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에즈운하 에버그린 - suejeuunha ebeogeulin

수에즈운하 에버그린 - suejeuunha ebeogeulin

지난달 수에즈운하에서 좌초해 전 세계적 물류 대란을 불러 일으켰던 에버기븐호가 수에즈운하 중간 비터 호수에서 지난달 30일 점검을 받고 있다. 수에즈운하=AP 연합뉴스

지난달 수에즈운하에서 좌초해 전 세계적 물류 경색을 불러 일으켰던 에버기븐호의 운항사가 좌초로 발생한 손해에 대해 에버기븐에 실렸던 화물의 지연 말고는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에버그린은 운항사인 만큼 책임은 선주에게 있다는 이야기인데 적어도 10억달러(약 1조1,310억원)으로 추정되는 배상에서 자신들은 빠지겠다는 이야기다.

셰후이취안(謝惠全) 에버그린 사장은 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에버기븐호 사고 관련 배상 문제에 대해 “우리는 운항사이기 때문이 일절 책임질 일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로 인한 배상책임이 전적으로 선주인 일본 쇼에이(正榮)기선에 있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셰 사장은 “에버기븐호 사고는 수송 중에 일어났으며 그럴 경우 계약상 선주가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는 근거를 댔다. 또 셰 사장은 “에버그린이 책임을 지는 건 (에버기븐에 실린) 화물 자체뿐이며 이는 보험회사가 보증한 범주 안에 있다”고 강조했다.

에버기븐 좌초로 추정되는 손실액은 최소 10억달러에 달한다는 것이 일반적 예측이다. 오사마 라비 이집트수에즈운하청(SCA) 청장은 지난달 31일 이집트TV 인터뷰에서 에버기븐 좌초 사태로 인한 피해액을 산출할 예정이며 일단 10억달러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집트 당국은 일단 선박을 소유한 일본 쇼에이 기센에 피해 배상을 요구할 전망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달 29일 SCA가 쇼에이기선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며 양 측과 보험사가 보상 규모를 합의할 수도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김진욱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수에즈운하 에버그린 - suejeuunha ebeogeulin

    파나마 선적의 길이 400m 초대형 컨테이너선 '에버 기븐'호가 수에즈 운하의 통행을 가로막고 있던 모습/사진제공=맥사 테크놀러지스

    초대형 컨테이너선 '에버기븐'(Ever Given)호 좌초 사태와 관련, 사고 선박의 선사인 대만의 '에버그린'과 에버기븐호의 선박소유주(선주)인 일본 '쇼에이 기센' 중 한 곳은 이집트 당국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급해야 할 것으로 점쳐진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오사마 라비 수에즈운하관리청(CSA) 청장은 이날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번 사태로 이집트의 평판이 손상돼 마땅히 배상금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배상금 규모는 1조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라비 청장은 "배상 액수는 운송료, 준설·인양 작업으로 인한 운하 파손, 장비 및 인건비 등을 고려한 추정치"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는 이집트 측 피해에 한정된 것으로, 정확한 글로벌 물류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고 이후 운행 통행이 막힌 시점부터 운행이 재개될때까지 통행 마비 피해를 입은 선박들에 통행료 할인을 진행됐고, 세계 최대 해운사 머스크가 15척 화물선을 희망봉 항로로 바꾼 탓에 피해규모는 이보다 커져 1698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24시간 근무체재로 뱃머리가 묻힌 제방 흙 제거 작업에 투입된 현장 인력 약 180여 명을 비롯해 직간접적으로 2000여명이 투입돼 복구작업을 펼쳤는데, 이후 제방 복구 등도 이뤄져야 하는 만큼 피해 규모는 늘어날 수도 있어 보인다.

    아직까지 수에즈 운하 당국이 어느 곳에 배상금을 청구할 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대만 에버그린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보상금 지급을 요구받을 일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일본 '쇼에이 기센'은 구에즈운하관리청이 배상 문제에 관해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라비 청장은 이날 사고 원인 조사와 관련 최소 1주일은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스푸트니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정확한 날짜를 말하기는 불가능하다. 빨리할 수 있거나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면서 "하지만 조사는 최소 1주일간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이 모든 사고 환경을 분명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영상과 문서뿐 아니라 항해 데이터 기록 장치의 정보도 분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집트는 전날부터 에버 기븐호의 좌초 원인을 찾기 위해 공식 조사에 착수했다.

    아직까지 좌초 원인을 두고는 관측이 엇갈린다. 선박 기술관리 회사인 버나드슐테선박관리(BSM)는 지난 29일 "1차 조사 결과, 강풍으로 인해 항로를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며 기계나 엔진 고장을 좌초 원인에서 배제했다.

    반면 라비 청장은 "바람의 영향이 이번 사건의 주요 원인이 아니"며 "기술적 또는 인간의 실수가 원인이었을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러면서 그는 "에버 기븐호에 탑승한 운하 도항사 2명은 고위급이고 매우 유능한 사람"이라며 운하 당국의 실수도 부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인양과 보수 작업 비용은 물론 에버 기븐호 좌초로 항해가 지연된 다른 선박 손실의 배상 주체가 정해질 전망이다.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주요 항로인 수에즈운하에는 매일 96억달러 규모 상품이 오간다.

