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코프 메모리 클리너 - taleukopeu memoli keullineo

가장 확실한 것은 직접 해보는 것! 타르코프 게임에서 ` 키를 누르고, fps 1 이라는 명령어를 치시면 프레임, 핑, 로스율 등이 화면에 나타나니 그걸로 프레임 확인해보세요. 끄는 것은 fps 0 명령어 치시면 됩니다.[소문자로 해야 명령어 인식합니다.]

글 마지막에 제가 추천해드리는 세팅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Game 부분 세팅===

친추 보내지 마세요..아는 사람 아니면 안 받아요..

닉네임 아래에는 퀵슬롯, 몸 상태 등 확인할 수 있는 UI를 어떤 조건으로 나타나게 할 지 세팅하는 것으로 취향에 맞게 하시면 됩니다. [저는 자주 까먹어서 퀵슬롯, HP는 항상 보이게 하는 편입니다.]

Auto RAM Cleaner :

타르코프는 게임을 장시간 켜두실 경우 메모리가 쌓여서 램 용량이 딸리게 됩니다. 그러한 부분에서 최적화를 하기 위해 있는 설정이며, 다른 램 클리너 프로그램이 있으시다면 꺼두셔도 됩니다. [아니면 수동으로 게임을 껐다 키시면 됩니다.]

Use Only the physical cores :

노xx겜 님의 영상을 보고, 또 직접 해보고 나서는, (하이퍼 스레딩 기술이 없는) CPU(EX.인텔)이시거나 자체 클럭 수가 높으신 분들이라면 이 설정을 키시면 프레임이 조금 낮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 암드 3000시리즈와 같이 하이퍼 스레딩 기술이 있으시다면 프레임이 조금 높이 향상되는 것 같습니다. 이 설정은 직접 확인해보시고 키고 끄는 것을 추천합니다.

하이퍼 스레딩 기술 뭐 그런 것까지 알려드리기에는 안 읽으실 것 같으니 각설하겠습니다.

[혹여 읽으시는 분들, 하이퍼 스레딩은 CPU의 물리적 코어가 한 개이면 두 개인 것처럼 사용하도록 정보처리를 분산하는 것 입니다. 하지만 사실상 스레딩은 아시다시피 처리하는 것을 빠르게 하나 하나 교체하는 것이죠. 아무튼 쓰잘데기 없는 정보였고, 최적화 망겜은 CPU 자체 클럭 수가 높았어야 하지만, 지속된 타르코프 서버 패치로 인해서 클럭 수가 낮더라도 하이퍼 스레딩 기술로 프레임의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었습니다.]

FOV :

시야각입니다. 수가 낮을 수록 각이 좁아져 한 모니터에 담겨지는 시야가 좁아지고, 높을수록 각이 넓어져 시야가 넓어집니다. 이것도 취향입니다만, 저는 60으로 두고 합니다. [고수, 고인물들은 풀로 땡겨서 75로 둔다고 합니다.]-하지만 3D 멀미가 있으시면 75로 두시면 토할 수 있습니다.

Head Bobbing :

머리가 흔들리는 정도입니다. 마인크래프트를 해보셨으면 아시겠지만 뛸 때 머리가 흔들리는 것이 있을 것 입니다. 마찬가지로 취향입니다만, FPS에서 3D 멀미를 하시는 분이나, 게임 할 때 거슬리는 분은 최저로 두고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Graphics 부분 세팅===

VSync :

이것은 사양에 맞춰서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이를 끄면 타르코프에서 맞춰주는 FPS 제한이 걸리고, 이를 키면 FPS 제한이 사라집니다.(고사양 컴퓨터라서 FPS가 타르코프에서 정해주는 120을 뚫을 수 있으면 키시길 바라겠습니다.) 켜도 FPS가 120 언저리라면 끄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고사양 : 타르코프 vsync 키고, 컴퓨터 Nvidia 제어판에서의 수직동기화도 켜기 (엔비디아도 꺼 버리면 FPS가 컴퓨터가 가능한 성능을 풀악셀로 당겨버립니다.

