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지역사회가 자살에 취약한가 최명민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at affect suicide, and then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affect suicide suggested in a total of 18 papers, 15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housing type,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and living environment. Next, we selected a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with a relatively high suicide rate among multi-family housing as the case, and conducted a empirical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and apart from the quantitative satisfaction of the rest, various problems were exposed,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users according to ag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in terms of the actual use of residents including suicide attempters.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design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uicide preven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olve the exclusion phenomenon that appears in space and programs. Third, when planning a space for suicide preventio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high-risk groups should be reflected.

  • 1

    충수염으로 오인된 소아의 대장암

    최명민,이운기,전인상,김현영,Choi, Myung-Min,Lee, Un-Gi,Jeon, In-Sang,Kim, Hyun-Young 대한소아외과학회 2008 소아외과 Vol.14 No.2

    • 원문보기

    Colorectal cancer is extremely rare in children. Unlike adult colorectal cancer, the overall prognosis of colorectal cancer in children is poor. Delayed diagnosis, advanced stages of the disease at presentation, and mucinous type of histology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poor outcome in childhood. A 13-year-old boy with abdominal pain visited our hospital. Physical examination andabdominal ultrasonography identified acute appendicitis with perforation. He underwent appendectomy and then the pathologic findings revealed mucinous adenocarcinoma. The cancer was located at the transverse colon and had metastases on peritoneal wall at $2^{nd}$ laparotomy. Extended right hemicolectomy was performed. He underwent palliative chemotherapy. After 4 months later, hepatic metastasis and aggravated peritoneal seedings developed. He died of renal failure and pneumonia 13 months after operation. We need to have a high index of suspicion for the possibility of a malignant colorectal tumor in any childhood case with nonspecific signs and symptoms.

  • 2

    질적-양적 연구방법론의 혼합에 의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탄력성 및 소진위험성 척도개발 연구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4

    • 원문보기 3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의 탐색설계 중 척도개발모델에 의거하여 소진탄력성척도와 소진위험성척도를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척도개발모델 1단계에서는 선행 질적연구를 통해 도출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 보호 및 위험요인에 기반을 두고 각 척도의 내용을 구성하였고, 2단계 양적 연구 단계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 185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척도들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요인 31문항의 소진탄력성척도와 6요인 27문항의 소진위험성척도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두 척도의 신뢰도는 소진탄력성 0.92, 소진위험성 0.90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각 척도 및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소진탄력성과 소진위험성의 속성 및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에 의한 조사결과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혼합방법론에 의한 척도개발과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수량적으로도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를 개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nd validate Scale of Resilience to Burnout and Scale of Burnout Risk for social workers in medical settings. For the purpose, instrument development model, a kind of mixed methods research was used. In the first phase, six dimensions of resilience(: professional competency, accomplishment and worthwhileness, firm belief and value about their profession, good teamwork, support by their agency, and individual resources) and six dimensions of risk to burnout(: dis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ndition, interpersonal stress among team members, organizational conflict, work related stress, deficiency of professionalism, and individual stress) were suggested thorough the preceding papers with qualitative approaches. The second phase involved analysis of a survey of 185 participants that appeared to validate the dimensions of the measures.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measure were tested. And it was founded that there were its own factors in each concept, although resilience to burnout related negatively to burnout ris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ixed methods research is useful to develop measures reflecting voices in the social work field.

  • 3

    사회복지사 윤리적 민감성 검사도구(SWEST)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최명민(Choi Myung 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2

    • 원문보기 3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민감성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기반 위에서, 이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실제에 적용해 보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윤리적 민감성 척도들과 관련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검사도구에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비구조화된 상황판단형 지필검사방식 및 구조화된 채점방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1단계 사례수집, 2단계 사례구성, 3단계 사례자문, 4단계 예비조사, 5단계 채점 지침작성, 6단계 최종사례 및 채점기준 확정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세 가지 사례로 구성된 측정도구 SWEST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검사도구의 활용성을 보기 위하여 사회복지전공생과 사회복지실무자의 실제 응답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SWEST가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민감성과 그에 관한 의미 있는 차이를 구분해 낼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추었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test tool of social workers' ethical sensitivity(SWEST) on base of realiz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thical sensitivity of social worker who are required more ethicalities than the other professional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tool that can measure ethical sensitivity of social workers in our country up to now.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ethical sensitivity tests in other professions, a paper and pencil method about unstructured question with cases including ethical issues and structured scoring system was chosen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 SWEST. This study progressed in order : 1st collecting cases, 2nd composing cases, 3rd consulting cases, 4th pilot study, 5th making scoring standards, 6th determining case examples and scoring standards. With the result, the tool consists of 3 case examples with ethical issues : 1) self-determination and confidentiality, 2) equality and double relationship, 3) informed consent and conflict interest. And ethical sensitivities of social work major students and social workers were measured with the SWEST, to see practical utility of this test. The agreement degrees between two independent raters were above 90%. And respondent's ethical sensitivity displayed the most definite difference according to taking or not taking a cours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drawn that the SWEST is reliable and valid to test relevant differences in Korean social workers' ethical sensitivity. The SWEST is expected to activate studying, educating, and practicing ethics in social work.

