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접지방식 - ulinala jeobjibangsig

Q&A게시판

[ 2598 ] 우리나라 배전방식(TN-C, TT)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작성자rlawhdtjd 조회5,601
파일첨부 등록일17-05-29

수고 많습니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보통 우리가 알기로 배전방식은 KS C IEC 60364를 적용했을때 한전은 TN-C 방식, 수용가는 TT 방식으로 알고 있고, 많은 책에서도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한전이 TN-C 방식이라는건 이해가 가는데 수용가가 TT 방식이라는 것에 이해가 안갑니다.

왜냐하면, 전기실이 있는 건물에서 변압기 2차측 중성점을 접지하므로 첫번째 문자 T는 맞는거 같은데 두번째 문자 T는 전기설비 외함을 별도로 접지해야만 T인데 예전에는 1,2,3종 접지를 별도로 해서 TT 가 맞다고 하더라도 요즘에는 공통 및 통합접지를 해서 주접지단자함에서 접지선을 모두 묶어버리는 추세인데 TN-S가 맞는게 아닐런지요?

그래서 수용가는 TT가 아니고  TN-S가 맞는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글  담당부서 기술기준처

1. 귀하의 전기협회 방문을 환영합니다.

2. 질의하신 TT, TN-C, TN-S 방식은 계통 접지와 전기설비 외함 접지의 여부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즉 중선선과 PE도체가 수용가의 전기설비 외함의 연결 여부에 따라 TN-C, TN-S로 구분이 됩니다. 종별접지와 공통·통합접지(판단기준 제18조6항, 7항)는 접지극을 개별 또는 공용 여부에 따라 구분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전기설비규정 KEC의 접지방식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의 접지방식은 크게 계통 접지, 보호 접지, 피뢰시스템 접지 등으로 구분합니다. 여기서 가장 헷갈리는 것이 계통 접지인 TN, TT, IT 계통 접지입니다. 여기서 TN계통은 다시 TN-S, TN-C, TN-C-S계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냥 약어로만 표시하였기 때문에 이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처음 보시는 분은 알 수가 없습니다. 이것을 쉽게 외울 수 있도록 설명드리겠습니다. 

1. 용어의 의미

TN, TT, IT나 TN-S, TN-C, TN-C-S는 규칙이 들어 있습니다. 가장 먼저 나온 문자인 T와 I는 제1문자, 두 번째 나온 N과 T는 제2 문자이고 마지막 C와 S는 제3 문자로 규정이 되어있습니다. 

1) 제1문자

가장 처음에 나온 T와 I를 제1 문자라고 합니다. 이것의 영어 전문은 Terra와 Isolate입니다. Terra는 라틴어로 땅이나 지구를 뜻합니다. 즉 접지를 한다는 말이죠. Isolate는 '격리된'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접지와 전기 충전부 사이를 절연시키거나 저항을 설치하여 대지에 연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단, 제1 문자에서 말하는 부분은 전력계통과 대지 사이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2) 제2문자

두 번째로 나온 T와 N을 제2 문자라고 합니다. 이것은 설비와 대지와의 관계를 의미하며 T는 역시 접지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T는 대지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N은 전력계통의 접지에 설비의 접지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제3문자

제3 문자에서 의미하는 것은 중성선과 접지선이 분리되어 가느냐? 합쳐서 가느냐를 의미합니다. 여기에 나오는 Separate를 말하며 중성선과 접지선이 완전히 분리된 것을 말하고 C는 Combine으로 합쳐져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중성선과 접지선을 하나로 합친 것을 PEN도체라고 합니다. 

2. 계통 접지 설명

아래와 같이 TN, TT, IT 계통 접지를 그림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TN계통 접지

- TN-S 계통

우리나라 접지방식 - ulinala jeobjibangsig

위에서 붉은색 글씨로 표시한 것을 보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제1문자 T는 전력계통인 L1, L2, L3의 접지를 의미하고 이것이 별다른 저항이나 절연이 되어 있지 않고 접지가 되어 있으므로 T가 됩니다. 또한 제2문자인 N은 설비의 접지선인 PE선이 전력계통의 접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N으로 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성선과 설비의 보호 선인 PE가 분리되어 가기 때문에 제3 문자는 S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 TN-C 계통 

우리나라 접지방식 - ulinala jeobjibangsig

역시 붉은색 글씨를 따라가시면서 보시면 됩니다. 제1문자는 역시 전력계통이 직접 접지를 하였으므로 T로 시작합니다. 제2문자는 설비의 보호선이 전력계통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역시 N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보호 도체인 PE와 중성선 N이 합쳐져서 PEN으로 가기 때문에 제3 문자는 C로 표현합니다. 

- TN-C-S

우리나라 접지방식 - ulinala jeobjibangsig

다음은 TN-C-S 계통 방식입니다. 역시 제1문자는 전력계통이 직접 접지가 되어 있어 T이고 전력계통의 접지에 보호 도체가 접속되어 있어 제2문자는 N입니다. 제3 문자는 위에서 설명드린 TN-C와 TN-S방식이 모두 사용된 방식이므로 C-S를 모두 넣습니다. 따라서 이 계통 방식은 TN-C-S가 되는 것입니다. 

2) TT계통 접지

우리나라 접지방식 - ulinala jeobjibangsig

다음은 TT계통 접지입니다. 위와 같이 전력계통은 역시 직접 접지가 되어 있으므로 제1 문자는 T입니다. 또한 설비의 보호 도체가 전력계통의 접지와 별도로 분리되어 접지가 되어 있으므로 제2 문자 역시 T가 되겠습니다. 

3) IT계통 접지

우리나라 접지방식 - ulinala jeobjibangsig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전력계통의 접지선의 중간에 임피던스 Z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제1문자는 I가 됩니다. 또한 설비의 보호 도체가 직접 대지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제2문자는 T가 됩니다. 따라서 이런 계통 접지를 IT계통 접지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계통 접지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글의 내용이 많은 것 같지만 대충 그림만 반복하여 보셔도 쉽게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3. 구 접지공사법 폐지 건

우리나라 접지방식 - ulinala jeobjibangsig

2020년까지는 위와 같이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의해 1종 접지, 2종 접지, 3종 접지, 특 3종 접지가 있었고 그에 맞는 접지저항값이 있었습니다. 위의 내용은 내선규정에도 나와 있습니다. 사실 위의 구법이 필자에게는 익숙하고 매우 외우기도 쉽습니다. 하지만 한국전기설비규정 KEC에서는 위의 규정이 모두 폐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위의 과거 접지공사법에 의해 지어진 전기설비가 훨씬 많기 때문에 위의 규정을 모르고 있으면 당연히 안됩니다. 기본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전기를 하시는 분이라면 꼭 암기하고 있어야겠습니다. 

오늘은 한국전기설비규정 KEC의 접지 규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과거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있는 접지저항값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