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지난주부터 정리하기 시작한 SSD 교체후 윈도우10 설치 UBS 만들기에 이은 마무리 작업으로 볼 수 있는 운영체제(windows 10 home) 재설치(설치) 작업에 대한 내용을 이번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설치가 진행되면서 부터는 나오는 내용들을 따라가면 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지만 전에 꼭 준비 및 확인해야할것들이 있어서 그부분을 중점적으로 보시면 될꺼 같구요! 그외 설치완료후에는 어떤작업을 진행했는지도 추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1. 윈도우10 재설치에 들어가기전에 가장 먼저 사용하는 기기의 windows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정품인증으로 가셔서 사진과 같이 어떤인증으로 활성화가 되어 있는지 꼭 확인해 주시구요! 이어서 두가지 방식의 정품인증에 따른 각각의 작업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 (1) 정식 정품인증키(제품키)가 있으신 분들은 해당번호 그대로 사용해서 쉽게 설치를 진행해주시면 되구요! (2) 디지털 라이센스 정품인증의 경우 윈도우 이전버전에서 무료 업그레이드로 윈도우10을 사용하는 경우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추가하거나 없다면 개설해서 위에 사진과 같이 인증이 되어 있어야 재설치후에 해당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정품인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꼭 진행해주셔야 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2. 사용하던 기기의 저품인증이 확인되고 시리얼 또는 계정인증이 준비되었다면 다음으로 USB단자에 만들어 놓은 윈도우10 설치 USB를 꼽아주세요!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3. 그 다음 전원을 켜고 해당 PC 또는 노트북에 BIOS 모드로 들어가서 Boot메뉴에서 Boot Device Priority으로 들어갑니다! (참고로 사용하는 보드에 따라 바이오스 화면과 메뉴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쉽게 부팅순서를 정해주는 메뉴를 찾아주시면 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4. Boot Device Priority로 들어가서 나와 이는 장치들의 순서에서 USB Devie를 가장처음인 첫번째로 위치시킨 다음 저장후 재부팅해주세요!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5. 재부팅 하면 USB로 부팅이 이뤄지면서 바로 windows 설치 팝업창과 함께 언어, 형식, 방법, 키보드 종류가 자동으로 셋팅되서 나오고 확인후 '다음'으로 넘어가주면 됩니다! (만약 다르게 나오는 항목이 있으면 바꿔주세요!)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6. 이어서 설치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7. 설치 시작에서 가장 먼저 windows 정품인증으로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1) 구입할때 받은 제품키가 있는 경우 해당 번호를 그대로 입력해주시면 되구요! (2) 디지털 라이센스의 경우 아래 '제품 키가 없음'을 선택해서 넘어가주세요!





※ 참고로 윈도우10 재설치를 진행한 본 노트북은 LG XNOTE R570으로 구입당시 윈도우7이 깔려있던 제품으로 윈도우10으로 무료 업그레이드 진행할때 적용해 놓은 상태로 디지털 라이센스에 해당하구요! 확인과정에서 계정등록이 안되어 있어서 계정을 새롭게 만들어서 정품인증을 한다음에 SSD 교체하고 다른 노트북에서 설치 USB만들어서 재설치를 진행하였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8. 그 다음은 설치 프로그램 선택으로 HOME, EDUCATION, PRO 3가지중에 선택이 가능하다는걸 알 수 있었구요! 이중에서 전에 사용하던 것과 동일한 HOME을 골라서 '다음'으로 넘어갔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9. 관련통지 및 사용조건으로 (1) '동의함' 체크하고 (2)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10. 설치유형 선택으로 아무것도 없는 SSD에 설치하는거라 당연히 업그레이드가 아닌 '사용자 지정 window만 설치(고급)'을 선택해주었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11. 설치위치 지정으로 파티션을 만들어서 사용하신 분들은 새로 만들기로 용량은 나눈 다음 원하는 (1) 드라이브 선택후 (2) '다음'을 눌러주세요! (저는 그냥 통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윈도우10 라이센스 정보와 설치된 컴퓨터의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같은 컴퓨터에 윈도우10을 재설치하는 경우 라이센스 정보를 입력하는 대신 메일 주소로 로그인하면, 해당 컴퓨터가 자동으로 인증되는 방식입니다.


