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장중구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

석유나 석탄과 같은 1차 에너지를 비교할 때는 주로 에너지원의 열량을 석유 환산량(TOE; ton of Oil Equivalent)로 표기한다. 1 TOE의 열량은 원유 1톤에 해당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2차 에너지인 전기에너지는 전력량 kWh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전기요금을 매길 때 사용하는 단위가 kWh이다. 반면 발전기나 전동기와 같은 전력기기의 용량 곧 힘의 세기는 kW로 표기한다.

느닷없이 웬 단위 이야기냐고 할지 모르겠으나, 이즈음 에너지 문제가 중요한 국정과제의 하나가 된 만큼 에너지 관련 용어가 언론에 매우 자주 등장하는데 종종 단어나 용어를 잘못 사용하여 큰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믹스를 다룰 때 각종 에너지 관련 단위나 용어를 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잘못된 정책으로 귀결될 수도 있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에 8.2GW 용량의 초대형 풍력단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과 그 첫 번째 프로젝트가 착공된다는 이야기가 이번 주 초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대통령을 비롯한 정·재계 주요인사가 대거 참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풍력단지의 설비용량 면에서 가히 세계 최대라고 할 수도 있는 만큼 언론의 관심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8.2GW 라고 하면 발전설비의 규모가 얼른 짐작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의식한 듯 문 대통령께서 연설문에서 직접 원전과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받아서 각종 언론에서는 ‘총 48조원을 투자하여 신형원전 6기와 맞먹는 세계최대 풍력단지 건설’이라는 제목의 기사들을 쏟아냈다.

단위기의 용량으로는 원전이 현존하는 최대용량 발전설비이기 때문에 발전설비를 비교할 때 종종 원전과 비교하곤 한다.

한국 표준형원전의 용량이 100만 kW 즉 1GW이며, 가장 최근에 준공된 신고리 3·4호기는 APR1400이라는 명칭이 암시하듯 호기 당 1.4GW이다. 8.2GW 규모 풍력발전 단지가 원전 8기 혹은 6기와 맞먹는 설비라고 주장하는 근거이다. 그런데 여기에 인식의 오류를 일으킬 수도 있는 함정이 있다. 설비용량(GW)와 에너지의 양(GWh)는 전혀 다른 의미이기 때문이다.

전력설비의 용량을 표기할 때는 힘의 세기인 와트(W)를 발전설비가 생산한 에너지의 양은 힘과 시간의 곱인 와트시(Wh)로 표기한다. 물리시간에 배운 기억을 되살려보면 이미 알고 있는 것이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다보면 혼동이 될 수도 있겠다.

원전이 되었든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발전이 되었든 결국 얻고자 하는 것은 에너지이기 때문에 발전설비에 대한 투자를 결정할 때는 에너지의 양(Wh)으로 비교 하여야 한다. 단, 설비용량을 비교할 때는 유효설비 용량으로 비교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원전의 평균 이용률은 한 때 90%까지 이르렀으나 최근에는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략 85%로 가정하면 1년은 8760 시간이므로, 1.4 GW 용량의 원전이 1년간 발전을 하면 1.4GW x 8760h x 0.85 = 10만4244GWh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의 설비이용률은 25%를 기준으로 경제성을 판단한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에 비해 이용률이 높은 편을 감안하여 30%로 가정하면, 8.2GW의 발전설비를 1년간 운전할 경우 대략 8.2GW x 8760 x 0.3 = 2만1549.6[GWh]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8.2GW 의 풍력발전설비는 1.4GW 원전 2.1기와 맞먹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투자비용은 어떤가?

보도내용에 따르면 8.2GW 풍력발전설비 건설에 48조가 든다고 한다. 현재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의 총 공사비용은 약 11조가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원전 6기에 맞먹는 풍력발전 단지라는 서남해안 풍력단지가 실제로는 원전 8~9기 건설비용보다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원전 2기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쯤 되면 올바른 단위사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두말할 여지가 없다.

