레일(sorbite rail, 소입레일 또는 경두레일)

레일의 두면 약 20mm를 소입시켜 쏠바이트 조직으로 한 것이며, 일명 경두레일이라고도 한다. 강인하고 내마모성이 크며 1910연경 영국에서 레일을 압연할 때 적열상태에서 레일에 냉수를 분사시켜 급냉하여 제작하였다. 그 후 미국에서는 공냉으로 일본에서는 가스바이너(gas burner) 또는 고주파전류로 가열 후 분사수로 급냉시켜 제작하였다. 소입후 굽힘(bending)도 적고 보통레일의 약3배의 내구력이 있으며 망간 레일보다 염가이다. 이음매부의 끝닳음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통레일의 단부를 10~20cm정도 표면을 소입하여 이것을 레일단부소입(railend hardening)이라 한다.

망간레일(manganese rail)

미국에서 1882년 고안되었으며 망간을 11~14%를 함유하여 내마모성이 크다. 또한 인장강도는 100kg/(보통레일은 80kg/)이며 신율도 40%나 된다. 망간량이 높은 것은 압연이 곤란하며 주조되는 경우가 많고 가격과 내구연한이 모두 보통레일의 약6배나 되므로 분기기, 곡선부, 기타마모가 심한 개소에 사용된다.

복합(합성) 레일(compound rail)

레일 두부에 한하여 내마모성이 큰 특수강()을 사용한 것으로 독일의 Osnabluck레일공장에서 제조되었다. 이 레일은 두부에 고탄소, 크롬강(), 복부, 저부에는 저탄소강을 사용한 것으로 내마모레일로 보통레일의 약6배의 내구력이 있다.

레일의 재질(quality of rail)

레일강은 탄소 함유량을 따라 성질이 좌우된다. 그외 규소, 망간(manganese), , 유황등의 함유량에는 영향을 받는다. 탄소, 망간, 규소는 적량 함유로서 강질을 좋게 하나, 인과 유황은 소량이라 할지라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상을 탄소강의 5원소라 하며 레일의 제작시방서에 규정되어 있다.

탄 소(carbon)

함유량이 1.0%까지는 증가할수록 결정이 미세해지고 강도가 커지는 반면에 연성이 감퇴된다.

규 소(silicon)

적량이 있으면 탄소강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항장력을 증가시키나, 지나치게 많으면 약해진다.

망 간(manganese)

제작 시의 탈산제로 사용하므로 강재 중에 반드시 다소 함유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경도와 항장력을 증대시키나 연성이 감소된다. 유황과 인의 유해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1% 이상이면 특수강으로 된다.

(phosphorus)

인은 탄소강을 취약하게 하여 충격에 대하여 저항력을 약화시키므로 가능한 한 제거해야 한다.

유 황(sulphur)

유황은 강재에 가장 유해로운 성분으로 적열상태에서 압연작업 중에 균열(crack)을 발생시키고 레일에 유황이 함유되면 사용 중에 충격에 의한 파손을 조장하여 강질을 불균일하게 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