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로젝트 주제 추천 - seupeuling peulojegteu juje chucheon

질문

JAVA랑 spring, jquery를 이용하여

학원에서 팀 프로젝트로 웹사이트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쇼핑몰, 영화예매, 맛집, 학사정보시스템, ㅇㅇ관리시스템, 아프리카티비, 유튜브 

같은 것들은 안된데요ㅠㅠㅠ

취업에 들어가는 거라면서

참신한 걸로 만들으라고 하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제 머리의 한계라서 그런지 떠오르지가 않아요

제발... 웹사이트로 할 수 있는 주제 아무거나 추천해주세요..

위에 있는 주제는 제외하구요..

부탁드립니다ㅠㅠㅠ

답변1개

1번째 답변

스프링 프로젝트 주제 추천 - seupeuling peulojegteu juje chucheon

온전히 웹 개발이라고 볼 순 없지만 요즘 기업에서 많이 쓰는 슬랙을 이용해 슬랙봇 만들기 같은 걸 해보시는 건 어떤가요?

슬랙봇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콘솔페이지를 웹페이지로 만드시고, 슬랙 내에서 쓸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하시면 제 생각엔 취업에도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습니다.

위에서 말씀하신 것들은 포트폴리오에 널리고 널린 것들이라 큰 메리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슬랙봇은 백엔드만 있어도 만들 수 있지만 거기에 슬랙봇을 관리할 수 있는 웹페에지까지 만든다면 아주 큰 도움이 될 거 같네요.

슬랙봇을 만들기 위해선 OAuth, REST API도 공부하셔야하고 JSON 파싱 등 현재 웹 기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분을 모두 다룰 수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슬랙봇 만들기를 스터디 진행하면서 했었는데 간단하게는 스터디 인원 출석체크 슬랙봇부터 장소나 시간을 예약하는 것들을 구현하려고 생각했었으나 스터디 모임이 오래 유지되지 않아 킥오프 정도에서 마쳤었는데요, 제가 좋은 회사들 면접볼 때 파일럿 프로젝트로 슬랙봇 만들기를 진행했었다고 하면 대체로 좋아하셨던 기억이 있습니다.

슬랙봇에 대한 설명은 양이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링크로 대체합니다.

https://api.slack.com/bot-users

원하시는 방향이 아니라서 채택하지 않으시더라도 좋은 아이디어 및 결과 얻으시길 기원합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7.17.

질문

JAVA랑 spring, jquery를 이용하여

학원에서 팀 프로젝트로 웹사이트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쇼핑몰, 영화예매, 맛집, 학사정보시스템, ㅇㅇ관리시스템, 아프리카티비, 유튜브 

같은 것들은 안된데요ㅠㅠㅠ

취업에 들어가는 거라면서

참신한 걸로 만들으라고 하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제 머리의 한계라서 그런지 떠오르지가 않아요

제발... 웹사이트로 할 수 있는 주제 아무거나 추천해주세요..

위에 있는 주제는 제외하구요..

부탁드립니다ㅠㅠㅠ

답변1개

1번째 답변

스프링 프로젝트 주제 추천 - seupeuling peulojegteu juje chucheon

온전히 웹 개발이라고 볼 순 없지만 요즘 기업에서 많이 쓰는 슬랙을 이용해 슬랙봇 만들기 같은 걸 해보시는 건 어떤가요?

슬랙봇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콘솔페이지를 웹페이지로 만드시고, 슬랙 내에서 쓸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하시면 제 생각엔 취업에도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습니다.

위에서 말씀하신 것들은 포트폴리오에 널리고 널린 것들이라 큰 메리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슬랙봇은 백엔드만 있어도 만들 수 있지만 거기에 슬랙봇을 관리할 수 있는 웹페에지까지 만든다면 아주 큰 도움이 될 거 같네요.

슬랙봇을 만들기 위해선 OAuth, REST API도 공부하셔야하고 JSON 파싱 등 현재 웹 기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분을 모두 다룰 수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슬랙봇 만들기를 스터디 진행하면서 했었는데 간단하게는 스터디 인원 출석체크 슬랙봇부터 장소나 시간을 예약하는 것들을 구현하려고 생각했었으나 스터디 모임이 오래 유지되지 않아 킥오프 정도에서 마쳤었는데요, 제가 좋은 회사들 면접볼 때 파일럿 프로젝트로 슬랙봇 만들기를 진행했었다고 하면 대체로 좋아하셨던 기억이 있습니다.

슬랙봇에 대한 설명은 양이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링크로 대체합니다.

https://api.slack.com/bot-users

원하시는 방향이 아니라서 채택하지 않으시더라도 좋은 아이디어 및 결과 얻으시길 기원합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7.17.

Spring
프로젝트 기획하기

해당 문서는 PMC 스프링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진행했던 내용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1. 프로젝트 주제 선정하기

 첫 스터디 모임. 첫 날은 간단히 스프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떤 식으로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와 토이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했다. 주제는 회의하다가 15분간 생각해보고 그 자리에서 바로 어떤 주제로 하면 좋을지, 어떤 기능이 들어가면 좋을지를 대략적으로 생각해보고 공유했다.

첫 번째로 나온 주제는 카페 리뷰시스템으로, 대략적인 기능리스트는 아래와 같았다.

  • 카페 쿠폰 발급
  • 카페 별점 기능, 리뷰 기능 (사진/ 리뷰)
  • 분위기 / 인스타용 / 스터디용 등의 그룹을 나누어 관리
  • 가격정보를 1단계, 2단계, 3단계로 분류해서 보여주기
  • 위치로 검색할  있는 기능
  • 메뉴로 검색할  있는 기능
  • 휴일 (영업시간 저장)
  • 예약 기능 추가 (추후)
  • 지역별 인기 카페 보기 (추후)

두 번째로 나온 주제는 지역 중심 기반 스터디로, 대략적인 기능 리스트는 아래와 같았다.

