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절제술 입냄새 - pyeondojeoljesul ibnaemsae



음식을 섭취하거나, 양치질을 할 때 목에 이물감이 느껴져 뱉어보면 쌀알 크기의 노란색 알갱이가 나올 경우가 있다. 이것이 편도결석인데 다른 신체부위의 결석과는 다르게 딱딱하지 않고, 만졌을 때 잘게 부셔지며, 심한 냄새가 나는 특징이 있다.

편도의 표면에는 편도와라고 하는 작은 구멍들이 있는데, 이 구멍이 잦은 편도염으로 인해 커져 그 자리에 음식물과 세균이 뭉쳐지면서 생기는 덩어리가 편도결석이다. 또한 양치습관으로 인한 위생불량이나 콧물이 목으로 넘어가는 후비루가 있는 사람의 경우 세균 증식이 용이하기 때문에 편도결석이 생기기도 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는 입냄새의 주요한 원인이 되며 아무리 가글과 양치를 해도 근본원인인 결석이 제거되지 않는 이상 구취가 사라지지 않는다.

편도결석은 구취 이외에는 건강상의 큰 불편함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만성편도염을 가진 환자분들에 많이 발생하고, 이런 환자분들에게는 편도주위농양 나아가서는 심부경부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일반인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도결석의 치료는 간단하다. 이비인후과 진료를 통해 흡입기로 제거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한다. 편도결석과 함께 잦은 편도염이 동반된다면 편도절제술을 시행하여 근본원인을 제거함으로써 두 질병을 한꺼번에 치료하기도 한다. 편도결석이 육안으로 보인다고 해서 직접 제거할 경우 상처로 인한 감염으로 염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삼가야 한다.

고려대 안산병원 이비인후과 주재우 교수는 “입냄새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생각해 양치와 가글로 해결하려고 하지만 원인이 편도결석일 경우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본인이 직접 결석을 제거하다가 오히려 편도염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가급적 자제해야한다”며 “편도결석과 함께 편도염이 동반된다면 편도제거술을 시행하는 것을 추천하며 이를 통해 코골이까지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와 상담한 후 본인에게 맞는 치료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편도결석
[tonsillolith]

한 줄 설명

편도 혹은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들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뭉쳐서 생기는 쌀알 크기의 작고 노란 알갱이

관련 증상

구취 ,  인두 이물감 ,  인두통 및 인후통

목차

  • 정의
  • 증상
  • 원인
  • 관련신체기관
  • 진단
  • 검사
  • 치료
  • 경과/합병증
  • 예방방법
  • 생활가이드

정의

편도 혹은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들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뭉쳐서 생기는 쌀알 크기의 작고 노란 알갱이를 말한다. 이름에 결석이라고 붙어 있지만 대부분 돌처럼 딱딱하지는 않다. 치아와 혀의 상태가 깨끗한데도 입 냄새가 나며, 양치질하면서 구역질을 심하게 할 때 쌀알 같은 것이 튀어나오는 경우 의심할 수 있다.

증상

별 증상이 없이 지낼 수도 있으나 주로 입 냄새가 나고, 양치질하다가 입에서 쌀알 같은 노란 알갱이가 나오기도 한다. 목이 아프거나 침 삼킬 때 목에 뭔가 걸린 것 같은 느낌 혹은 간질간질하거나 귀가 아픈 느낌이 생길 수 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편도염이다. 편도염을 자주 앓다 보면 편도와라고 하는 편도의 작은 구멍들이 커질 수 있다. 이 커진 구멍 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면 세균이 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세균들이 뭉치면서 작은 알갱이를 형성하면 편도결석이 된다. 구강 위생이 불량하거나 비염이나 부비동염으로 인해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가 있는 사람은 편도에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조건이기 때문에 편도결석이 잘 생긴다.

진단

이비인후과에서 구강 검진을 받으면 목젖 양 옆 편도에 낀 노란 알갱이(편도결석)를 발견된다. 편도염의 소견이 동반될 수도 있다.

검사

구강 및 인두를 진찰을 하고, 인후두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치료

편도결석은 저절로 나오기도 하며 흡인 등으로 제거하는 치료를 할 수 있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생길 수도 있다. 레이저나 질산은 같은 약물로 편도에 있는 구멍을 막는 치료를 하기도 하지만, 편도 자체를 없애는 편도절제술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편도결석이 있다고 모두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필요는 없고, 수술의 효과와 합병증의 위험을 고려하여야 한다. 한 해 동안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편도염을 5~6회 이상 앓았거나, 매년 3회 이상 편도염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편도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경과/합병증

입 냄새와 이물감이 주된 증상이며, 그냥 두어도 다른 신체 부위의 결석과 달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예방방법

편도염이 생겼을 때 제대로 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입안에 세균이 잘 번식하지 않도록 청결하게 유지한다. 평소에 물을 자주 마시고, 식사 후에는 양치질을 잘 한다. 편도결석이 잘 생기는 경우 양치 후 항균 성분이 있는 가글액으로 입 안을 헹구면 편도결석의 재발을 줄일 수 있다.