저 역시 윈도우10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연결해 사용 중 이었고, 대부분의 사용자가 마찬가지 방법을 이용하고 있을텐데, 앞서 두 번의 포스팅에 등장했던 지인의 컴퓨터는 윈도우 설치시 지인의 MS 계정 정보를 확인하지 못해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고 윈도우 키를 수작업으로 입력해 정품 인증을 완료한 상태였습니다.


때문에 이 컴퓨터의 라이센스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귀속이 되지 않은 상태였는데, 일단 윈도우10 라이센스 확인 방법부터 살펴보면, [Windows 설정]-[업데이트 및 보안] 항목으로 들어가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정품 인증] 항목을 클릭하면 정품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컴퓨터는 정품인증이 되어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동되지 않은 상태로 [Windows가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되었습니다]라고 떠 있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이 상태에서 그대로 넘겨줘도 별 문제는 없겠지만, 컴퓨터에 계정을 추가한다거나, 윈도우 라이센스를 확인하는 등의 작업에 서툰 지인을 위해 다시 지인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연동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Windows 설정]-[계정] 항목을 차례로 클릭하고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사용자 정보] 항목으로 들어와 보면 메일 계정이 입력되지 않은 [로컬 계정] 상태임이 확인됩니다.

이제 [대신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항목을 클릭하고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지인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ID와 암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했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이제 [한 번 더 현재 Windows 암호가 필요합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는데, 여기서는 로컬 계정을 만들 때 입력했던 암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현재 로컬 계정의 암호까지 입력하고 나면, 앞으로 사용할 핀 번호를 설정하라는 메시지가 뜨고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핀번호 설정까지 완료하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관리자 계정으로 설정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그리고 다시 [정품 인증] 항목으로 들어와 보면 [Windows가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인증 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로 바뀌었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이렇게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이라는 짧은 문구가 추가된 것으로 이 컴퓨터의 윈도우 라이센스 정보가 입력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귀속(등록)되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실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접속해 [장치] 항목을 열어보면, 이번에 새로 등록한 컴퓨터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윈도우 라이센스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귀속했을 때의 장점이라면, 같은 컴퓨터에 윈도우를 새로 설치할 때 윈도우 키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정품인증이 된다는 점, 그리고 리테일 버전의 경우 주요 하드웨어가 바뀌더라도 전화 등록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 대신 비교적 간단히 재인증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실제 계정 귀속을 완료한 컴퓨터에 윈도우10을 재설치하면서 다시 한 번 메일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로컬 계정으로 진행해 봤는데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설치 완료 후 자동으로 정품 인증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윈도우 로컬 계정과 윈도우 계정 귀속

그렇게 지인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설정 완료한 지 얼마되지 않아 지인의 계정과는 별도의 로컬 계정으로 설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이유인 즉, 이 컴퓨터는 지인의 자녀가 사용할 예정인데, 본인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시켜 놓으면 업무용 메일과 원드라이브 동기화 등이 진행되니 아예 자녀가 사용할 로컬 계정으로 설정해 달라는군요.


문제는 이 컴퓨터를 다시 로컬 계정으로 바꿨더니 지인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서 윈도우 등록정보가 사라져버렸습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얘기가 좀 복잡해졌는데 윈도우 라이센스는 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귀속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로컬 계정을 추가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저도 굳이 이런 식으로 설정해 본 적이 없어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작업을 완료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계정]-[사용자 정보]로 들어와 보면 [관리자] 항목에 메일 주소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항목을 클릭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시겠습니까?] 메시지에서 다시 한번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클릭한 뒤 암호를 입력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이제 계정 추가 화면에서 [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항목을 클릭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계정 만들기] 화면에서 [Microsoft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 항목을 클릭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내 PC용 계정 만들기] 항목에서 계정 이름과 암호, 그리고 3가지 비밀번호 힌트를 모두 입력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이제 [기타 사용자] 항목에 로컬 계정으로 추가한 사용자 이름이 표시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이제 [윈도우 시작 버튼]-[로그인된 계정 이름]-[로그아웃]을 차례로 클릭해 로그아웃하고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로그인 화면에서 새로 만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로컬 계정 초기 설정 과정이 잠시 진행된 뒤, 로컬 계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윈도우10 디지털 라이선스 확인 - windou10 dijiteol laiseonseu hwag-in

사실 대부분의 윈도우10 사용자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고, 이번 경우처럼 계정 귀속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로컬 계정을 설정하는 경우는 좀 흔치 않은 케이스였는데 어쨌든 알고 보면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