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이번에 알아볼 것은 트위치 모바일 후원 방법입니다. 트위치는 pc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지하철이나 자동차 안에서 트위치를 자주 보곤 합니다. 트위치를 보고 있으면, 재미를 위해서 혹은 순전히 도와주고 싶은 마음으로 후원을 할 때가 있습니다. pc로는 자주 하는데, 모바일로 하려니까 번거로운 과정이 있더라고요. 그 과정을 한 번 알아봅시다.

 

트위치 모바일 후원하기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1. 채널 들어가기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2. 정보 들어가기

 

채널에 들어왔습니다. 채널에 들어가면 사진과 같은 화면입니다. 위에는 채널 이름, 사진 그 밑에는 디스코드, 팔로우 등 여러가지 버튼들과 문자들이 있습니다. 화면 중앙에는 홈, 정보, 일정, 동영상, 클립 등 여러개의 메뉴들이 있습니다. 저희는 지금 트윕 링크를 찾으려고 합니다.

 

정보 메뉴를 눌러줍니다.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3. 트윕 들어가기

 

정보에 들어가시면 스트리머가 올려둔 여러가지 정보가 있을겁니다. 채널 정보, 트게더, 트윕 그리고 유튜브 등 여러가지 사진과 링크들이 있습니다. 만약 여기에 트윕이나 투네이션이 없다면, 그 스트리머는 후원을 안받는겁니다. 후원을 받는 스트리머라면 있을거고요.

 

트윕을 찾아서 들어갑니다.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4. 트위치 로그인 후 후원

 

트윕 사진을 눌러서 들어가시면 인터넷 브라우저가 열립니다. 화면은 사진과 같을 겁니다. 화면 중앙에 있는 트위치 로그인 버튼을 누르고 로그인을 해줍니다. 그 다음은, 컴퓨터에서 후원을 하는 방식과 똑같습니다. 금액을 정하시고, 메시지롤 입력하고 후원하기를 하시면 됩니다.

트위치 방송 준비 프로젝트/방송 잡다한 팁들

트위치 패널 트윕 투네 후원 배너 링크 추가하기

몽브르 2021. 1. 31.

목차

내 채널 정보에 트윕, 투네, SNS, 트게더 등의 배너를 넣고 싶다면 패널 편집을 이요하면 됩니다.

 

준비물

1. 트위치 아이디

2. 가로 사이스 320의 배너

3. 배너에 연결할 URL주소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자기 채널에서 정보를 누르면 패널 편집 버튼이 보입니다. 요거 활성화 해주시구요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를 눌러서 패널 추가 -> 텍스트나 이미지 패널추가를 눌러주세요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이미지 추가를 눌러서 준비한 이미지를 불러와주시고, 트윕이나 투네에서 알맞는 후원 링크를 넣어줍니다. 이때 혹시나 주소가 http://로 시작한다면 https://로 수정해주세요

 

 

트위치 사진 후원 - teuwichi sajin huwon

이제 패널 편집을 비활성화 시키면 배너가 정상적으로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돈많은 프로트수 하고 싶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트위치 방송 준비 프로젝트 > 방송 잡다한 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팅 읽어주는 봇 안되면 아프리카 도우미를 써보자  (0)2021.02.08트위치 잠방 카테고리 등장? Just Sleep???  (0)2021.02.05트위치 패널 이미지 투네/트윕 배너 다운로드  (0)2021.02.04트위치 방송을 처음 시작한다?! 스트리머 하려면 준비해야 할것들!  (0)2021.01.31[OBS]도네소리가 나만 안들려요  (0)2021.01.23방송이 갑자기 꺼져요! 채팅 딜레이가 엄청심해요!  (0)2021.01.23트위치 닉네임 변경 방법  (0)2021.01.13방송중에 마이크 소리가 두번 들린다면 체크해야 하는것들  (0)2021.01.12

태그

링크, 방법, 배너이미지, 투네배너, 트위치배너, 트윕배너, 후원배너

추천 글

댓글0

비밀글

등록

추천 글

2019년 7월 15일, 딥러닝을 이용한 스트리머 TTS를 선보였다. 스트리머 김나성과 여까가 본인 채널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이때는 극한의 내수용이었기 때문에 이 TTS는 해당 스트리머의 방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다.

