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번호와 계좌번호가 같을수 있나요

혁신제안톡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국민이 직접 제안하는 온라인 국민참여의 장입니다. · 정부시책이나 행정제도 및 그 운영의 개선과 관련하여 제안해주세요
· 혁신제안톡에 담긴 제안이 좋은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댓글로 토론해주세요
· 30일 내 30명의 공감을 얻은 제안은 소관부처의 심사와 혁신제안톡전문자문단 검토를 통해 정책반영을 추진합니다.

전화 번호와 계좌번호가 같을수 있나요

  • 제안자개인정보보안관
  • 제안일2022-10-19
  • 공유2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터
    • URL복사

온라인 제안 주민등록번호의 관리 방향

  • 추천수 (30명): [33명]
  • 남은 토론일 : [6일]
  • 투표수 : [0명]
  • 남은 투표일 : [0일]

전화 번호와 계좌번호가 같을수 있나요

30128 세종특별자치시 정부2청사로 13(나성동) / 30116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11(어진동) 행정안전부

정부민원안내 콜센터 국번없이 110(365일 24시간, 수어상담 평일 09:00~18:00)홈페이지 관련 요청하기홈페이지 이용 및 문의사항

©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ll rights reserved.

신분증 잃어버렸거나 주민번호 샜다면? ‘이것’ 등록하세요

입력 : 2022-05-20 00:00

‘개인정보노출자’ 등록하면 피해 예방 가능

‘금융소비자 정보포털’서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

전화 번호와 계좌번호가 같을수 있나요
사진=이미지투데이·클립아트코리아

전화 번호와 계좌번호가 같을수 있나요
파인 개인정보노출 등록·해제 신청 화면.

대전에 사는 A씨는 최근 지갑을 잃어버렸다. 지갑 속에 있던 주민등록증으로 누군가 계좌를 개설하거나 대출을 받을까 걱정됐다.

이처럼 신분증 분실,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등으로 개인정보 유출이 우려된다면 금융감독원의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을 이용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금융기관에 실시간으로 알려 명의도용을 예방할 수 있는 서비스다. 등록 건수가 2020년 7만건에서 2021년 21만건으로 1년 새 3배나 늘었다.

금융거래자가 개인정보노출자로 등록하면 영업점에서 금융거래를 할 때 단말기에 ‘본인확인 주의’ 문구가 뜬다. 영업점 직원은 이 문구를 보고 더욱 주의를 기울여 본인 확인을 한다. 상세한 주소나 계좌번호, 결제일 등 세부 정보를 확인하는 식이다. 명의도용이 의심되면 거래 제한 조치를 취한다.

서비스 등록 방법은 직접 방문과 온라인 두가지가 있다. 은행을 찾아 개인정보노출자 등록을 요청하면 된다.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누리집 ‘파인’에 접속해 ‘개인정보노출 등록·해제’ 메뉴에서 등록할 수도 있다. 명의도용 우려가 사라지면 등록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해제 신청을 하면 된다.

김소진 기자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획·연재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강종훈 기자 = "지난 3월 본인을 검사라고 소개하는 사람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그는 내 계좌가 범죄에 도용되고 있다며 차단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통장 계좌까지 정확하게 알고 있어서 의심할 수가 없었다. 피해를 막기 위해 검찰 계좌번호로 이체를 권하는 말을 듣고 그제야 수상한 느낌에 전화를 끊었다."

한 온라인쇼핑사이트에 근무하는 최 모(35·서울 역삼동) 씨는 이런 경험을 얘기하며 "중요한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만으로 놀랍고 찜찜한데, 하마터면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까지 당할 뻔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최 씨의 이런 개인정보 유출 피해 사례가 드물거나 특이한 경우가 아니라는 점이다.

10명 중 6명 이상 꼴로 개인정보 유출을 경험했다는 소비자단체협의회의 최근 설문조사 결과처럼, 현대 한국인은 자신의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는 물론 계좌번호나 심지어 숙박정보까지 언제든지 타인의 손에 들어갈 수 있다는 '공포' 속에 살고 있다.

전화 번호와 계좌번호가 같을수 있나요

개인정보를 판매하는 흥신소가 판매 가격을 안내하는 메시지

[서울지방경찰청 제공=연합뉴스]

◇ '보이스피싱'도 개인정보 유출로부터…"나에 대해 다 알고 있었다"

또 다른 유통업체에 근무하는 김 모(34) 씨는 최근 중국어로 적힌 이(e)메일을 한 통 받았다. 중국어학원 선생님에게 해석을 부탁하니, '중국 온라인 도박 사이트에 가입됐다'는 안내 메일이었다.

