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정상리듬과 비정상 리듬 - simjeondo jeongsanglideumgwa bijeongsang lideum

심전도 검사

심장리듬 I. 동성서맥, 동성빈맥, 동성부정맥

심장리듬 I. 동성서맥, 동성빈맥, 동성부정맥

▶ 부정맥(arrhythmia)

Bradycardia (서맥)

1. 동방결절(SA node)의 발전이 잘 안되는 경우

2. 동방결절에서 인접심방으로 전도가 안될 때 : SA block

3. 방실결절(AV node) 전도 이상

Tachycardia (빈맥) 

1. Abnormal automacity : 심방, 심실, AV junction 등에서 비정상적 전기 형성

1) Accelerated J rhythm

2) Ectopic atrial tachycardia (EAT)

3) PAT with block (digitoxicity)

2. Triggered activity

1) Aconitine (사약, 화살독)

2) Quinidine

3) Long QT (drug)

4) Torsade

3. Reentry : 발생된 전기가 소멸되지 않고 맴돌 때 

1) Acquired : Post-MI VT

2) Congenital : WPW with AVRT 

▶ Normal sinus rhythm (정상 동성 박동) 

1. Rate : 60~100회/분

2. Rhythm : 아래 표 참조*

3. Normal axis : 0~70도

4. LVH : negative 

5. Ischemia : negative

* 상기 심전도 리듬 판독

 항목

 결과

 칸수

 정상 범위

 RR 간격

 923 msec 

 923 / 200 ms (큰1칸) ≒ 큰4.6칸

 큰칸으로 3칸 ~ 5칸

 (100회 ~ 60회/분)

 심박동수

 60초 / 9.23초(923 msec) ≒ 66회

 Regularity

 regular  

 Each P wave

 is follow by a QRS

 P파

 < 3칸, < 2.5 mm

 QRS군

 90 msec

 90 msec / 40 msec = 2.25칸

 < 3칸

 T파

 < 4칸

 PR 간격

 170 msec

 170 msec / 40 msec = 4.25칸

 3~5칸

 QTc 간격*

 395 msec

 395 msec / 40 msec = 9.9칸

 < 430 msec (10.75칸)

 R 전기축

 72도

 -30도 ~ 0도 ~ 90도

* QT를 심박동수에 따라 교정한 corrected QT. 

참고 : ​QT 간격 연장증후군

▶ Sinus bradycardia (동성 서맥, 동서맥, < 45회/분)

증례 : M/62, 알코올성 간경변

 

☞ 심박동수 = 300 ÷ 6.6 ≒ 45회/분, 심박동은 느리나 P파는 QRS 앞에 잘 나타나고 있다.

* 자동판독 내용(심전도 기록지 상부의 네모칸)

Ventricular rate : 44 bpm

PR interval : 4.5칸 (168 ms)

QRS duration : 2.55칸 (102 ms)

QTc interval : 393 ms

R axis : +40˚

동서맥의 원인 

P파 모양이 정상이며 박동수만 분당 60회 미만인 상태로, 육상 선수, 수면 중, 미주신경 항진 등에서 정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갑상선기능저하증, 전해질 이상, 심장 질환 등의 병적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약물 복용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깨어있는 상태에서 심박동이 분당 45회 미만이면 동기능 부전을 의미한다.

 비약제성 원인

 약제에 의한 경우

· 정상 수면 동안

· 부교감계 항진(육상 선수 등)

· 부교감계 자극(통증)

· 저체온증

· 갑상선기능저하증

· 동결절 이상

· 전해질이상 : K 증가, Mg 증가

· 심질환 : 심근경색, 심근염

· Anorexia nervosa

· 베타차단제

· 칼슘채널차단제

· Digoxin

· Amiodarone

· Opiates

· GABA-ergic agents : babiturates, benzodiazepines, baclofen

감별 : Type 2 SA block : Sinoatrial exit block

서맥의 치료 : 서맥성 부정맥의 치료

Sinus tachycardia (동성 빈맥)

정의 : 심박동이 분당 150회 정도 되며, 심박이 아주 빠른 경우 P파가 선행하는 T파에 감춰질 수 있다.

증례 : 남/73, 고혈압, 협심증, 심부전

증상 : 흉부불편감 

- 심전도 RR 간격 : 2.9칸

- 심박동수 = 300÷2.9 ≒ 103회/분 

​- 심박동은 빠르나 P파(적색 원)는 QRS 앞에 잘 나타나고 있다(P waves precedes each QRS complex).

원인 

 비약제성 원인

 약제에 의한 경우

· 운동

· 통증, 불안

·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 산혈증

· 발열, 패혈증

· 갑상선기능항진증

· 폐색전

· Beta-agonist : adrenaline, salbutamol, dobutamine 

· Sympathomimetics : amphetamine, coccaine 

· Antimuscarinics : antihistamines, TACs, carbamazepine, atropine 

· 기타 : caffeine, theophylline, marijuana

* 교감신경작용제 : https://blog.naver.com/i-doctor/221322947003

 

Camel hump appearance on ECG​ : 심박이 매우 빠른 경우 P파가 선행하는 T파에 합쳐져 나타나는 변화.

☞ Sinus tachcardia : 아래 우측 그림에 Camel hump (T-P)가 관찰되고 있음.

심전도 정상리듬과 비정상 리듬 - simjeondo jeongsanglideumgwa bijeongsang lideum

심전도 정상리듬과 비정상 리듬 - simjeondo jeongsanglideumgwa bijeongsang lideum

▶ Sinus arrhythmia (동성 부정맥)

1)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P-P 간격의 변화에 의해 불규칙한 심실 박동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건강한 젊은이에게 흔한 생리적 현상이다. 호흡에 따른 vagal tone의 변화에 따른 반사작용(reflex)으로 심박동이 변한다.

흡기 시 vagal tone의 감소로 심박이 증가하며, 호기 시에는 vagal tone의 증가로 느려진다. 나이가 들면서 빈도가 감소하는데, baroreceptor reflex sensitivity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호흡성 동성 부정맥의 ECG 양상

 1. P-P 간격에 3칸 이상의 변화

 cyclic fashion으로 호흡에 따라 늘어나거나 짧아진다.

 2. P파는 지속적으로 정상형

 premature atrial contraction이 없다.

 3. PR 간격은 일정

 Mobitz 1 AV block이 없다.

⊙ 증례 소견 : PP 간격이 3칸 이상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2) Non-respiratory sinus arrhythmia

호흡과 관련 없이 발생하는 동성 부정맥은 드물지만, 흔히 고령자에서 발생하며 기저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증례 : M/77, 알코올성 간경변​, COPD, ECG : sinus rhythm with marked sinus arrhythmia (아래 심방세동과 달리, P파가 제대로 관찰되지만 박동이 매우 불규칙함)

동 환자의 3개월 후 ECG : 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 exertional dyspnea 증상으로 concor (bisoprolol, BSOPA) 처방

☞ 심방세동의 심전도 소견

♣ Atrial fibrillation results from many ectopic foci generating action potentials in the atria. The result of this random pattern of activation is a continuously fluctuating baseline without distinct P waves. Some of these impulses reach the AV node and are conducted (they are "blocked") to the ventricles.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he ECG in fibrillation is that QRS complexes are “irregularly irreg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