  • 스터디 등록 기능 -> 지도 기반으로 변경
  • 네이버/구글 지도 연동하여 화면에 지도 띄워주기 
  • 커뮤니티, 메시지를 보낼  있는 기능
  • 참고 사이트) meetup, 소모임 
  • 초기 기능
    • 회원가입 / 스터디 등록 / 리스트 조회

두 가지 주제 내에서 투표한 결과, 주제는 2번인 지역 중심 기반 스터디로 하기로 결정되었다.

각자 추가적인 기능들을 더 고민해서 차주 평일 저녁에 온라인으로 UI/UX 기획을 진행하기로 하며 마무리 되었다.

 2. UX 설계하기

UX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설계하는데에는 다양한 툴이 있지만, 발사믹 목업을 사용하여 UX 설계를 진행했다.

발사믹 목업은 마치 PPT와 같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UX 프로토타입 설계 툴로 상당히 직관적이라 처음 접하는 사람도 사용하기 쉽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고)

발사믹 목업을 사용하여 설계한 UX는 아래와 같다.

balsamiq.cloud/ssseu1y/pagmbma

https://balsamiq.cloud/ssseu1y/pagmbma

"Give users what they actually want, not what they say they want. And whatever you do, don’t give them new features just because your competitors have them!" —Kathy Sierra Read more

balsamiq.cloud

스프링 프로젝트 주제 추천 - seupeuling peulojegteu juje chucheon
발사믹 목업으로 만든 UX 설계 프로젝트 이미지

이와 같이 발사믹 목업을 이용하면, 유저가 화면에서 어떤 것을 클릭했을 때 어떤 페이지로 이동할지를 편리하게 짤 수 있다. 목업으로 모든 페이지에 대한 설계를 한 것은 아니고, 메인 페이지를 어떤식으로 구성하고 상단바나 왼쪽바에 어떤 메뉴들이 구성될지를 정하고, 대략적인 페이지들만 작성했다.

작성한 페이지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 메인화면 (로그인 전/후)
  • 주제별 펼쳐보기
  • 주제별 메인
  • 스터디 세부 내용
  • 지역별 메인
  • 지역별 사이드바
  • 내모임 메인
  • 회원가입
  • 로그인
  • 알림창
  • 채팅창

 3. 화면별 기능리스트 작성하기

 앞서 진행한 대략적인 UX 설계를 토대로, 각 화면에서 어떤 기능들이 필요할지 각자 작성해오기로 하였다. 또한 erd 설계를 위해 각 기능을 구현할 때 필요한 컬럼들을 정리해 오기로 하였다. 아래는 스터디 하면서 정리했던 각 화면별 기능리스트이다.

  • 메인화면 (로그인 전/후)
    • 메인화면 / 주제-지역 별 스터디 모임 보기 / 내 스터디 이동
    • 스터디별 카테고리 보기
    • 스터디 검색 기능
      • 날짜 / 스터디원 / 제목 / 위치 / 스터디 제목으로 검색 가능
      • 리스트 페이징 처리 필요
      • 일정으로 검색하는 기능 (달력으로 해당 일/주/월에 있는 스터디를 확인 가능)
    • 주제별 스터디 리스트 보기
    • 지역별 스터디 리스트 보기
  • 스터디 세부 내용
    • 아이디, 제목, 일정, 모임장, 멤버, 지역(위치), 카테고리, 기간, 정원, 일정(일정 id), 날짜, 설명
    • 날짜 세팅은 자동/수동 가능
      • (수동) 직접 스터디 일정을 달력에 클릭하면 해당 날짜/시간으로 추가
      • (자동) 특정 기간 내의 매주 토요일 n시로 설정하면 자동으로 해당 기간내에 날짜를 db에 추가
    • 모집/진행/종료 스터디장이 status 변경 가능
    • 모임 강퇴 기능 (스터디장만 권한)
    • 모임 설정 기능
  • 내 모임 메인
    • 스터디 권한 설정
    • 즐겨찾기한 모임 보기
    • 내 스터디 일정 보기
    • 내가 가입한 스터디 리스트 보기
    • 스터디(모임) 만들기
      • 아무나 만들 수 있는 권한이 있음. (유저 평가를 보며 참가할지 정함)
  • 프로필
    • 유저 평점
  • 회원가입
    • 회원가입 / 약관 동의 / 기본은 이메일로 인증
    • 이후 oauth 연동하여 네이버/카카오/구글 연동 추가
  • 로그인
    • 일반 로그인
    • 네이버/카카오/구글 oauth 연동 추가
  • 알림창
    • 가입한 스터디의 일정을 보여주는 알림
    • {스터디 제목} 시간 (날짜) 형식으로 알림
  • 채팅창
    • 스터디별 채팅방 생성
    • 스터디장이 채팅방 설정 권한이 있음. (채팅방 공개 유무 등)
  • (추가 내용)
    • 인물평가가 몇점 이상이면 유료 스터디도 개설이 가능하다 (혹은 유료 기능을 사용할  있다.
    • 스터디원의 스터디 히스토리를 관리해야 .
    • 스터디는 무료, 유료 스터디가 있다 (컬럼 필요)
    • 공공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없음 (스터디 룸과 같은 것은 아직 기능상 추가가 안됨.)

기능리스트는 백엔드에서 어떤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고 ERD를 설계할 때 어떤 것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정리하기 위해 필요하다. 필요한 기능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개발을 시작하다보면 나중에 테이블의 형태나 연결관계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으니 미리 정리하고 프로젝트를 시작하도록 하자.

마무리

다음 스터디에서는 ERD 설계를 하면서 고려한 사항들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한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