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았다 일어날때 어지러움 - anj-assda il-eonalttae eojileoum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eWiRV8Kge5c

(서울=연합뉴스) 앉아 있다가 일어나는데 머리가 핑 돌 때가 있죠.

여름철에 특히 심해지는 이런 어지럼증, 기립성 저혈압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일 텐데요.

쪼그려 앉거나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와 같이 자세가 바뀔 때 순간적으로 현기증이나 어지럼증, 눈앞이 깜깜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말 그대로 '기립' 상황에서만 발생한다는 점에서 그냥 평소의 일반적인 갑작스러운 어지럼증과는 구분되는데요.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있다가 일어나서 혈압을 쟀을 때 3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떨어지면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진단합니다.

어지럼증 외에도 목덜미의 뻣뻣함, 두통, 전신 무력감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더운 여름철에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기온이 높아지면 우리 몸에서는 땀을 배출하기 위해 피부 혈관이 확장돼 혈액이 피부 주위로 몰리면서 전체 순환 혈액량이 부족해져 혈압이 떨어지는데요.

특히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섰을 때 혈관이 순간적으로 수축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면서 어지럼증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고혈압 환자도 기립성 저혈압을 피해갈 수 없는데요.

이광노 아주대학교 순환기내과 교수는 "고혈압과 기립성 저혈압은 기전이 아예 다른 병"이라며 "감기 환자에서 다른 병이 나타날 수 있듯이 고혈압 환자에서도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60대 이상 만성 고혈압 환자는 약 복용으로 심장 기능이 떨어져 기립성 저혈압에 노출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다시 눕거나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는 경우가 많지만, 자신도 모르게 의식을 잃거나 쓰러질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증상을 오래 방치할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과 사망률도 높일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몇 가지 생활 습관으로 예방할 수 있는데요.

충분한 수분과 적절한 염분을 섭취하고 일어날 때 천천히 심호흡하면서 천천히 일어나는 게 좋습니다.

또 알코올은 탈수를 유발하고 혈관을 확장하므로 과음은 피해야 합니다.

이광노 교수는 "기립성 저혈압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물을 잘 드시고 짭조름하게 염분을 섭취하시고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시라고 말씀드린다"면서 "심한 경우에는 압박스타킹과 같은 보조적 장치를 권장하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앉았다 일어날때 어지러움 - anj-assda il-eonalttae eojileoum

유현민 기자 변정현 인턴기자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6/16 07:00 송고

앉았다 일어날때 어지러움 - anj-assda il-eonalttae eojileoum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앉았다 혹은 누웠다 일어날 때 '핑' 도는 어지럼증은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봤을 증상이다. 대게 어지럼증이 느껴지면 빈혈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해서 정확한 원인 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어날 때 어지러움을 느끼는 증상은 기립성 저혈압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누웠다 일어나면 500~1,000ml 정도의 혈액이 하체 방향으로 몰린다. 이때 일시적으로 혈압이 떨어지면서 뇌로 향하는 혈류량은 감소하고, 뇌혈류가 6초 이상 중단되거나 수축기 혈압이 60~80mHg 정도로 떨어지면 어지럼증을 느끼고 의식소실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나타나는 증상이 바로 기립성 어지럼증이다.

여름철에는 체온조절을 위해 피부로 혈액이 많이 몰리기 때문에 심장부위 혈액량이 감소해 기립성 어지럼증이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다.

빈혈도 어지럼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기립성 저혈압 증상과는 그 양상이 다르다. 빈혈은 얼굴이 창백해지고, 숨이 차는 증상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일어섰을 때 피로감과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는데, 이는 누워있거나 앉아있을 때도 지속된다는 점에서 기립성 저혈압과 다르다.

박지현 세란병원 진료부원장은 "여름철에는 실내외 온도 차로 인한 자율신경계의 이상으로 기립성 어지럼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며, "기립성 어지럼증이 일시적이지 않고 자주 반복된다면 자율신경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