- (엔비디아 수직동기화도 끈) 컴퓨터 - "모니터? 니가 뭔데 144Hz 제한을 걸어 난 400까지 불태울 수 이써어어어어어!!"

그러면 컴퓨터 수명까지 불타는 거죠.)

저사양 : 타르코프 Sync 끄기. [엔비디아 제어판 안 건드려도 됩니다.] 저사양은 꺼야 프레임 잘 나옵니다.

Screen mode :

유튜버 나X님의 의견으로는 Full Screen으로 해야 프레임이 밀리지 않는다고 합니다만, 저는 Borderless로 한 편이 프레임이 잘 나와서 합니다. 이것도 취향입니다. [그런데 정확히 프레임이 밀린다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네요. 아시는 분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Texture Quality :

다들 잘 아실 것 같습니다. Medium과 high의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아[있긴 합니다만] 프레임을 중시하신다면 Medium, 화질을 중시하신다면 high로 두시길 바라겠습니다. (취향과 사양에 맞게 설정하시길.)

Shadow Quality :

이것도 medium 과 high의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텍스쳐와 동일한 방식으로 취향에 맞게 설정해주세요.

Object LOD Quality :

사물의 세세함 척도. [LOD : Level of Details]. 이것이 높으면 멀리 있는 사물도 세세하게 표현합니다. 그렇게 큰 차이는 없으니 최저로 맞춰 두시는 걸 추천합니다.

Overall Visibility :

어디까지 시야를 처리할 것인지에 관한 것입니다.(오브젝트 렌더링 사거리) 높으면 높을수록 멀리 있는 사물까지 표현됩니다. 대부분은 최저인 400으로 맞추고 합니다. (저는 아니지만요.)

Shadow Visibility :

이번에는 어디까지 그림자를 표시할 것인지에 관한 것입니다.(그림자 렌더링 사거리) 멀리 있는 유저의 그림자까지 보고 싶으시면 멀높이 하시고, 그림자 빼고 물체, 유저만 보고 싶으시면 낮게 두세요.

중-장거리 교전에서 상대를 놓칠 가능성이 있으니 적당히 50 언저리에 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저는 그림자 좋아해서 멀리하는 편입니다.)

Anti-Aliasing :

안티 앨리어싱[좌측이 TAA이고, 우측이 FXAA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사실은 우측은 안티 앨리어싱이 된 것이 아니지만..)]

안티 앨리어싱은 위 사진처럼 물체가 깨지는 정도를 완화시키는 것(그래픽을 뭉개는 것) 입니다. 타르코프 설정에서는 FXAA,TAA 가 있는데 물체가 뚜렷해지는 것은 FXAA이고 그래픽이 깨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물체는 살짝 흐려지지만 그래픽이 더 좋아 보이는 것은 TAA 입니다. (선호하는 취향에 맞게 하시길.)

Re-Sampling :

수능 준비할 때 비문학 지문으로 나온 것 같네요. 설명은 안 하겠습니다. 기억나는 거 다 적어드려도 게임에 도움은 안되니까요!

이미지 처리에 관한 것으로 화면을 볼 때 멀리 있어서 작은 것의 그래픽 화질 수준을 어쩌고 저쩌고 하는 것이니, 그냥 1x off로 두시는 것이 마음에 편합니다.

HBAO :

이 설정을 생각하실 때는 싸구려 유니티 게임을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음영, 명암 처리가 안 된 그래픽 퀄리티 수준이 허접이다! 그 게임은 HBAO를 포함하는 집합인 AO(앰비언트 오클루젼)가 적용된 것이 아닙니다.

즉, 그래픽 설정에서 더 질 좋은 그림자 처리로 현실성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설정이 높으면 더 현실성이 짙어지긴 합니다만, 큰 차이, 이득은 없어 low로 두는 편입니다.