세계 전력발전량은 2020년 소폭 감소 후 2021년 대폭 회복세를 보임

세계 전력발전량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0.3% 감소한 뒤 2021년 +5.5% 반등해 2010년~2019년 평균 성장률(연간 2.5%)을 상회하며 2019년 수준을 5.2% 넘어섰습니다. 화력 발전량(2021년 세계 전력 믹스의 64%)은 2021년(+5.7%)에 강하게 회복된 반면 풍력과 태양광 발전량은 꾸준한 속도(각각 +16%, +23%)로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세계 발전량의 증가는 BRICS 국가(2021년에 +8.5%로 2019년 수준을 10% 상회)를 중심으로 특히 중국(+9.7%), 인도(+4.8%), 러시아(+6.4%), 브라질(+9.7%)에서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석탄, 풍력, 태양광이 발전량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2010년~2019년에 발전량이 정체되다가 2020년에 3%까지 감소했던 유럽과 미국에서는 경기 회복으로 발전량이 증가했습니다. 유럽에서는 발전량이 3.6% 증가해 2019년 수준을 회복하면서 폴란드, 프랑스, 독일에서는 반등했고 튀르키예에서는 가속도가 붙었습니다. 미국에서는 발전량이 2.7% 증가했습니다(2019년 수준으로 복귀). 유럽과 미국에서의 이러한 높은 전력 생산량은 가스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석탄 화력 발전의 증가와 재생 전력발전의 대폭 성장이 (유럽연합의 풍력 발전량 감소가 원자력 이용성 개선에 의한 상쇄보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전력발전량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증가했으며 인도네시아 또는 한국에서 꾸준히 증가했지만 일본에서는 소폭 감소(-0.7%)했고 태국과 호주에서는 정체됐습니다. 한편 브라질(+9.5%),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회복됐습니다.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그래프/통계표

○ 그래프

- 에너지원별 발전량 현황(원자력 등)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출처 :

한국전력공사 월별 전력통계속보, 연도별 한국전력통계

○ 통계표

- 에너지원별 발전량 현황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단위 : GWh, %]

에너지원별 발전량 현황 통계표 입니다. 단위는 GWh, % 입니다.
 원자력석탄가스신재생유류양수기타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2012발전량509,574 150,327 202,191 125,285 12,587 15,501 3,683 -
비중100.0 29.5 39.7 24.6 2.5 3.0 0.7 -
2013발전량517,148 138,784 204,196 139,783 14,449 15,832 4,105 -
비중100.0 26.8 39.5 27.0 2.8 3.1 0.8 -
2014발전량521,971 156,407 207,214 127,472 17,447 8,364 5,068 -
비중100.0 30.0 39.7 24.4 3.3 1.6 1.0 -
2015발전량528,091 164,762 211,393 118,695 19,464 10,127 3,650 -
비중100.0 31.2 40.0 22.5 3.7 1.9 0.7 -
2016발전량540,441 161,995 213,803 121,018 25,836 14,001 3,787 -
비중100.0 30.0 39.6 22.4 4.8 2.6 0.7 -
2017발전량553,530 148,427 238,799 126,039 30,817 5,263 4,186 -
비중100.0 26.8 43.1 22.8 5.6 1.0 0.8 -
2018발전량570,647 133,505 238,967 152,924 35,598 5,740 3,911 0
비중100.0 23.4 41.9 26.8 6.2 1.0 0.7 0.0
2019발전량563,040 145,910 227,384 144,355 36,392 3,292 3,458 2,249
비중100.0 25.9 40.4 25.6 6.5 0.6 0.6 0.4
2020발전량552,162 160,184 196,333 145,911 36,527 2,255 3,271 7,681
비중100.0 29.0 35.6 26.4 6.6 0.4 0.6 1.4
2021발전량576,809 158,015 197,966 168,378 43,096 2,355 3,683 3,316
비중100.0 27.4 34.3 29.2 7.5 0.4 0.6 0.6


