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사구문 의미상 주어 - bunsagumun uimisang jueo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정리함.

(분사구문이란?) 현재분사를 활용하여 부사절, 관계사절, 등위절을 축약한 것을 말함.

즉, <접속사 + 주어 + 서술어 ~>형태가 <(접속사) + (주어) + 분사절/형용사구/전치사구/명사구등>의 형태로 바뀐 것을 말함.

※(참고) 등위절은 and, but, or 등등에 의해서 절과 절이 대등한 관계에서 연결되는 절을 말함.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 다음의 5가지, 즉,

1) 주절의 주어,

2) 바로 앞의 명사구,

3) 앞(또는 뒤)에 있는 절 전체나 일부,

4) 주절의 의미상 주어,

5) 일반인등이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가 될 수 있음.

=> 그래서 독해시 이런 주어파악이 중요하므로, 꼭 문맥에 의거해서 주어를 파악하는 훈련이 필요함.

(분사구문의 예문)

- He criticized me as soon as I arrived, asking where the work was.

(그가 비난했어요 / 나를 / 내가 도착하자마자, 물으면서요 / 어디쯤에 그 일이 있는지를)

=> asking 이하의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he이고 능동형의 분사구문임.

- Asked why he went fox-hunting, he replied that he loved the thrill of the chase.

(질문받자 / 왜 그가 갔는지를 / 여우사냥하러, 그가 응답하기에 / 그는 사랑한다네요 / 포획의 스릴을)

=> asked ~ 컴머까지의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he이고 수동형으로 쓰인 분사구문임.

- He gave the weakest of excuses when asked why he was late.

(그는 주었어요 / 가장 약한 변명을, / 질문받았을 때요 / 왜 늦었는지)

=> when이하의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he이고 수동형의 분사구문임.

=> 위의 3개 예제는 부사절이 축약된 분사구문임.

- There are 25 apartments, consisting of three-bedroom units.

(25개의 아파트들이 있읍니다, / 구성되어 있네요 / 3개의 침실 단위로)

=> consisting이하의 분사구문의 주어가 apartments이고 능동형으로 쓰인 분사구문임.

=> 분사구문의 형태는 현재분사절 모양임.

- The operation, run by the police, was to last 60days.

(그 작전은, / 운영되었는데 /경찰에 의해, 지속었어요 / 60일동안)

=> run ~ 컴머까지의 분사구문의 주어가 the operation이고 수동형의 분사구문임.

=> 분사구문의 형태는 과거분사절 모양임.

- This is a restricted area, open to authorized personnel only.

( 여기는 제한지역이고, 열려있읍니다 / 관계자에만 / 단지)

=> open이하의 분사구문의 주어가 a restricted area이고 수동형의 분사구문임

=> 분사구문의 형태는 형용사구임.

=> 위 3개의 분사구문은 계속적 용법의 관계사절이 축약된 것임.

- Two days later, Chris died in the hospirtal, his uniform close at hand.

(이틀 뒤에 Chris는 사망했어요 / 그 병원에서, 그의 유리폼이 가까이 있는 채로)

=> his uniform이하가 분사구문으로서 주어(his uniform)가 그대로 살아있는 분사구문임.

=> 이 문장은 his uniform was close at hand에서 be동사가 being이 되면서 생략된 것임.

- Pollen is an irritant, causing red and sore eyes in sensitive people.

(꽃가루는 자극제야, 원인이 되는 자극제말야 / 빨같고 슬픈 눈의 (원인) /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 causing 이하의 분사구문의 주어는 an irritant이고 능동형의 분사구문임.

=> 분사구문의 형태는 현재분사절 모양임.

- Smoking can narrow the blood vessles, thus preventing essential nutroents from reaching your skin.

(흡연은 좁힐 수 있어요 / 혈관을 / 그래서 막아요 / 필수 영양소가 당신피부에 도달하는 것을요)

=> thus이하의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 smoking이고 능동형의 분사구문임.

=> 분사구문의 형태는 현재분사절임.

(분사구문 해석의 비결) 의미상 주어만 파악하면 충분함.

절대 접속사를 찾거나, 찾은 뒤에 다시 원래모습으로 전환하려고 하지말 것. 10000% 쓸데 없는 헛짓거리임. 왜?