2019년 8월 15일 케인의 TTS가 추가되었다. 트윕프로 사용자 한정으로 타 방송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뒤이어 스트리머의 목소리로 TTS 음성을 만들 수 있는 서비스인 트윕 마이 보이스 서비스가 오픈하였으며, 이를 위해 언어 분야 AI 업체인 마인즈랩과 제휴하였다. 이후 형독과 서나랑 등 다른 스트리머의 목소리도 계속 추가되고 있고 일부 스트리머의 목소리는 공용으로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대신 수수료 100원이 추가된다.

2019년 11월 18일 김도와 짬타수아의 TTS 베타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짬타의 경우 특유의 입딜이 연상되는 높은 싱크로율과 퀄리티로 극딜에 애용되고 있으며, 김도는 특정 발음(딸, 섹스) 등의 발음이 특히 구현이 잘 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2020년 3월 10일부터 리춘히의 목소리를 재현한 TTS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특유의 억양이 매우 높은 퀄리티로 재현되어 온갖 상황에 튀어나와 선전 방송을 해대며 웃음벨로 활약중이다. 목소리 이름은 '춘희'.

이어 며칠 뒤 공혁준과 살인마협회장의 목소리가 추가되었으며, 김나성과 여까의 목소리 역시 내수용이 아닌 타 방송에서 사용 가능해졌다.

2020년 4월부터 꽈뚜룹의 목소리가 추가되었는데, 특유의 재미 교포 발음이 매우 높은 퀄리티로 재현이 되었다. 이 목소리는 다른 목소리들과는 달리 수수료로 200원을 받는다. 이어 기존에 발음이 뭉개지는 문제가 있었던 여까의 리뉴얼 판이 출시되었다.

6월에는 삐부와 프로게이머 문호준의 목소리가 추가되었다. 참고로 삐부는 케인과 유사하게 두가지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이어 며칠뒤에는 루다의 목소리가 추가되었는데, 이쪽도 특유의 억양으로 인해 짬타 못지않게 극딜용으로 활용되는 중이다.

8. 트윕 파트너스[편집]

2020년 7월에 추가된 VIP 멤버쉽. 무료로 신청할수 있으며 실버, 골드, 플래티넘별로 혜택이 다르다. 조건은 후원 플랫폼 트윕 단독 사용

  • 서비스 지원
    TWIP PRO 무료지원
    파트너스 담당자와의 1:1상담 및 핫라인 제공
    트윕의 신규 베타서비스 우선체험
    EJN 스튜디오 지원
    트게더 스포트라이트 우선노출
    광고/캠페인 우선제안

  • 제작 지원
    TTS 제작 지원
    굿즈 상품 제작 연계
    콘텐츠 제작 지원
    방송 기술 온라인 지원
    방송 기술 오프라인 지원 연계

  • 성장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
    방송 콘텐츠, 시청자 분석 월간 리포트 제공
    시청자들의 참여도를 분석하여
    방송에 적합한 콘텐츠 제안
    방송 전략 컨설팅 제공
    트윕 파트너스 크리에이터 간 네트워킹
    기회 제공

  • 추가 혜택 지원
    트윕마켓 수수료 우대
    클립 영상 노출빈도 확대
    핫클립을 통한 수익화 지원

  • 부가 혜택 및 지원
    스튜디오용 엑스배너 제공
    파트너 전용 굿즈 제공
    시청자 이벤트 지원(기프티콘 등)
    게임 소프트웨어 제공

  • 회계 자문 지원
    기타 세무신고, 절세상담, 세무조사
    각종 견적 요청 서비스


그러나 2021년 4월 시점에서는 접속이 안 되고 있는데, 파트너스 프로그램이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 트게더가 이용자들이 네이버 카페 등으로 빠져나가는 등[17] 트위치 커뮤니티로서의 기능이 축소되고 있는 상태이고,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가 Twitchtracker 등 서드파티 서비스에서도 가능한 건 물론[18] 좁은 파트너스 크리에이터 풀이 실패요인으로 보인다. 경쟁서비스인 Toonation의 경우 결제서비스의 내실화 및 이벤트를 통한 수익 환원에 집중하여 유튜브, 아프리카TV 이용자까지 자사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들었다.

요약하자면, EJN 측은 파트너스 프로그램을 통해 플랫폼 전속계약을 통한 전환비용 증가를 노렸으나, 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 실패하였다.