생활가이드

칫솔질, 가글 등을 시행하여 평소에 구강 위생을 청결히 한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전체 검색

  • #오시는길
  • #의료백과
  • #병원로고
  • #장례식장
  • #비급여진료비
  • #장애진단서
  • #원격지원
  • #갑상선
  • #증명서발급
  • #자가진단
  • #가정간호
  • #조직도
  • #제중원
  • #로고
  • #진단서발급
  • #병원전화번호
  • #건강검진
  • #자원봉사
  • #입찰정보

마스크 착용만으로도 힘든데 입 냄새까지?

마스크가 일상화된 요즘, 무더운 날씨에 마스크 착용만으로도 힘든데요. 마스크 쓰면서 알게 된 자신의 입 냄새 때문에 고민하는 분들 있으시죠. 보통 입 냄새는 구강위생을 철저히 하면 대부분 나아지지만, 좀처럼 개선이 안 된다면 질환을 의심해봐야 해요.

가장 많이 거론되는 질환이 바로 편도결석인데요. 편도결석은 편도에 있는 작은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나 세균이 뭉쳐서 발생하게 돼요. 심한 입 냄새가 생기고, 음식을 삼킬 때 이물감이 들 수 있어요.

결석은 한번 제거하더라도 자주 재발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를 원하면 편도절제술을 고려하기도 해요. 오늘은 편도결석의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음식 찌꺼기와 세균 똘똘 뭉쳐 생기는 편도결석

편도결석은 편도에 생긴 작은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돌처럼 뭉쳐 발생해요. 편도와라고 불리는 편도에 있는 구멍은 원래 매우 작은데, 만성 편도염 등을 자주 앓다 낫다 하면서 커지게 돼요.

구멍이 커지고 구멍 속에 음식 찌꺼기가 잘 끼게 되고, 음식 찌꺼기에 세균이 발생해 작은 알갱이가 돼요. 보통은 쌀알 크기 정도의 작고 노란 알갱이인데, 딱딱하지는 않고 무른 형태에요.

대부분 깊숙히 박혀있어 보이지 않다가 양치질, 기침, 구역질을 할 때 저절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염증이나 농양을 형성하거나, 암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없어요.

만성 편도염 앓거나, 구강위생 불량한 경우 발생

편도결석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현상이지만 구강위생이 불량한 경우에 세균증식이 많아져 더 잘 생길 수 있어요.

만성 편도염이 있는 경우 또는 비염이나 부비동염과 같은 질환으로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많이 발생해요. 편도가 다른 사람들보다 커도 잘 생깁니다.

편도결석의 대표 증상은 심한 입 냄새, 또 음식을 삼킬 때 이물감을 느끼기도 하고 귀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해요. 입 냄새 때문에 대인관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삶의 질이 매우 떨어지게 돼요.

평소에 양치질, 혀 클리너 등 구강위생에 많은 신경을 썼는데도, 입 냄새가 계속 난다면, 이비인후과를 찾아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마스크가 생활화되어 있는 요즘 자신의 입 냄새를 참지 못하고 병원을 많이 찾는다고 해요.

재발 막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편도절제술

병원에서는 대부분 흡인 치료로 결석을 제거하는데, 재발이 잦은 것이 문제인데요. 보통 한 달에 한 번, 혹은 6개월에 한 번 병원을 찾아 결석을 제거 받게 돼요. 레이저나 약물치료를 통해 결석을 제거하고 구멍을 막기도 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편도 자체를 없애는 수술이에요.

편도염 등 편도질환을 1년에 3번 이상 앓는 경우, 편도결석의 재발이 너무 잦고 통증이나 극심한 입 냄새, 이물감 등 문제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어요.

편도결석이 자주 쌓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구강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해요. 식사 후에는 바로 양치질을 하고 가글액으로 구강 내 청결을 잘 유지하고, 물을 자주 마시는 것도 중요해요.

내용 출처: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네이버포스트 - 무더운 여름, 마스크 착용만으로도 힘든데 입냄새까지? 혹시 편도결석은 아닐까)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