=> 분사구문은 부사절뿐만이 아니라 관계사절 및 등위절이 축약될 수도 있는데, 오로지 부사절의 접속사만 찾으려고 하니까 틀릴 가능성이 높은 헛일이 되니까요.

=> 분사구문이 ~ing로 시작하면 능동형으로, pp로 시작하면 수동형으로 해석함.

=> 그런데, 분사구문인것 같은데 ~ing로 시작하지 않으면, 모양새가 형용사구, 전치사구, 명사구이니까 이때는 바로 앞에 being이 생략된 것이니 이를 추가해서 해석함.

※※《다양한 분사구문의 해석 예》※※

- He was waving to the girl, running along the platform.

=> 분사구문의 주어가 he일 수도 있고, the girl일 수도 있음. 그래서 다음의 두가지 해석이 가능하니 꼭 문맥에 맞춰 해석해야 함.

(그는 손을 흔들고 있었어요 그 소녀에게, 플랫폼을 따라 달리면서)

=> 그가 기차밖에 있는 상황.

(그는 손을 흔들고 있었어요 그 소녀에게, 플랫폼을 따라 달리는 그 소녀에게)

=> 그가 기차안에 있는 상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분사구문의 논리적 관계를 보겠습니다.

분사구문을 포함한 문장은 분사가 수식하는 명사나 대명사와의 관계가 명백하도록 써야 합니다.

1. 분사의 위치

분사 구문을 수식하는 말과 멀리 두면 의미가 불분명해 지고 맙니다.

(1) I had a fine view of your new housedriving my car this morning. (x)

이 문장에서, ‘driving my car'는 위치상 가까운 명사인 ’house'를 수식할 것 같습니다. 이 경우나의 집이 내 차를 운전한다라는 비논리적인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이 분사구문은 원래 ‘I'를 수식하므로 위치를 'I' 앞으로 옮기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됩니다.

(1-1) Driving my car this morning, I had a fine view of your new house.  (o)

        (내 차를 아침에 운전하다가, 나는 멋진 광경을 봤다/ 너의 집의)

이제는 의미가 분명해 졌습니다. 시간 부사구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사는 수식하는 말 근처에 놓아야 합니다.

분사구문 의미상 주어 - bunsagumun uimisang jueo

2. 분사와 의미상 주어

분사의 수식을 받는 말이 분사의 의미상 주어이며, 명사나 대명사의 형태를 취합니다. 의미상의 주어를 모르거나 일반인이 아니라면, 의미상의 주어를 반드시 써 주어야 합니다.

분사는 형용사 역할을 하므로, 그것이 속한 문장 안에서 반드시 어떤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해야만 합니다. 자주 발생하는 실수 중 하나가 분사를 다음과 같이 수식하는 말없이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1) HEARING the fire alarm, there was a rush to the scene. (x)

(경보를 듣고서, 뛰었다?)

위 문장에서는 ‘Hearing’하는 주체가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Hearing’이 의미상으로 수식하는 명사나 대명사가 없습니다.  

의미상의 주어를 써 주면, 의미가 명확해 집니다.

(1-2) HEARING the fire alarm, we rushed to the scene.    

  (‘Hearing’하는 사람이 ‘we’입니다.)

조금 더 어려운 다음 문장을 봅시다.

(2) The dish was broken, RESULTING from its fall.

이 문장은 얼핏 보면 옳은 문장처럼 보입니다.

한 번 분석해 봅시다. 'RESULTING from its fall'은 분사구문이므로 문장 내에서 반드시 명사를 수식해야 합니다. 그런데 분사 구문을 제외한 문장에서 명사는 ‘dish' 하나뿐이므로 이 분사구문은 ’dish'를 수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다음과 같이 참으로 인과관계에 어긋나는 의미가 되고 맙니다.

 The dishresulting from its fall. (떨어져서 만들어진 접시?)

이 문장을 의미가 통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2-1).The dish was broken as a result of its fall.

         (그 접시는 깨졌다/ 떨어져서)

분사는 반드시 문장 안에서 어떤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해야 함을 기억합시다. 그리고 수식을 하는 분사와 받는 명사 사이에는 논리적으로 의미가 통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분사구문의 논리적인 관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