출처 :

한국전력공사 월별 전력통계속보, 연도별 한국전력통계

  • [한국전력통계] 상세 통계표 조회하기(클릭)

    ○ 통계표 목록

    • 기본통계표: 에너지원별 발전량 현황 (Y, 2009 ~ 2021)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의미분석

    ○ 지표설명

    • [지표설명]

      에너지원별 발전량 : 각 발전기의 연료 사용량, 각 연료별 발열량을 기초로 산출되는 발전량

       ※ 통계표 활용시 유의사항

         (1) 자가용 설비를 제외한 사업용 설비만을 집계

         (2) '16년부터 한전 자회사의 혼소발전량을 에너지원별로 분류

         (3) '19년 10월부터 비재생폐기물(부생가스 등)이 신재생에너지에서 제외

      [지표의의 및 활용도]

      ㅇ 발전설비는 단기간에 건설이 불가능한 설비로 짧게는 5년 길게는 20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함. 이러한 이유로 장기 전력수요 예측 및 발전설비 건설계획이 중요함. 산업통상자원부는 연도별 전력수급동향을 참고하여 장기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향후 전력수급 안정에 이바지함.

    ○ 지표해석

    • 에너지원별 해석 ① 원자력 : 4~7월 대용량 기기 위주의 정비가 많아 발전량 다소 감소
      ② 석탄 : 민자석탄 준공에 따라 발전량 소폭 증가
      ③ LNG : 첨두전원으로서 산업용 위주의 전력수요 회복 영향 
      ④ 신재생 : 신재생에너지 보급증가로 인하여 비중 증대

      향후전망

       -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의 전력소비량은 감소세인 반면, 철강·화학·반도체 등 전력소비가 큰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높은 한국의 전력소비량은 증가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발전소 신규건설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통해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해 나아갈 예정

    ○ 유의사항

    • 본 통계표상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사업용 설비에 대해 집계한 수치로,
      한국에너지공단의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상 수치와 다소 상이할 수 있음

    ○ 용어해설

    • 신재생에너지 (New & Renewable) : 원자력 및 화석에너지를 대체하는 친환경적 에너지로서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로 구분

      * 신에너지의 종류 : 연료전지(수소) 등
      * 재생에너지의 종류 : 수력, 풍력, 태양광, 해양, 바이오 등
      (수력의 경우 양수발전에 의한 것은 제외)

    지표정보

    ○ 작성방법

    • 한국전력공사에서 시스템을 통해 취합
      - 한전 자회사 및 민간 발전사(포스코, GS, SK E&S 등)로부터 월별 발전실적을 취합, 집계 및 이상유무 검증 후 월보 발행 및 게시

    ○ 자료출처

    • 출처 : 전력통계월보, 한국전력통계
    • 통계생산기관 : 한국전력공사, 산업통상자원부
    • 통계주기 : 생산주기(월), 관리주기(년) - 발전량은 월별, 계절별로 유사한 경향을 띄어 월별 분기별 지수보다 연도별 지수로 관리함이 보다 합리적

    ○ 연관지표

    - 1인당 전력소비량

    • 정의 :
      인구 1인당 전력소비량임. 전력소비량은 단위 시간당 전력사용량을 의미하며, 전력과 사용기간을 곱하여 산출함. 전력은 역학에너지, 열에너지, 화학에너지 등을 변환시켜 생산한 전기에너지를 말함.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정책정보

    ○ 주요정책자료

    ○ 관련사이트

    의견 및 질문

    • 이용가이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OPEN AP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우) 35208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둔산동, 정부청사3동) 고객센터 02-2012-9114, 국번없이 110
    Copyright 2018 Statistics KOREA Government Official Work Conference. All Rights Reserved.

    •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

      발전량 생산량 차이 - baljeonlyang saengsanlyang ch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