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2021.07.18 - [회로/회로 이론] - 중성선, 접지선 차이와 역할 쉽게 이해하기

단상, 삼상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단상, 삼상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르면 어렵지만 공부하고 나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수식은 제외하고 최대한 쉽게 설명해보고자 했습니다.

발전소에서 3상 전압 발전하여 송전

전기를 발전소에서 만들죠!

바로 발전소에서 3상 전압을 만들어 송전을 시작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압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나옵니다.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R,S,T상의 전압들은 변전소를 거친 후 전봇대의 변압기를 통해서 가정, 공장, 빌딩으로

전압을 제공해줍니다.

R,S,T 용어 정리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단상, 삼상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R,S,T 상이라는 얘기도 나오지만 HOT 상, line, 선간전압이라는 용어들이 나옵니다.

나라별로 조금씩 사용하는 용어가 다르다고 합니다. 모두 같은 의미이니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람 마다도 어떤 사람은 HOT 상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R,S,T상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HOT를 "하트상"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정확한 발음은 "핫" 입니다.

선간전압이란? 상전압이란?(삼상4선식)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선간전압은 R,S,T 선끼리 연결했을 때의 전압입니다.

상전압은 N 선과 R,S,T선이 연결되었을 때의 전압입니다.

단상이란? 삼상3선식이란?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단상은 2선식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R, S, T선 중 1개와 N 선을 이용하여 220V 전압을 만듭니다.

삼상3선식은 밑에서 배울 삼상4선식과 다르게 N 중성선이 없습니다.


삼상3선식은 많이 이용되는 방식은 아닙니다.

삼상모터를 구동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삼상4선식이란?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삼상4선식은 N 중성선을 사용합니다.

많은 빌딩, 공장, 아파트 등에서 삼상4선식을 주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중성선과 R,S,T를 이용하면 220V를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삼상4선식을 이용하며 삼성3선식도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삼상3선식의 이론과 실무가 다른 이유!!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삼상3선식의 이론은 220V이지만 실무에서는 380V로 주로 사용됩니다.

그 이유는 삼상4선식을 입력받아서 삼상3선식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삼상4선식의 선간전압이 380V라고 배웠습니다. 이 상간전압이 그대로 삼상3선식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삼상4선식 전압 정리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실제 빌딩,가정,공장으로의 이동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3상 전압을 머나먼 송전 과정을 거쳐서 전봇대 변압기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변압기를 거쳐 다시 분전반까지 이동됩니다.

그러면 이 분전반을 통한 전기를 이용하여 선풍기,에어컨, 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거죠!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분전반에서 R,S,T,N 3상4선식으로 받은 전압을 이제 R-N, S-N, T-N 상을 연결하여 220V로 만듭니다.

전원 코드에 보면 돼지코 2개가 있는데 하나는 R,S,T 상 중에 한 개가 되고

나머지 한 개는 N상이 되겠죠?

중성선, 접지선의 차이점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1.07.18 - [회로/회로 이론] - 중성선, 접지선 차이와 역할 쉽게 이해하기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유도등 결선법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유도등 결선방법

▶ 전압체크방법

- 먼저 수신기 유도등 수동스위치를 소등에 놓고 유도등에 전기를 한선씩 조심스럽게 자른다 이때 전기가 살아있으므로 조심할것 그렇지않으면 유도등 누전차단기를 내려놓고할것 보통

수신기 전원을 내리면 유도등전기가죽는데 유도등수가 많은경우 별도 유도등 누전차단기를 둔다

그리고 1가닥을 매인선으로해서 한선씩 돌아가면선 전압체크한다 이때 220V가나오는 2가닥이유도등 전원선

- 110V나 0V중 한종류가 나오는것이 수신기에서 오는 스위치선 입니다 그런데 왜 110V가나

오냐고요 그것은 유도등및 수신기 조작용닐레이코일타고 나오기때문에 변압기 Y결선과 같은현상

이되어서 루트3배적게나옵니다 물론 0V가나올수있는데 이 것이 정상적 적으로 잘결선된것인데 사

용상상관은 없습니다 즉 수신기 유도등수동 점등스위치선을 전기 하트라인을 쓰면 0V 가 중성선을

쓰면 110V가 나옵니다 뒤엣것은 복잡하므로 앞에것만 생각하시고 테스트해보세요 그럼 문제를 해

결됩니다

먼저 220v가 검출되는 2가닥을 찾고 그 2가닥중 한가닥과 접지(천장고정금소,켈링,엠바등)측을

테트터기로 측정해서 220v가 나오면 이것이 충전선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통,그리고 첨부터

전압이 없는선이 점등선(방재실수신반기동접접)

백색(공통), 흑색(충전), 적색또는 녹색(점등선)

3선식 배선시 반드시 점등되어야 하는경우(유도등)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 될때

비상 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 될때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 될때

자동 소화설비가 작동 될때

⑤ 방재업무를 통제하는곳 또는 전기실의 배전반에서 수동으로 점등할될때

:::: 유도동 3선식 배선 :::::

1. 설치목적

1) 평시에도 유도등을 상시 점등시켜야 하는 불합리한 점을 개선.

2) 에너지 절감.

3) 등기구의 수명 연장.

2. 조건

1) 소등시에는 비상전원용 축전지는 상시 충전상태를 유지할 것.

2) 화재 및 소방시설 작동 등의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점등될 것.

3) 상용전원 및 단선시 자동절환 및 점등될 것.

3. 결선

1) 평소에는 점등선에 점멸기를 설치하여 소등상태로 사용하나 축전지에는 상시 충전상태를 유 지하고 있다.

2) 화재시 수신기의 입력신호에 따라 유도등용 분전반내 릴레이가 동작되어 점등선의 릴레이가 동작 되고 점등선의 릴레이가 자동 투입하여 각층의 유도등이 점등하게 된다.

4. 3선식 배선시 점등조건

1)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될 때

2) 정전 또는 전원선이 단선될 때

3) 방재실에서 수동으로 점등할 때

4) 자동소화설비가 작동될 경우

유도등 3선식 전압 - yudodeung 3seonsig jeon-ab

수신기와 유도등의 결선

수신기의 유도등 접등출력은 정격 접점용량이 1A로 정해져 있으므로 분전반 내부에는 유도등

부하가 전류 용량에 적합한 보조릴레이를 필히 부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