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 흠 벅 쇼 논란 - ssai heum beog syo nonlan

남부 지방을 비롯한 전국에 장맛비가 또 내릴 것으로 예보돼 가뭄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겨울부터 시작된 가뭄은 최근까지 계속됐다. 가뭄으로 전국의 댐과 저수지 수위가 낮아지면서 농작물 피해는 물론이고 어민들은 조업을 포기하는 상황에 처했다.

당시 9집 앨범을 발매한 가수 싸이(PSY)가 객석에 물을 뿌리며 공연하는 '흠뻑쇼'를 개최하겠다고 밝히자 네티즌들은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흠뻑쇼' 개최 소식을 들은 한 배우는 트위터를 통해 "물 300t을 소양강에 뿌려줬으면 좋겠다"고 '소신 발언'을 하기도 했다.

싸이 '흠뻑쇼'에 대한 농민들 생각은?

일부 농민들의 이야기가 농민 전부를 대변할 수는 없지만, 대다수 농민은 "주최 측이 사비를 들여 구입한 물을 쓰는 것이고, 싸이 '흠뻑쇼'뿐 아니라 워터파크, 골프장 등에서도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공연계 물 사용만 문제 삼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이다.

충남 서천에서 농업을 하는 농민 A 씨는 "그 물이 있다고 농가 전체의 가뭄이 해소되지 않는다"라며 "가뭄으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 맞지만 특정인이나 특정 축제를 비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 경기 평택에서 농업을 하는 B 씨는 "기사를 통해 물 축제 이야기를 들었다"며 "내가 아는 농민들 대부분은 축제에 사용하는 물이 가뭄을 해소하는 데에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근본적인 가뭄 해소를 위해 가뭄 대비 용수개발, 저수지 준설 같은 등 사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북 김천에서 농업을 하는 C 씨는 "가뭄은 언제든 다시 찾아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논란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더 중요하다"라며 "농업에 국가적인 차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농어촌공사 "3000t의 물 가뭄에 영향 주지 못하는 양"

'흠뻑쇼' 1회당 300t의 물이 필요하다. 전국 9~10곳에서 순회공연을 하면 대략 3000t의 물이 '흠뻑쇼'에 사용된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보통 농촌에 있는 중형 저수지의 저수량이 26만t 정도인데 큰 저수지는 100만t 이상도 들어간다"고 말했다.

그는 "가뭄엔 3000t의 물도 귀하다 할 수 있지만, 전국적 가뭄을 해소하는 데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양"이라고 말했다.

농어촌공사에 따르면 통상 식수로 쓰는 수원과 농업용수용 수원은 별도로 관리된다. 공사 측은 "식수와 농업용수용 수원이 같은 곳도 있지만, 대개 식수 수원은 상류 쪽에 많고 농업용수 수원은 이와 별도로 관리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변기 물 절약하는 게 물 아끼는 법"

빗물 박사 한무영 서울대 명예교수는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변기 물을 절약하는 것이 물을 아끼는 방법"이라며 '흠뻑쇼' 논란을 일축했다.

그에 따르면 한 사람이 하루 변기에 사용하는 식수의 양은 약 120리터다. 일반 변기의 경우 물 한 번 내리는데 12리터를 사용하는데, 10회를 쓴다 가정했을 때, 이 같은 계산이 나온다. 이를 1년으로 환산하면 (120리터X365일) 약 43톤이 된다.

변기 중에는 한 번에 4리터 물을 쓰는 초절수형 변기가 있다. 초절수형 변기를 쓴다면 1인이 절약할 수 있는 식수의 양은(8리터X10회X365일) 약 29.2톤이다. 1가구 4인 가족이 초절수형 변기로 일 년에 116.8톤을 절약할 수 있는 셈이다.

한무영 교수는 "세 가구만 변기를 바꾸면 일 년에 약 350톤의 수돗물을 절약할 수 있다"며 "절수형 변기로 바꾼 사람이라면 평생 '흠뻑쇼'를 즐길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대다수의 농민과 전문가들은 "공연계 물 사용과 가뭄을 엮어 문제 삼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이다.

실제로 '흠뻑쇼'를 중단한다고 해도 가뭄에는 큰 영향이 없다. 오히려 근본적인 가뭄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더 시급해 보인다.

한편 기상청 수문 기상 가뭄 정보시스템을 보면 지난 12월 30일부터 지난달 29일까지 6달 동안 전국 누적 강수량이 310mm로 평년의 70%까지 올라섰다.