    앞서 중국에서 출발해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향하던 파나마 선적의 에버기븐호가 지난달 23일 수에즈 운하 중간에서 좌초하면서 운하의 통행이 마비됐다. 에버기븐호는 길이 400m, 총톤수 22만4000t의 대형 선박이다.

    로이터통신은 "지난달 31일 총 163척의 배가 수에즈 운하 통항 재개 후 거쳐 갔으며 현재 292척이 대기 중"이라며 "좌초하면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기 위해 대기한 선박은 약 422척에 달했다"고 밝혔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수에즈운하 에버그린 - suejeuunha ebeogeulin

    지난 3월30일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 정박해 있는 에버기븐호. AP 연합뉴스

    수에즈 운하를 일주일가량 가로막았던 초대형 컨테이너선 좌초 사고의 배상금 협상이 타결됐다. 수에즈 운하에 묶여있던 사고 선박 에버기븐(Ever Given)호도 석 달 여 만에 풀려난다.

    <가디언&amp;amp;gt; 등은 4일(현지시각) 사고 선박의 소유주인 일본 쇼에이기센 쪽과 운하를 관리하는 수에즈운하관리청 쪽이 이날 사고와 관련한 배상금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고 전했다. 선박 소유주와 보험사 쪽은 성명을 통해 “선박 압류 해제 준비가 마무리됐으며 정식 합의서 서명은 절차에 따라 수에즈운하관리청 본부가 있는 이스마일리아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고 처리 이전까지 수에즈 운하를 떠날 수 없었던 에버기븐호는 오는 7일 출항할 예정이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앞서 에버기븐호는 지난 3월23일 수에즈 운하에 들어선 뒤 좌초했고, 이로 인해 운하 통행이 일주일가량 전면 중단됐다. 수에즈운하관리청은 준설선과 대형 예인선 등을 투입해 만 엿새 만에 사고 처리를 완료했다. 당시 운하가 봉쇄돼 차질은 빚은 무역 규모가 일주일에 100억달러(약 11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월스트리트 저널)도 나왔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사고 이후 처리 과정에 시간이 더 걸렸다. 애초 수에즈운하관리청은 통항 장애에 따른 피해와 준설·인양 작업으로 인한 운하 파손, 사고에 따른 이미지 실추 등을 고려해 사고 배상금으로 9억1600만 달러(약 1조405억원)를 청구했다. 선주 쪽과 합의가 난항을 빚자 사고 선박을 압류했고, 이후 협상에서 배상금 요구액을 5억5천만 달러(약 6248억 원)로 낮췄다. 양쪽은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최현준 기자 &amp;lt;a href="mailto:"&amp;gt;&amp;lt;/a&amp;gt;&amp;lt;/div&amp;gt; &amp;lt;div class="gudokArea"&amp;gt; &amp;lt;a href="https://nuri.hani.co.kr/hanisite/mobile/index.html" title="구독신청" target="_blank"&amp;gt;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amp;lt;span&amp;gt;한겨레 구독신청 하기&amp;lt;/span&amp;gt;&amp;lt;/a&amp;gt; &amp;lt;/div&amp;gt; &amp;lt;link rel="stylesheet" href="//img.hani.co.kr/section-image/22/bn_support/bn2022_event_blanket.css" type="text/css" /&amp;gt; &amp;lt;div class="bn-promotion-support-5st"&amp;gt; &amp;lt;div class="support-con item1" style="display:block"&amp;gt; &amp;lt;div class="support-btn"&amp;gt; &amp;lt;div class="btnnavy"&amp;gt;&amp;lt;a href="https://support.hani.co.kr/introduce/event_kyeoriblanket.html" target="_blank"&amp;gt;이벤트 참여하기&amp;lt;/a&amp;gt;&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 id="ad_box01" class="ad_box01_area"&amp;gt; &amp;lt;h3 class="blind"&amp;gt;광고&amp;lt;/h3&amp;gt; &amp;lt;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adservice.hani.co.kr/RealMedia/ads/adstream_jx.ads/hani_desktop/@x13?section=international&amp;amp;amp;kisano=1002130"&amp;gt;&lt;/div&gt; &lt;div id="taboola-3x3-article-thumbnails"&gt;&lt;/div&gt;&lt;script type="text/javascript"&gt;window._taboola = window._taboola || [];_taboola.push({mode: 'thumbnails-desktop-a',container: 'taboola-3x3-article-thumbnails',placement: 'Below Article Thumbnails 1',target_type: 'mix'}); <div id="laAdArea" style="padding:10px 0 25px"> <h3 class="blind">광고</h3>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adservice.hani.co.kr/RealMedia/ads/adstream_jx.ads/hani_desktop/@x14?section=international&kisano=100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