김 씨는 "내가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탈퇴조차 할 수 없었다"며 "이후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 은행, 신용카드 등의 모든 비밀번호를 바꾼 뒤에야 안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회사원 권 모(41·서울 마포) 씨는 지난해 "여권이 도용됐다"는 전화를 받았다. 전화를 건 사람은 자신을 여권관리센터 소속이라고 소개하고, "최근에 외국에 다녀온 적이 있지 않으냐. 여권이 도용됐으니 빨리 재발급해야 하는데, 경찰에 대신 신고해주겠다"며 접근했다.

권 씨는 "마침 해외여행을 갔다 온 뒤라 깜빡 보이스피싱에 깜빡 속을 뻔했다"며 "어디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정보가 유출돼 떠돈다고 생각하니 불쾌하고 불안하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지난달 전모가 드러난 숙박 예약 앱(애플리케이션) '여기어때'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사생활 정보 중에서도 가장 민감한 '숙박정보'까지 빠져나가 범죄에 이용됐다는 점에서 모바일·온라인 서비스를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현대인들에게 큰 충격을줬다.

지금까지 확인된 여기어때 숙박정보 유출 규모는 91만 명의 323만 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회원 4천여 명은 해커 일당으로부터 "○월○일 ××(숙박업소명)서 즐거우셨나요"라는 내용의 문자까지 받았다.

한 피해자는 모 포털 카페 게시판에 자신이 받은 문자 메시지 캡처 사진을 올리고 "실명과 실제 이용했던 숙소의 날짜와 이름이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해당 번호로 전화해보니 '여기 어때'와 관련이 없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대여 업체라고 하네요"라며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문자를 직접 받은 고객뿐 아니라 문자를 받지 않았더라도 여기어때 회원들 전체가 큰 충격을 받은 상태다.

여기 어때 앱을 평가하는 모바일 게시판에는 "번호 유출이라니…고객 정보를 얼마나 허술하게 관리하면 이런 문자가 오는지 모르겠네요" 등 무기력하게 해킹을 당한 해당 앱 운영업체를 원망하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전화 번호와 계좌번호가 같을수 있나요

'여기 어때' 이용자들이 받은 해킹 문자

◇ 대기업·금융기관 개인정보도 '술술'…"믿을 곳이 없다"

현대 한국인은 수많은 온라인·모바일 사이트나 앱에 개인정보를 제출한 뒤 가입하고, 하루에도 여러 번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업체의 보안체계, 방어망이 뚫릴 경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소비자들은 규모가 큰 대기업이 운영하는 사이트의 경우 아무래도 더 보안에 신경을 쓰고 개인정보를 맡겨도 상대적으로 안전할 것으로 믿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김영홍 '함께하는 시민행동' 정보인권국장이 지난달 15일 '빅데이터 활용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문제' 토론회에서 제시한 역대 주요 개인정보 유출 사고 연역을 보면, 2010년 이후만 따져도 대기업, 심지어 금융기관들에서 개인정보가 새는 일이 수두룩하다.

2011년 삼성SDS 협력업체 직원이 전자여권 신청자 92만여 명의 이름·주민등록번호·여권 번호·여권발급일·만료일 등 개인정보를 빼돌렸다. 여기에는 당시 김황식 총리, 현인택 전 통일부 장관,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국회의원 등 관용 여권을 신청한 공무원 4천600여 명의 정보도 포함됐다.

같은 해 현대캐피탈의 개인정보 175만 건(이름·주민등록번호 등)이 해킹으로 유출됐고, 2012년에는 KT 가입자 873만여 명의 개인정보(이름·전화번호·주민등록번호·휴대폰 기종 등)가 빠져나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7억5천300만 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2014년 KB 국민카드에서 5천300만 건, 롯데카드에서 2천600만 건, NH농협카드에서 2천500만 건 등 약 1억4백만 건의 개인정보(성명·이메일·휴대전화·직장전화·자택전화·주민등록번호·직장 주소·자택 주소·직장정보·주거상황·카드이용실적·카드결제계좌·카드결제일·카드신용한도·카드신용등급 등)를 신용평가회사 KCB 직원이 유출해 큰 사회적 문제가 됐다.

같은 해 KT에서 7만6천 건, LG유플러스에서 250만 건, SK브로드밴드에서 159만 건, 시중 은행과 제2금융권 11곳에서 101만 건, 여행사와 인터넷쇼핑몰, 불법 도박 사이트에서 706만 건 등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전화번호·주소·계좌번호 등) 1천230만 건을 빼돌린 범죄도 적발됐다.

역시 2014년 홈플러스가 고객 정보 2천400만 건을 건당 1천~2천 원에 판 사실이 드러나 사회적 공분을 샀고, 지난해 5월에는 온라인쇼핑사이트 인터파크에서 이름·주소·전화번호 등이 담긴 고객 정보 2천540만여 건이 해킹으로 빠져나갔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7/04/09 06:47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