  • 4

    정신장애인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임파워먼트 효과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3

    • 원문보기 2

    자원봉사활동은 바로 자기실현과 자존감 증대와 같은 내적 변화와 더불어 정상화 및 가치 있는 사회적 역할 강화를 통해 참여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제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이 자원봉사 서비스의 제공자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구조화하고, 이의 실천을 통해 임파워먼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정신장애인 뿐 아니라 봉사활동의 장인 지역사회의 봉사 준비과정을 체계화하고, 둘째, 정신장애인들과 봉사활동을 함께 하는 일반인 협력자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장애인 자원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자원봉사 프로그램에는 시설거주 정신장애인 13명과 이들의 협력자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10명이 참석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결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정신장애인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이미지 측면에서 임파워먼트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시민으로서 프로그램에 같이 참여한 협력자들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 즉, 권위주의, 자비심, 사회생활제한, 그리고 지역정신보건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입증되었다.<br/>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봉사 대상자로 머물러온 정신장애인도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여 봉사 제공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뿐 아니라,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과 일반인의 태도에도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정신장애인 자원 봉사 프로그램이 실천현장의 상황에 맞게 활용되어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와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ize volunteer program for the people with chronic mental health problems to participate in helping the community as service providers not receivers, and then to examine empowerment effects of this volunteer program.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is program was to volunteer the mental ill to help other people. Therefore, this volunteer program had specially strengthened preliminary stage which make not only the mental ill be ready to work but also the community to use them as volunteer, and to invite general citizen of the community<br/> as co-volunteers. The result showed this program empowered the mental disorders to have more positive self-concept. It revealed that co-volunteer's attitude toward the mental disorders was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is program, also. These results<br/> told us not only the chronic mental ill could be volunteers helping others using their abilities, but also this activity would make their self-image better and citizen's perception toward mental disorder less prejudiced. The volunteer program presented<br/> in this paper wa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ir empowerment and social integration.

  • 5
  • 6
  • 7

    관계중심사회복지실천 관점모색 - 개인과 사회의 통합적 사유를 중심으로 -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2

    • 원문보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오랜 논쟁의 대상이었던 인간과 사회 간 이분법적 접근을 극복하고 이들을 매개하고 통합해 낼 수 있는 개념적 틀로서 ‘관계성’에 주목한다. 관계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온 요소지만 기존 관계론은 원자론과 개체론에 근거한 것으로, 관계성이 보유한 사회적 측면을 적절히 포착해 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계성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서, 인간과 사회 간 성찰적 상호작용과 그에 대해 성찰하는 인간주체를 상정하고 있는 ‘성찰적 사회론’을 비롯하여, 동양철학의 핵심사상인 ‘상관대대론’, 그리고 자아심리학의 한계를 비판하며 등장한 ‘비판심리학’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관계성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탐색하여, ‘성찰적 주체로서 인간론’, ‘관계중심의 실천론’, ‘권력의 장으로서 현장론’, 그리고 ‘타자윤리에 따른 관계론’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색적 시도는 향후 개인과 사회를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관계중심사회복지실천’을 구체화해가기 위한 토대 연구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relationship’ a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mediate and integrate the dichotomous approach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which has been the subject of long debates in social work practice. Relation has traditionally been important element in social work practice, but the existing relationship theory is based on atomism or individualism,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properly capture the social aspects of relationships. Therefore, as alternative theories of relationship, this study examined the reflective social theories premised on the reflexive interaction between human existence and social structure and the theories of the reflective subject that recognizes it. In addition, correlation theory based on Eastern philosophy and critical psychology beyond the limits of ego psychology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the main components of social work practice were explored with a focus on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as a reflective subject’, ‘relationship-oriented practice’, ‘the field where power operates’, and ‘practical relationship according to ethics of the other’ were proposed. Such an exploring attemp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and embodiment of ‘Relationship-centered social work practice.’

  • 8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 사회복지사는 무엇을 경험하고 무엇을 바라는가?