SSR :

빛의 반사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웅덩이 같은 반사판에 얼마나 실사적으로 반사되는지 알 수 있죠.

하지만 그렇게 그래픽 지원 수준이 타르코프는 좋지 않아 off 했습니다.

Anisotropic Filtering :

질감에 관한 것입니다. 이질적이거나 어색하지 않도록 per texture까지만 했습니다.

Sharpness :

선명함 입니다. FXAA에다가 선명함 풀로 하시고, 진통제 효과까지 있다? 눈 찢습니다. 적당하게 맞춰주시길 바라겠습니다.

Z-blur :

이건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z-blur를 달리거나 점프할 때, 화면을 돌릴 때 생기는 블러(흐리멍텅)처리가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키고 끄고 직접 확인 했을 때, 그 기능이 아닌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z-blur는 C4D 프로그램(그래픽 툴)의 플러그인으로 알고 있습니다. C4D에서 z-blur는 그저 사진에서 초점이 안 맞는 부분은 흐리게 하는 것처럼 거리에 따른 선명도를 현실처럼 도와주는 블러로 알고 있습니다.(사진기처럼 극적인 초점 묘사를 하는 게 아니라 실제와 비슷한 블러 효과를 내려고 하는 기능 같습니다.)

그냥 끄세요.

Chrom.aberrations :

색수차 입니다. 렌즈의 색수차 아시죠? 그것입니다. 배율의 렌즈에서 색수차가 일어나는 것으로 감성 살리시고 싶으시면 키세요. (취향에 맞게 키고 끄시길 바랍니다.)

Noise :

말 그대로 노이즈 입니다. 가끔 영화에서 무겁고 실제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장르에서 노이즈를 사용합니다.

끄세요.

Grass shadow :

잔디의 그림자입니다. 끄세요.

=======================================================================

여기까지 그래픽 설정에 대한 설명은 끝났습니다.

유튜브에 "타르코프 그래픽 설정"을 검색하시면 많은 유튜버, 스트리머 분들이 저보다 더 잘 정리해 놓으셨습니다. 그걸 보고 맞춰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저의 추천 : [프레임도 괜찮고 화질도 괜찮습니다. 여기서 취향, 사양에 맞게 타협을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제 컴퓨터 사양:

AMD 라이젠 5 3500x

램 16 기가(오버 설정 안 했음)

GTX 1660 super

ssd 사용

============================================================이 아래는 그래픽 설정과 무관합니다. [글 작성만 2시간..어우야]

제가 설명드린 부분에서 틀린 부분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고, 다른 뉴비분들이 참고하실 수 있도록 자신이 생각하기에 좋은 세팅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뉴비분들은 여러 글, 영상 보시는 것을 힘들어하기 때문에 한 곳에 정보가 많이 있으면 그걸 잘 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댓글이 그 분들에게는 좋은 영양분입니다.]

여러분의 댓글로 제가 어떤 글을 써야할 지 알 수 있었고, 많은 도움이 되는 글을 쓸 수 있었습니다. 너무 핑거프린스/프린세스 인 것도 나쁘지만, 찾아봐도 잘 모르겠다 싶은 것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물어봐야 좋습니다. :D

더욱이 제가 초창기에 어떤 것이 힘들었고, 어려웠는지 까먹은 상태입니다. 그렇기에 공략글을 쓰는 것이 더 어렵네요. 과외든 뭐든 모르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고 알려주는 게 제일 효과적이지만 그게 제일 어렵더군요.

여러분들도 같이 하는 뉴비분들의 플레이에 너무 답답해하시지 마시고 천천히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유입이 많 은 요즘에 뉴비를 가르치는 좋은 분들은 필수 입니다! 타르코프 셰르파 지원글 읽었을 때, 이 구절이 인상깊더라구요.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