다음 주 전국에 비가 올 것으로 보여 해갈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도 '기상 가뭄 1개월 전망'에서 지난 28일부터 오는 8월 7일까지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해 기상 가뭄이 대부분 해소되겠다고 밝혔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 �ν�Ÿ�׷�, '���� �컶�� 2022' ������ũ Ƽ�� ���� ���� ĸó

���� ���̰� 3�� ���� ���� �ܼ�Ʈ '���� �컶�� 2022' ���ָ� �յ� ���, ������ �� ��뿡 ���� ������ ���Դ�.

���̴� ���� 4�� ���� �ν�Ÿ�׷��� ���� '���� �컶�� SUMMER SWAG 2022'�� ���� ���� �ҽ��� �˷ȴ�. �̹� ������ 2019�� ������ ���� '���� �컶�� 2019' ���� 3�� ���̴�.

���̰� �������� �������� ��ǥ �ܼ�Ʈ�� '�컶��'�� ���� �컶 ���� ���·� ������ ���� ������ �� �˷��� �����̴�.

/����=MBC '������Ÿ' ��� ȭ�� ĸó

���̴� ������ 4�� MBC ���� ���α׷� '������Ÿ'�� �⿬�� '�컶��'�� ����ϴ� ���� ���� "�� ���� �� �ִ� ���� ����. �Ŀ� ���� ��� ��"�̶�� "������ ��¥ ���� ���. �ܼ�Ʈ ȸ�� 300�� ���� ���"�� ���� �� �ִ�.

�״� ����� ������ ������� �����Ѵٸ� "������ ������ �Ʒ� �������� ���� ��Ƴ��´�"�� �����ߴ�.

���� ���� '�컶��' ���� �������� "�̰� ���� �Ѱ��� �ۿԳ� ���� ������ ����� ���� ��", "����� ���� ����. ū�Ҹ��� ����Ѵ�" ���� ������ ������ �˸��� �ִ�.

�׷��� �ú� �ؽ��� ������ �̾����鼭 ��û�� ���� ����ϴ� ������ '�컶��'�� ���� �������� ��Ҹ��� �������Դ�.

�� ������ �ʾ� ����� ������ ���� ���󰡰� ������, ���׿����� ö�� ������� ���� ������ ��Ȳ�� �̾����� �� ������ �־��� ���� ���ظ� �԰� �ִ� ��Ȳ�̴�. ���� �� ���ذ� ���� �ؽ��� ������ �˷��� �泲������ ���� 5�� �� �� ��� �������� 5.4���� ��� ��� 5.7%�� �Ұ��ϴ�.

������ '�컶��'�� ���� ���� ���ȴٴ� ����� ���� �����۵��� "���� �����ε� �����ض�", "�� �� ���� ���� ���ϳ�", "�� ������ ��300��? �װ͵� ȸ��?", "�������� �ɰ��ѵ� ���� ���ϴ� ���̳�", "������ ��ҿ� ������ �ñ�� �ٵ� ������ �Ŵ�. �ٸ� ��� ã������ ���ڴ�" ���� ������ ������.

�ݸ� "���߿��� ���� �� �ϳ��� �ܼ�Ʈ�� �޾Ƶ鿩�� ���� �ʳ�. �ϳ��ϳ� �� ���� ������ �� �� �ִ� �� ����"�� ������ �־���.

�׷��� �̿� ���ؼ��� �����۵��� "�ʿ� �̻��� �ڿ��� ���� �� �����ؾ� �Ѵ�", "�ô밡 �޶������� �ٲ��� �Ѵ�", "'�컶��' �� ���� ���� 2�� �� ������ �ٲ����. ���� ��ȭ�� �츮 ������ ���� ������ �ٰ��Դ�", "ȯ�� �̽� �����غ� ����"��� �ݹ��ߴ�.

���� '���� �컶�� 2022' Ƽ���� ���� 16�� ���� 8�� �¶��� ���Ż���Ʈ ������ũ Ƽ�Ͽ��� ���µȴ�. ������ ���� 8��4��, 5�� ���� ��Ǻ�������忡�� ������.