    최명민(Choi, Myung-Min),임정기(Lim, Jeong-Gi),김승연(Kim, Seung-Yun),김교성(Kim, Kyo-Seong)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7 No.3

    • 원문보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에 대한 논의에 있어 평가 당사자의 견해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 위에서, 서울시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현행 평가제도에 대한 경험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평가제도가 기관운영의 최소기준 정립과 투명성 및 정당성 등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었다. 동시에 ‘현장의 욕구와 동떨어진 평가지표’, ‘무한경쟁을 조장하는 상대평가방식’, ‘서류중심의 평가’, 더 나은 평가를 받기위한 ‘과거 포장’, 이를 분별해내지 못 하는 ‘평가단의 전문성에 대한 의문’, 그리고 서열의 성적표만 남는 ‘용두사미식 평가’등의 문제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 결과, 현장기관들 간 연대나 전문직 자율성이 약화되고, 과도한 평가업무로 실무자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이 가중되며, 이러한 피로감은 사회복지업무에 대한 근본적 의문과 평가결과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져, 결국 클라이언트에게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언으로는 ‘현행 평가제도를 폐지하고 그 대안을 모색’ 해야 한다는 주장과 ‘현 제도를 유지하되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가 기대하는 바람직한 평가제도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논의로서, 평가제도의 목적, 서비스 질, 평가방법, 그리고 개선 전략에 대한 성찰과 변혁적인 관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the issue that there has been limited amount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kers’ experiences with the Evalu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workers’ direct feelings, experiences, and thoughts about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workers express ambivalent feelings of either ‘positive recognition’ or ‘skepticism’.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definitely establishes minimum standards of operating agencies, transparency and openness, professionalism and legitimacy, etc. However, it also brings side effects such as overheating competition, mistrust between institutions, and execution of program that ties to the evaluation indexes. More specifically,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System are rank-ordered evaluation based on the relative comparison, non-judgmental indicators for the service areas, unreasonable request by fragmented index, standardization of value that institution to pursue, and so on. There are two major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including ‘abolishing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and exploring the alternatives’ or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and preparing the supplemented way to compensate the weaknesses’.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transitional point of view about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Evaluation System, as an argument for creating an system that is expected by the social workers.

  • 9

    사회복지사는 우리 사회의 상선약수(上善若水)

    최명민(Choi, Myung Min),이현주(Lee, Hyun Ju)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5

    • 원문보기
    • 복사/대출신청

    최근 사회복지 외부적으로 전문직 가치를 위협하는 사회조건들이 강화되고 내부적으로도 사회복지사 역할 자체가 점차 다양해지고 세분화되는 흐름 속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혼란과 위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왔다. 그러나 그동안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관련된 여러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회복지의 여러 분야를 관통하면서도 현재 한국적 현실이 반영된 사회복지사 직업 정체성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 보려는 시도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과연 ‘이 시대의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을 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해 분야별로 엄선된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그 정체성의 핵심 의미를 ‘上善若水’로 개념화하였으며 그 내용을 시(詩)적 언어로 재해석해 보았다. 이는 사회복지사 내부적으로 정체성을 공고히 할 수 있는 토대로서뿐 아니라 대외적인 소통을 위한 도구적 언어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 lot of similar jobs and areas to social work profession have emerged and at the same time roles of social worker have become various and differentiated. By this circumstance, the crisis and confusion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 has been strongly concerned. Until now several studies and researches have been proposed, but for some reason it is not enough.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fully reflect the unique situation of the Korean social work field enough, so they could not derive a core professional identity from many fields and could not attempt interpretate its meaning.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coul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 be defined and assumed in this age?” For this research purpose, we have conducted qualitative study with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carefully screened. We analyzed the explanation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on the base of this, the meaning of narrative was conceptualized in several key terms. Lastly, explan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 was re-interpretated a poetic languag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the foundation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And also it can be an instrumental languag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orld.

  • 10

    사회복지윤리교육의 현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4

    • 원문보기 2

    본 연구는 사회복지 안팎의 윤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현실에서, 〈사회복지윤리와철학〉교과목으로 대표되는 사회복지 윤리교육의 현황과 그 효과성을 조사해 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윤리교육 현황파악을 위해서는 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원교들을 대상으로 윤리와철학 교과목 개설현황 및 운영 방법을 조사하였고, 윤리교육의 효과성은 윤리적 민감성에 초점을 두어 윤리와철학 교과목 수강 여부와 수강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 제도교육 체제에서 윤리교육에 큰 비중이 주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실제 이뤄지는 윤리교육은 윤리적 민감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여타 요인들에 비해 윤리적 민감성에 더 큰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 교육에서 사회복지윤리와철학 교과목의 위상 강화와 사회복지윤리와 관련된 인력 양성 및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the present status and effects of Korean social work ethic cours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reflecting increasing concerns about social worker's ethics. Using the member list of the Council of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ethic course is established and how the course is managed. The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using the test score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sensitivity to ethical issues, this study compared test scores between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and those who did not. This study also compared pre-post test scor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The results show that enrollment in th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course contributes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udents' ethical sensitivities, in spite of social work education system that does not very yet empathize the ethics curriculum very strongly. Further,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is proved to be a more powerful factor to ethical sensitivity than any other demographic or education related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a stronger emphasis abd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course, as well as more efforts to bring up professionals and invest in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ethic education.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