9. 논란[편집]

9.1. 트위치와의 후원 서비스 독점 파트너십 논란[편집]

2017년 여름에 트위치 코리아에서 Twip을 운영하는 이제이엔과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이제 월급 계약 스트리머들은 Twip만 독점으로 쓰도록 변경되었다. 이 파트너십에서 후원서비스 독점 위법 논란이 있다. 트위치 본사에서는 자신들은 서드파티 프로그램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약관에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투네이션을 같이 쓰고 있던 계약 스트리머들의 투네이션 계정이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이 때문에 스트리머들은 투네이션보다 수수료를 더 내면서 Twip을 강제로 쓸 수밖에 없다. 시청자들로서도 아쉬움이 많은데 투네이션은 보이스웨어의 TTS를 쓰기 때문에 Twip과는 다른 목소리로 후원할 수 있기 때문. 이외에도 투네이션보다 기능이나 업데이트도 적다는 점도 지적받고 있다. 어쨌든 Twip은 경쟁 업체의 지분 없이 중대형 스트리머의 수수료를 모조리 벌고 있다.

잠잠해졌던 논란은 TwipPro 런칭으로 재점화되었다. 독점 계약을 무기로 하여 스트리머들을 상대로 본격적인 DLC 장사를 시작한 것이다. 안 그래도 독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고 있었던 Twip인데 이제 추가 기능을 위해서 매달 33,000원, 즉 매년 40만원을 꼬박꼬박 지출해야 된다. TwipPro에서 새로 추가된 음성 중에 투네이션에서 이미 쓰고 있는 보이스웨어 음성도 많아서 '유료 투네이션'이라는 비아냥도 듣고 있다. 물론 계약 스트리머들은 투네이션을 쓸 수 없기 때문에 TTS를 추가하고 싶다면 TwipPro가 불가피하다.

경쟁사인 Toonation에서는 TwipPro의 DLC 장사를 대놓고 비꼬듯이 TwipPro와 흡사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무료로 내놓았다. Toonation 공식 홈페이지의 FAQ에 따르면 (독점 파트너십이 풀렸는지) 트위치에서의 투네이션 사용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한다.[19]

2019년 트위치 코리아 권력 남용 사건이 터지면서 이에 대한 Twip과 트게더를 운영하는 EJN의 대응이 논란이 되고 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또한 이 사건이 드러나는 과정에서 모 스트리머에 의해 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는 Twip만 사용하도록 강제되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이로 인하여 투네이션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결국 트위치 코리아와 EJN이 한 통 속이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나이스게임TV의 홀스는 마이크 허가 트윕 강제 조항을 만들었다는 것을 들었다고 했다. 마스카도 트윕을 쓰는 것이 의무였다고 밝혔다. 심지어 마이크 허가 트위치를 퇴사한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는데,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관계자도 트위치 코리아가 Twip만 사용하도록 강제했다고 말했다. 마리텔 관계자의 증언이 담긴 해당 클립은 트게더에 올릴 수 없도록 막혀 있다. 트윕과 트게더의 운영사(EJN)가 같다는 점을 생각하면 왜 투네이션의 클립을 올릴 수 없게 막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폭로가 나온 후 스트리머들이 하나둘씩 후원 서비스 업체를 투네이션으로 옮기거나, 트윕, 투네이션을 동시에 켜는 이른바 '투배럭'을 돌리고 있다. 5월 30일 홍방장이 권력 남용 사건의 핵심 인물인 스패너 송천팔(송창수)에게 직통으로 전화 통화를 걸어 투네이션 사용 허락을 받아냈다. 송창수와의 통화내용 #1 #2 송창수는 "트윕만 쓰라고 한 적이 정말로 없는가", "(만약 트윕만 쓰라고 한 적이 없다면 트윕만 강제되는) 불이익을 받았던 사람들은 왜 나오는가"라는 홍방장의 질문에 횡설수설하며 핑계를 대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스트리머들이 트윕 강제/투네이션 불가 조항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9.2. 운영진의 근무 태만[편집]

한 때 후원금이 날아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후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내창은 뜨지만 스트리머에게 가지는 않아서 많은 스트리머들의 팬들에게 원성을 샀다.[20]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형 스트리머들은 방송 시작 후 초반 Just Chatting을 할 때 후원을 몰아서 받고 이를 하나씩 보여주는 방식을 활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많이 개선된 편.

