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순 열사 업적 요약 - yugwansun yeolsa eobjeog yoyag

유관순 열사 업적

유관순 (1902.12.16~1920.9.28)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입니다.1919년 3월 1일, 고종의 인산일을 이틀 앞둔 3월 1 일 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유관순은 거리로 나가 ‘대한독립만세’를 외쳤습니다.  3.1 운동은 반제국주의 운동으로 중국의 5.4운동과 베트남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일제 식민지가 무단통치를 문화통치로 바꾸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3.1 운동이 일어난 뒤 조선 총독부는 강제로 휴교령을 내려 학생들을 집으로 돌려보냅니다. 유관순은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가 학교와 교회 등을 방문하며 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였고, ​4월 1일 아우내 장터에는 3,000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습니다.

​ 

유관순의 결의에 찬 연설이 끝나고 거리는 독립만세를 외치고 태극기를 흔드는 사람들로 가득 찼습니다. 일본 헌병들은 시위를 막기 위해 총을 쏘아 댔고 유관순의 아버지 유중권과 어머니 이소제 등 19명이 목숨을 잃고 30여 명이 중상을 입었습니다. 유관순은 그 자리에서 헌병대에 체포되고 검사국으로 이송되었습니다. 

공주 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항소해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됩니다. 1920년 서대문형무소에 갇혀 모진 고문 끝에 19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습니다. 

유관순

1902년 천안 출생 (독립운동가 유중권의 3남 2녀 중 차녀)

1914년 공주영명여학교 입학. 2년 수학

1916년 4월 이화학당 보통과 3학년에 편입

1918년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진학

1919년 3월 1일 3.1운동 (기미독립만세운동)에 참여

1919년 3월 5일 남대문역에서 학생단 가두시위운동에 참가

1919년 4월 1일 천안 아우내 장날, 아우내 장터에서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 시위 중 일본 헌병대에 체포

1919년 5월 9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실형 선고받은 후 항소

1919년 6월 30일 경성 복심법원에서 3년형 선고

1920년 3월 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며 옥중에서 만세운동 (영명학교 만세시위 주도하다 끌려온 오빠 유관옥 만남)

1920년 9월 28일 고문에 의한 방광파열로 옥사

1920년 10월 12일 이화학당에서 유관신 시신 인수

1920년 10월 14일 정동교회에서 김종우 목사 주례로 장례식 거행. 이태원 공동묘지 안장

1962년 대한민국 건국 훈장 독립장 추서

1972년 봉화지와 생가를 사적 230호로 지정​

유관순 열사 (Yoo, Gwan-sun)

■ 출생 ~ 사망 : 1902년 12월 16일 ~ 1920년 9월 28일

■ 출생지 : 충남 천안

■ 직업 : 독립투사

■ 가족 : 유중권(아버지),  이소제(어머니), 유관옥(오빠)

**유중권 → 사회개혁, 부녀자 개몽, 교육사업 등을 통해 자주 독립의 길을 찾고자

​                흥호학원 운영에 가담하여 인재를 배출하도록 노력, 자녀 교육에도 적극적이었음

■ 수상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 지인들이 보는 유관순 열사의 성향

그녀는 학교에 들어와 공부하는 동안

남이 하기 어려운 일을 도맡아 할뿐만 아니라 청소도 남의 몇 배를 하였고,

기숙사 식비를 못내서 괴로워 하는 친구의 식비를

서슴치않고 내주는 의협의 소녀였다.

- 이화 08년사 -

■유관순 열사 업적

1919.03.01 서울 기미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

1919.03.05 남대문역 학생단 가두시위 운동에 참가 → 일경에게 붙잡혔으나 곧 석방

             (5인의 결사대 결성 : 유관순 / 서명학 / 김복순 / 김희자 / 국현숙)​

1919.03.10 학생들의 시위가 심해지자 전국적으로 휴교령 선포

1919.04.01 아우내독립만세운동 주도

             시위 중 출동한 일본 헌병대에게 체포되어 공주 교도소에 수감

             (이날 유관순 부모를 포함하여 19명이 시위 현장에서 순국 /  30여명이 큰 부상)​

1919.05.09 공주지방법원에서 5년형 실형 선고를 받은 후 항소함

1919.06.30 경성복심법원에서 3년형 선고 받음

             (일제의 재판권을 인정하지 않은 유관순은 상고 하지 않음)​

1920.03.01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면서 옥중 독립 만세 운동 전개

              → 3천여명의 수감자들이 크게 호응하여 만세소리가 밖으로까지 퍼져나갔고,

                 만세를 외치는 함성에 형무소 주위로 인파가 크게 몰려 전차 통해 마비, 경찰 마대가 출동​

1920.04.28 영친왕의 결혼 기념 특사령으로 유관순 열사의 형기가 1년 6개월로 단축

1920.09.28 am.8:20 극심한 고문 & 영양실조로 19세 나이로 순국 

1962 건국 훈장 독립장에 추서

1996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추서

■ 유관순 열사의 명언

1.나는 대한사람이다. 나라를 위해 독립만세를 부르는 것도 죄가 되느냐.

2. 내 손톱이 빠져 나가고, 내 귀와 코가 잘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을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3.나는 당당한 대한의 국민이다. 대한 사람인 내가 너희들의 재판을 받을 필요도 없고, 너희가 나를 처벌한 권리도 없다.

​4. 우리 나라의 문제는 우리 스스로 해결해야 합니다.

5.​나라에 바칠 목슴이 오직 하나 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감사합니다.... 죄송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