<문화방송>(MBC) 예능 프로그램 <라디오스타> 방송화면 갈무리

최근 온라인에서 가수 싸이의 ‘흠뻑쇼’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흠뻑쇼는 이름처럼 관객이 물에 흠뻑 젖은 채 즐기는 콘서트인데, 공연 때 사용되는 물이 수백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과도한 물 사용에 대한 비판과 함께 ‘환경을 생각하자’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입니다. 지난달 4일 싸이는 <문화방송>(MBC) 예능프로그램인 <라디오스타>에 출연해 “공연 회당 식수 300t가량을 쓴다”고 말했는데, 올해 일어난 최악의 가뭄과 맞물려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것입니다.

9일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보면, “심각한 가뭄과 기후위기를 고려해 물을 대량 사용하는 공연을 지양해야 한다”는 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가뭄이다, 물 부족이다, 이런 말이 나오는데 환경을 좀 생각하자. 내가 매일 텀블러 들고 다니면 뭐하나”(@eoj*****), “농번기에 비가 안 와서 마늘도 원래 크기의 반절인 것들을 수확하는데, 물 300t이면 농사짓는 곳에 큰 도움이 될 텐데 콘서트에서 뿌리나”(@3ch****), “스트레스 날리는 건 좋지만 물 부족인 상황에서 환경과 미래세대를 생각하는 마음은 없나”(@ith*********), “흠뻑쇼 그만해달라. 전국이 가뭄이고 지구 위긴데 진짜 너무 답답해서 그렇다”(@fl****) 등의 의견이 올라와 있습니다.

싸이가 흠뻑쇼를 시작한 것은 2011년입니다. 그런데 왜 올해 갑자기 논란이 됐을까요? 기상 관측 이래 최악의 봄 가뭄에 따른 영향이 큽니다. 이날 기상청 수문기상 가뭄정보 시스템을 보면, 지난 7일 기준 최근 6개월간 전국 누적강수량은 199.7㎜로, 평년(1991년~2020년) 345.8㎜의 57.8% 수준에 그쳤습니다. 최근 한 달간 전국 누적강수량은 38.6㎜였는데, 이는 평년(96.9㎜)의 39.8%에 불과합니다. 올해 3~5월 전국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3도 높은 13.2도로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된 1973년 이래 가장 높았습니다. 전국이 가뭄으로 시름하는데, 한쪽에서는 회당 300t에 달하는 물을 쓰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물론, 다른 한편에서는 식수는 아니지만 이런 논리라면 전국의 워터파크, 수영장, 목욕탕의 물 사용도 자제해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됩니다.

하지만 이런 논란이 나오는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과거에는 당연하게 생각했던 소비도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면 지양하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는 거죠. 스웨덴에서 시작된 ‘플뤼그스캄’ 운동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플뤼그스캄은 비행기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생각하면, 비행기 여행이 부끄럽다는 의미입니다. 스웨덴의 10대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도 같은 이유로 먼 거리를 이동할 때조차 비행기 대신 기차, 배 등을 탑니다.

국내외 공연계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케이(K)팝 팬들의 기후행동 플랫폼인 ‘케이팝포플래닛’은 지난해 7월부터 엔터테인먼트사에 플라스틱을 양산하는 실물 앨범 대신 디지털 앨범 등 친환경 선택지를 제공하라고 요구하는 ‘죽은 지구에는 케이팝도 없다’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앨범 안에 포함된 포토카드 등을 얻기 위해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실물 앨범을 여러 장 사지 않도록 해달라는 거죠. 이런 요구에 아이돌그룹 빅톤은 지난달 31일 시디(CD) 등 없이 포토카드만 들어 있는 ‘플랫폼 앨범’을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영국 밴드 콜드플레이는 2019년 지속가능한 공연 방식을 찾을 때까지 투어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는데, 탄소 발생량을 이전 투어(2016~2017년)의 50%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올해 투어를 재개했습니다. 이들은 공연장 바닥에 관중들이 발을 구르며 뛰면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등 저탄소 공연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만큼 기업 등 생산자들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허승은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은 “수입된 과일을 먹지 않거나 로컬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등 소비에서 탄소발자국을 줄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문화 소비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이라며 “물 뿐만 아니라, 짧은 공연을 위해 사용됐다가 바로 버려지는 대형 무대 재료도 재활용 등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은희 인하대 교수(소비자학과)는 “환경 등 자신이 중요시하는 가치에 따라 소비하려는 소비자가 늘고 있고, 이들이 적극적으로 요구를 드러내기도 하는 만큼 기업도 환경 문제를 전보다 더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윤주 기자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