10. 외부 API[편집]

해당 API들은 모두 Twip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Twip에서 제공하는 AlertBox의 웹소켓을 이용하여 가져오는 비공식 API이다.

10.1. 파이썬 Python[편집]

PyPi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으며 MIT 라이선스로 Github에서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 PyPi 이용
pip install -U twip-api

# Git 이용
git clone https://github.com/junah201/Twip


위 코드를 통해 설치할 수 있으며 후원, 룰렛, 구독, 호스팅 등 AlertBox에 뜨는 모든 이벤트를 지원한다.

룰렛 등으로 인게임내 상황을 제어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import twip

Twip = twip.Twip()

@Twip.event
def on_donate(ctx):
    print(f"id : {ctx.id}")
    print(f"nickname : {ctx.nickname}")
    print(f"amount : {ctx.amount}")
    print(f"comment : {ctx.comment}")
    
Twip.run("your alert box id", "your twip api token"")

10.2. 코틀린 Kotlin[편집]


마인크래프트 Bukkit 서버용 플러그인이다. 공식 Github에서 다운받아 실행해볼 수 있다.

[1] 후원 주소는 https://twip.kr/donate/(스트리머의 트위치 아이디)와 같은 형식이다.[2] 친고죄에 해당하지만 영리 목적 / 상습적인 경우 권리자가 아닌 자도 고발할 수 있다.[3] Streamlabs과 Twip 차이점 http://itcm.co.kr/g_board/1756441 http://tgd.kr/twip/140504[4] 한국은 2013년부터 VAT포함해서 가격표기 해야 한다.# (대표적 예로 카카오TV)[5] 탈퇴시엔 환급받을 수 있기는 하나 1년간 같은 아이디로 가입할 수 없다.(다른 아이디로는 같은 명의로 정산 계약 가능)[6] 2016년 8월 1일 이전. 원천•소득세 미포함, Twip 서비스 수수료.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7] 국내 플랫폼은 1주일 넘었을 경우 3.3%만 공제한다.[8] 예로 Twitch 구독할때 입금한 돈의 30%만 최종 전달된다.[9] 트위치와의 계약은 필요 없지만, Twip과의 계약은 해야 된다. 다만 시청자수/방송 빈도와 관계없이 신분증과 통장 사본만 올리면 계약이 되기 때문에 계약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10] 삼성카드와 KB국민카드의 한도는 다른 카드에 비해 낮은 편이다.[11] 정확히는 19,190,301원. 최태성의 강의를 듣는 제자들이 돈을 모아서 도네를 한 듯 하며, 마리텔2의 경우 도네금액이 해피빈으로 간다.[12] 예를 들면 的는 '데'로 읽는다.[13] 홈페이지에는 1,000원이라고 써 있는데 VAT 10% 별도라서 VAT 포함하면 1,100원이다.[14] 스트리머가 서비스를 위해 별도로 결제를 할 필요는 없고 후원금 정산 시에 TwipPro 이용 요금이 차감되는 식으로 결제된다.[15] 실제로 장기하와 얼굴들 소속사 두루두루 아티스트 컴퍼니는 장기하 본인의 목소리를 선바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보내주기도 했다.[16] 트수들이 편의상 '재민'이라고 부르기는 하지만 사실 '재민'은 투네이션에서의 캐릭터명이고 트윕에서는 캐릭터명이 없다. 트윕에서의 캐릭터 이미지도 초딩과는 거리가 먼 성인 남성 이미지이지만 편의상 재민이, 잼민이라는 이름이 주류로 자리잡았다. 참고로 원조인 보이스웨어에서의 캐릭터명은 '씩씩한강모'.[17] 특히 시청자수가 많은 스트리머의 경우 트게더가 사실상 투기장 역할을 하여 스트리머들이 트게더를 버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18] EJN의 경우 클립 노출빈도 확대 등으로 특정 스트리머 밀어주기 문제가 일어날 수 있었다.[19] 특정 서드파티만 이용하도록 강요를 받은 적이 있으면 투네이션으로 제보 부탁한다는 말도 덧붙여져 있다.[20] 다만 이 경우는 후원자가 너무 많아 늦게 보이는 것일 수도 있다. 보통 레바 방송이 그런다. 10분 이상 걸리기도 할 정도. 그날따라 도네가 많이 터지면 1~2시간까지도 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